선고일자: 2022.09.29

민사판례

국가의 불법행위와 위자료, 그리고 소멸시효에 대한 이야기

오늘은 국가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특히 위자료 계산과 소멸시효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사건은 과거 국가가 운영한 ○○○에서 발생한 사건과 관련된 소송입니다. 피해자들은 국가의 불법행위로 인해 정신적 고통을 받았다며 손해배상을 청구했고, 대법원까지 이어진 긴 법정 공방 끝에 판결이 확정되었습니다.

1. 위자료는 어떻게 계산될까요?

피해자들은 국가의 불법행위로 정신적 고통을 받았으니 위자료를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위자료 액수를 정할 때 여러 가지 사정을 고려합니다. 단순히 피해 정도만 보는 것이 아니라 사건 발생 시점과 판결 시점 사이의 시간, 물가변동 등도 함께 살펴봅니다. 특히 이 사건처럼 사건 발생 후 오랜 시간이 흘렀다면 물가상승 등을 고려하여 위자료를 계산해야 공정한 결과가 나옵니다. (민법 제393조, 제751조, 제763조)

또한, 위자료에는 지연손해금이 붙습니다. 지연손해금은 원래 불법행위 발생 시점부터 계산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이 사건처럼 시간이 오래 걸린 경우, 예외적으로 위자료 산정 기준 시점(여기서는 1심 판결 선고일)부터 지연손해금을 계산합니다. 이는 시간이 흐르면서 발생하는 손해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때 법원은 배상이 늦어진 점을 고려하여 위자료 원금을 정합니다. (대법원 1999. 4. 23. 선고 98다41377 판결, 대법원 2011. 1. 13. 선고 2009다103950 판결, 대법원 2015. 1. 29. 선고 2013다205174 판결, 대법원 2020. 11. 26. 선고 2019다276307 판결)

2. 국가의 불법행위란 무엇일까요?

국가가 배상 책임을 지려면 공무원의 행위가 위법해야 합니다. 그런데 '위법'이란 단순히 법 조문을 어긴 것만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공무원은 법률뿐만 아니라 인권존중, 권력남용 금지, 신의성실과 같은 원칙도 지켜야 합니다. 이러한 원칙을 어기는 것도 위법한 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대법원 2008. 6. 12. 선고 2007다64365 판결) 특히, 헌법상 과잉금지원칙이나 비례의 원칙을 위반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 경우에도 국가는 배상 책임을 집니다.

3. 소멸시효, 언제부터 계산될까요?

일반적으로 손해배상 청구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소멸시효가 완성되어 더 이상 청구할 수 없게 됩니다. 그런데 과거사 관련 사건에서는 소멸시효를 계산하는 방식에 대한 논란이 있었습니다. 헌법재판소는 과거사정리법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에 대해서는 민법상 소멸시효 규정을 적용하는 것이 위헌이라고 결정했습니다. (민법 제166조 제1항, 제766조 제2항, 국가재정법 제96조 제2항,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 제2조 제1항 제3호, 제4호, 헌법재판소 2018. 8. 30. 선고 2014헌바148등 전원재판부 결정, 대법원 2019. 11. 14. 선고 2018다233686 판결) 즉, 이러한 사건에서는 피해자가 손해 또는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 불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이라는 소멸시효 기간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사건에서도 피고의 소멸시효 항변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이 판결은 국가의 불법행위에 대한 책임과 위자료 산정, 그리고 과거사 관련 사건의 소멸시효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과거 국가의 잘못으로 인해 고통받은 피해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법원의 노력을 보여주는 판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국가의 불법행위와 소멸시효, 그리고 위자료 지연손해금 계산

국가의 불법체포 및 고문으로 장기간 억울한 옥살이를 한 피해자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에서, 국가가 소멸시효 완성을 주장했으나 법원은 이를 권리남용으로 판단하고 배척했습니다. 또한, 위자료 지연손해금의 기산일은 불법행위 시점이 아닌 변론종결일로 보아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국가불법행위#손해배상#소멸시효#권리남용

민사판례

국가배상과 소멸시효, 그리고 위자료 산정

국가의 불법 수사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가 재심에서 무죄가 확정된 경우,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이때 국가는 소멸시효가 지났다고 주장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또한, 위자료는 피해자와 가해자 양측의 사정을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불법수사#손해배상#소멸시효#권리남용

민사판례

국가의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 어떻게 계산할까?

