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아파트에 살면서 "의무관리"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관리비는 내는데 왜 '의무'까지 붙는 건지, 우리 아파트는 해당되는 건지 헷갈리시는 분들 많으시죠? 오늘은 아파트와 의무관리 대상 아파트에 대해 쉽고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아파트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5층 이상의 공동주택을 아파트라고 합니다. (주택법 제2조제3호, 주택법 시행령 제3조제1항제1호 및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2호가목)
2. 의무관리 대상 아파트란?
의무관리 대상 아파트는 전문 관리인을 두고, 자치 의결기구(입주자대표회의 등)를 의무적으로 구성해야 하는 아파트입니다. 쉽게 말해, 법적으로 정해진 '의무'를 따라야 하는 아파트죠. (공동주택관리법 제2조제1항제2호)
3. 우리 아파트, 의무관리 대상일까?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YES"!
(공동주택관리법 제2조제1항제2호 및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2조)
정리하자면, 아파트 규모가 크거나, 승강기, 중앙난방 등 편의시설이 갖춰진 곳은 대부분 의무관리 대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의무관리 대상 아파트는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입주민들의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궁금증이 해결되셨나요? 이 글이 여러분의 아파트 생활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생활법률
아파트 관리는 자치, 위탁, 사업주체 관리로 나뉘며, 공동/구분관리도 가능하고, 각 유형별 법적 기준과 의무사항이 존재한다.
생활법률
아파트 관리비는 공동주택관리법에 따라 의무관리대상 아파트의 입주자와 사용자가 관리주체에 납부해야 하며, 구성 항목과 산출 내역은 K-apt에서 확인 가능하고, 비리 신고는 국토부 또는 국민신문고를 통해 할 수 있다.
생활법률
이 블로그는 공동주택관리법과 관리규약을 바탕으로 아파트 입주, 관리, 생활(층간소음, 보안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아파트 생활 가이드입니다.
생활법률
아파트 관리 총책임자인 관리사무소장은 의무관리대상 아파트(300세대 이상 등)의 경우 주택관리사 자격증이, 500세대 미만은 주택관리사보 자격이 필요하며, 입주자대표회의 의결 업무 집행, 시설 관리, 안전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 의무를 가진다.
민사판례
아파트 관리회사는 전기요금 산정 방식 변경 가능성을 알았다면 입주자대표회의에 알리고 유리한 방식을 선택하도록 도와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게을리하여 입주자에게 손해를 끼친 경우 배상 책임을 진다.
생활법률
의무관리대상 아파트 입주민들은 자치관리를 통해 직접 아파트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입주자대표회의 감독 하에 자치관리기구를 구성하고 필수 기술인력, 장비 확보 및 관련 법령을 준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