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아이의 건강, 걱정 많으시죠? 쑥쑥 크는 우리 아이, 건강하게 자라는지 꼼꼼하게 확인하고 싶은 부모님 마음,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다행히 국가에서 지원하는 영유아 건강검진이 있어 아이의 성장과 발달을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건강하게 키울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오늘은 영유아 건강검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영유아 건강검진, 왜 필요할까요?
영유아기는 신체적, 정신적 발달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적절한 검진을 통해 아이의 성장과 발달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가 발견될 경우 조기에 intervention하여 건강한 성장을 도울 수 있습니다. 또한, 영양, 수면, 안전 등 아이 키우기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도 얻을 수 있으니 꼭 챙겨 받으시길 바랍니다.
영유아 건강검진, 언제 받아야 할까요?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제25조제1항 단서, 건강검진 실시기준 제8조제2항)
생후 71개월까지 총 8회의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시기별로 검진 항목이 조금씩 다르니,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구분 | 실시시기 |
---|---|
1차 검진 | 생후 14~35일 |
2차 검진 | 생후 4~6개월 |
3차 검진 | 생후 9~12개월 |
4차 검진 | 생후 18~24개월 |
5차 검진 | 생후 30~36개월 |
6차 검진 | 생후 42~48개월 |
7차 검진 | 생후 54~60개월 |
8차 검진 | 생후 66~71개월 |
영유아 구강검진은 언제 받아야 할까요? (건강검진 실시기준 제8조제2항)
구강검진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충치는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꼭 챙겨 받으세요.
구분 | 실시시기 |
---|---|
1차 검진 | 생후 18~29개월 |
2차 검진 | 생후 30~41개월 |
3차 검진 | 생후 42~53개월 |
4차 검진 | 생후 54~65개월 |
영유아 건강검진, 무엇을 확인하나요?
영유아 건강검진에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확인합니다.
영유아 건강검진,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The 건강보험 앱에서 지정 의료기관을 확인하고 예약 하시면 됩니다.
영유아 건강검진, 비용은 얼마인가요?
건강검진 비용은 건강검진 실시기준 별표 3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건강보험에서 지원되므로 무료로 검진을 받을 수 있지만, 검진 항목에 따라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검진기관에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영유아 건강검진은 우리 아이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꼭 필요한 제도입니다. 꼭 기억해두셨다가 시기에 맞춰 검진 받으시고, 궁금한 사항은 검진기관이나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하세요!
생활법률
유치원은 법령에 따라 정기적인 건강검진(신체발달, 건강조사, 정신건강,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부모는 유치원 또는 영유아검진기관에서 검진을 받아 결과를 제출할 수 있으며, 국가 지원 영유아 건강검진도 가능하고, 유치원은 보건실 운영 및 보건교육을 실시하여 유아 건강 관리에 힘쓴다.
생활법률
2024년 건강검진은 직장가입자, 피부양자, 영유아 등 대상별로 일반검진, 암검진, 영유아검진을 공단 전액 또는 부분 부담으로 받을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생활법률
국민건강보험 지역가입자는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영유아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예비 신혼부부는 건강한 결혼 생활과 미래 자녀를 위해 권장되는 신혼부부 건강검진(유전성/전염성 질환 확인)을 가까운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법적 의무는 아님)
생활법률
초·중·고 1학년(특수·각종학교 포함, 초등 구강검진은 전학년) 대상 신체발달, 건강조사, 정신건강, 건강검진, 신체능력검사(초5~고등)를 실시하고 필요시 추가검사(소변, 시력, 결핵, 구강) 및 후속조치(치료, 예방, 상담 등)를 진행한다.
생활법률
어린이집은 영유아 및 보육교직원의 정기 건강검진, 감염병 발생 시 격리, 응급상황 대처, 휴원 시 긴급보육 등 법적 규정을 준수하여 아이들의 건강과 안전 관리에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