장기간 이어진 소송에서 위자료 계산과 형사보상금 공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시간이 오래 걸린 소송에서 물가 상승 등을 고려하여 위자료와 지연이자를 어떻게 계산하고, 이미 받은 형사보상금을 어떻게 공제해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불법행위#손해배상#위자료#지연이자

민사판례

과거사 피해 배상, 소멸시효와 위자료 계산은 어떻게?

## 제목: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 소멸시효, 위자료 산정, 지연손해금 기산점 등에 관한 판결 과거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부당하게 유죄판결을 받고 복역했던 사람들이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에 따라 소멸시효가 적용되지 않고, 국가의 불법행위 책임을 인정하여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 * **소멸시효 적용 배제:** 헌법재판소가 과거사정리법 관련 조항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고, 이에 따라 긴급조치 9호 위반 사건의 손해배상청구에는 소멸시효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 **국가의 불법행위 책임 인정:** 원고들이 수사 과정에서 위법한 체포, 구금, 가혹행위 등을 당했고, 이로 인해 허위 자백을 하게 되어 유죄판결을 받았으므로 국가는 불법행위 책임을 져야 합니다. * **위자료 산정 기준:** 위자료는 피해자와 가해자 측의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법원이 재량으로 정할 수 있으며, 불법행위 시점과 현재 시점 사이에 물가 등의 변동이 있었다면 이를 고려하여 위자료를 산정해야 합니다. * **지연손해금 기산점:** 위자료 지급이 늦어진 경우, 지연손해금은 위자료 산정 기준일인 1심 변론종결일부터 계산됩니다. **판결 내용:** 대법원은 원고들의 손해배상청구를 인용하고, 국가는 원고들에게 위자료와 지연손해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참조조문:** *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제8조 * 민법 제166조 제1항, 제766조 제2항 * 구 예산회계법(1989. 3. 31. 법률 제4102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71조 제2항(현행 국가재정법 제96조 제2항 참조) * 진실ㆍ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 제2조 제1항 제3호, 제4호 * 민법 제393조, 제751조, 제763조 * 헌법재판소법 제41조, 제47조 * 구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2015. 5. 18. 법률 제1328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8조 제2항 **참조판례:** * 대법원 2019. 11. 14. 선고 2018다233686 판결(공2020상, 16) * 헌법재판소 2018. 8. 30. 선고 2014헌바148, 162, 219, 466, 2015헌바50, 440, 2014헌바223, 290, 2016헌바419 전원재판부 결정(헌공263, 1394) * 대법원 1999. 4. 23. 선고 98다41377 판결(공1999상, 998) * 대법원 2009. 12. 24. 선고 2007다77149 판결 * 대법원 2011. 1. 13. 선고 2009다103950 판결(공2011상, 319) * 대법원 2015. 1. 29. 선고 2013다205174 판결 * 대법원 1992. 2. 14. 선고 91누1462 판결(공1992, 1065) * 대법원 2020. 10. 29. 선고 2019다249589 판결(공2020하, 2259) * 헌법재판소 2018. 8. 30. 선고 2014헌바180, 304, 305, 2015헌바133, 283, 284, 357, 434, 435, 436, 437, 441, 442, 2016헌바23, 49, 64, 67, 73, 98, 165, 215, 244, 308, 348, 375, 393, 2017헌바251, 281, 374, 395, 468, 2018헌바94, 157, 2014헌가10, 18, 20, 22, 25, 2018헌가1 전원재판부 결정(헌공263, 1405)

#긴급조치 9호#손해배상#소멸시효 배제#국가 불법행위

민사판례

30년 지난 국가배상, 소멸시효는 언제부터?

과거 국가기관의 불법행위(고문, 불법구금 등)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 시, 소멸시효는 피해 사실을 알게 된 시점이 아니라 관련 형사재판의 무죄 확정 시점부터 시작된다.

#고문#손해배상#소멸시효#기산점

민사판례

과거사 진실규명 후 국가배상 청구, 소멸시효는?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사건에 대한 진실화해위원회의 진실규명결정 이후 유족들이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때, 국가는 소멸시효 완성을 주장할 수 없으며, 위자료 액수 산정에는 특수한 사정을 고려해야 한다는 판결.

#과거사 진실규명#국가배상#소멸시효#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