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요즘 핫한 근무 형태, 바로 "원격근무"죠! 카페에서 노트북으로 일하는 모습, 상상만 해도 멋지지 않나요? 하지만 막상 도입하려니 궁금한 점도 많으실 거예요. 그래서 오늘은 원격근무에 대해 A to Z까지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원격근무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회사 사무실이 아닌 곳에서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일하는 것을 말합니다. (고용노동부, 『궁금함이 쏙쏙 풀리는 유연근무제 Q&A』, 2017. 12., 54쪽) 집에서 일할 수도 있고, 카페나 도서관 등 어디든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점이죠!
원격근무에도 종류가 있다?!
원격근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어떤 직무에 적용할 수 있을까요?
원격근무는 사실 거의 모든 직무에 적용 가능합니다! (고용노동부, 『궁금함이 쏙쏙 풀리는 유연근무제 Q&A』, 2017. 12., 55쪽) 혼자서도 충분히 업무 처리가 가능하거나, 외부와의 소통이 적은 직무라면 더욱 효율적이겠죠?
예를 들어, 위성 사무실형은 프로그래머, 디자이너, 작가 등 집중력이 필요한 업무에 적합하고, 이동형은 영업직, 컨설턴트 등 외부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은 직무에 적합합니다.
주휴일, 연차, 야근 수당은 어떻게 되나요?
원격근무라고 해서 기본적인 근로자의 권리가 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주휴일과 연차유급휴가는 일반 근로자와 똑같이 적용됩니다. (고용노동부, 『궁금함이 쏙쏙 풀리는 유연근무제 Q&A』, 2017. 12., 66쪽)
회사 지시로 야근, 휴일 근무를 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궁금함이 쏙쏙 풀리는 유연근무제 Q&A』, 2017. 12., 65쪽) 다만, 회사는 일반 근로자와 마찬가지로 연장근무 등에 대한 사전 신청 및 승인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무실 근무와 원격근무를 병행하면 근로시간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오전에는 사무실에서, 오후에는 카페에서 원격근무를 했다면? 두 시간을 합쳐서 계산하면 됩니다! (고용노동부, 『궁금함이 쏙쏙 풀리는 유연근무제 Q&A』, 2017. 12., 63쪽) 예를 들어 사무실에서 4시간, 카페에서 5시간 일했다면 총 9시간 근무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원격근무, 이제 어렵지 않죠? 잘 활용한다면 업무 효율성도 높이고, 워라밸도 챙길 수 있는 좋은 제도입니다. 궁금한 점이 해결되셨길 바라며, 더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자료를 참고해주세요!
생활법률
유연근무제는 근무 시간과 장소를 유연하게 조정하여 업무 효율성과 워라밸 향상을 목표로 하며, 탄력적·선택적·재량 근로시간제, 재택·원격근무, 직무공유, 시간제 근로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생활법률
재택근무의 정의, 적합 직종, 근로시간/임금/비용 등 관련 규정을 정리한 완벽 가이드.
생활법률
정부는 기업의 유연근무제(선택, 재택, 원격, 시차출퇴근) 도입을 지원하며, 조건 충족 시 최대 연 520만원의 간접노무비를 지원한다.
생활법률
유연근무제 도입을 위해서는 노사합의 및 관련 규정 정비 후, 직원 수요조사와 도입 가능성 분석(1단계), 제도 설계 및 인사·노무 관리 방안 마련(2단계), 법적 요건 준수 및 취업규칙 반영(3단계), 그리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제도 보완(4단계)를 거쳐야 한다.
생활법률
유연근무제 신청은 근로자의 의사를 존중하여 원하는 근무 형태를 선택하고 부서장 승인을 받으면 되고, 해제는 제외 신청 절차를 통해 기존 근무로 복귀할 수 있으며,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관련 규정과 제도 설계가 중요하다.
생활법률
유연근무제(탄력적, 선택적, 사업장 밖 간주, 재량 근로시간제)와 시간선택제(전환형, 채용형)를 통해 근무 시간과 장소를 유 гиб하게 조정하여 워라밸을 실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