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0.08.18

형사판례

울대 가격으로 인한 사망, 살인죄 인정될까?

무술 교관 출신인 피고인이 무술을 사용하여 피해자의 울대를 가격,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피고인은 살인의 의도는 없었고 단순 상해나 폭행의 의도였다고 주장했는데요, 과연 법원은 어떤 판단을 내렸을까요?

쟁점: 울대 가격 행위, 살인죄의 고의 인정될까?

이 사건의 핵심은 피고인의 행위에 살인의 고의가 있었는지 여부입니다. 살인죄가 성립하려면 살인의 고의, 즉 사람을 죽이려는 의도가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피고인은 살인의 의도는 없었고 상해나 폭행의 의도만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피고인의 행위에 살인의 고의가 있다고 판단하여 살인죄를 인정했습니다. 왜 그럴까요?

살인의 고의는 반드시 계획적이고 확정적인 살해 의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신의 행위로 타인의 사망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이나 위험을 인식하거나 예견했다면, 이른바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즉, 죽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행위를 했다면 살인죄가 인정될 수 있는 것입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무술 교관 출신으로 인체 급소를 잘 알고 있었다는 점, 무술을 사용하여 울대라는 매우 위험한 부위를 가격했다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피고인이 자신의 행위로 인해 피해자가 사망할 가능성을 인식했거나 예견했을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피해자가 먼저 피고인을 공격했다는 사실이 있더라도, 피고인의 행위가 살인의 고의에 기반한 이상 정당방위나 과잉방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형법 제13조 (미필적 고의): 범죄의 완성을 인식하면서도 이를 희망 또는 용인한 때에는 고의가 있는 것으로 인정한다.
  • 형법 제250조 (살인): 사람을 살해한 자는 사형,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
  • 대법원 1998. 6. 9. 선고 98도980 판결: 살인죄의 고의는 사망의 결과를 발생시킬 만한 가능성 또는 위험을 인식하거나 예견하면 족하며, 미필적 고의로도 인정된다.
  • 대법원 1988. 2. 9. 선고 87도2564 판결
  • 대법원 1994. 3. 22. 선고 93도3612 판결
  • 대법원 1994. 12. 22. 선고 94도2511 판결

이 사건은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죄 성립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살인의 목적이나 계획이 없었다는 주장만으로는 살인죄를 면할 수 없으며, 자신의 행위로 인해 사망이라는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을 인식했는지 여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미군의 살인죄, 어떻게 판단했을까? 목 졸라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 살인의 고의는? 그리고 미결구금일수는?

건장한 군인이 왜소한 피해자의 목을 졸라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살인의 고의가 인정되어 살인죄로 처벌된 사례. 또한, 미군 구성원의 미결구금일수는 형기에 당연히 산입된다는 판결.

#군인#폭행치사#살인죄#미필적 고의

형사판례

아이를 지속적으로 학대해서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살인죄가 될 수 있을까? - 아동학대살해죄의 미필적 고의 인정 여부

아동학대로 아동을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살해 의도가 없었더라도 사망 가능성을 예견할 수 있었다면 아동학대 살해죄로 처벌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

#아동학대#살해죄#미필적 고의#사망 가능성 예견

형사판례

살인죄의 고의와 형량 변경의 원칙

이 판례는 살인죄에서 '살인의 고의'가 어떻게 인정되는지, 그리고 항소심에서 형량을 정할 때 '불이익변경금지' 원칙이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살인죄#살인의 고의#미필적 고의#불이익변경금지 원칙

형사판례

여관 살인사건, 누구에게 살인죄가 성립할까?

여러 명이 공모하여 여관에 침입, 폭행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에서 살인의 고의, 공범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피해자의 과실이 개입된 사망과의 인과관계에 대한 대법원 판결.

#살인죄#미필적 고의#공범#피의자신문조서

형사판례

부부싸움 중 발생한 사망 사건, 살인의 고의는 있었을까?

목격자 없는 상황에서 발생한 남편의 사망 사건에서, 아내가 고의로 살해했다는 증거가 부족하여 살인죄 유죄 판결이 파기 환송됨. 우발적 사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핵심.

#부부싸움#남편 사망#살인죄#유죄 판결 파기

형사판례

누군가 시켜서 사람을 다치게 했는데, 죽으면 어떤 죄일까?

누군가에게 상해나 중상해를 시켰는데, 시킨 대상이 그보다 더 나아가 살인을 저지른 경우, 시킨 사람은 어떤 죄를 지게 될까요? 단순 상해/중상해 교사죄일까요, 아니면 살인죄에 대한 책임도 져야 할까요? 이 판례는 그 죄책의 범위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살인죄에서 '고의'는 어떤 의미인지도 설명합니다.

#상해교사#살인#고의#예견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