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11.22

세무판례

원양어선 중개수수료와 플랜트 기술용역, 부가가치세는 어떻게 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가가치세와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바로 원양어선에서 잡은 수산물의 매매 중개와 외국 법인이 국내 플랜트 건설에 제공한 기술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부과 여부에 대한 내용입니다.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내용이지만,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릴게요.

1. 원양어선 수산물 매매 중개 수수료: 국내 용역으로 부가가치세 부과 대상

일본 법인의 서울지점이 한국 수산업자들이 원양어선에서 잡은 수산물의 거래를 중개하고 수수료를 받았습니다. 이때, 중개의 대부분이 한국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설령 일본 본점이 일부 업무를 처리했더라도 이는 실질적으로 한국 내에서 제공된 용역으로 보아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핵심은 용역 제공 장소가 어디냐는 것이죠.

  • 관련 법조항: 부가가치세법 제10조 제2항 제1호 (용역의 공급장소)
  • 관련 판례: 대법원 1996. 11. 15. 선고 95누8904 판결

판례의 핵심 내용: 한국 수산업자들은 서울지점에서 어장 정보, 시장 동향 등을 얻고, 보험 처리 등의 업무를 진행했습니다. 가격 결정 후에는 본점에서 서울지점을 통해 대금 결제가 이루어졌습니다. 이처럼 중개용역의 중요하고 본질적인 부분이 한국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부 업무가 일본 본점에서 처리되었다 하더라도 전체 용역은 한국에서 제공된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선용품 조달 알선 역시 수산물 중개에 부수되는 거래로, 서울지점이 핵심적인 연결 업무를 담당했으므로 국내 용역으로 간주되었습니다.

2. 플랜트 건설 관련 기술용역: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 아님

외국 법인이 국내 법인에 플랜트를 공급하면서 기술 용역도 함께 제공한 경우, 이 기술 용역은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이 아닙니다. 면세 대상이 되려면 독립적인 사업으로서 과세 사업에 부수되지 않아야 하는데, 플랜트 공급과 관련된 기술 용역은 플랜트 공급이라는 과세 사업에 부수되는 용역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 관련 법조항: 부가가치세법 제4조, 제12조 제1항 제13호, 구 부가가치세법시행령(1995. 12. 30. 대통령령 제148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5조 제2호 (다)목
  • 관련 판례: 대법원 1993. 2. 23. 선고 92누8866 판결, 대법원 1993. 4. 9. 선고 92누13837 판결, 대법원 1993. 7. 27. 선고 92누9715 판결

판례의 핵심 내용: 기술용역 제공자가 기술사업 등을 영위하는 사업자라 하더라도, 해당 기술 용역이 과세사업에 필수적으로 부수되지 않는 독립적인 용역 공급이 아닌 이상,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플랜트 공급과 함께 제공된 기술감독 용역은 플랜트 공급이라는 과세사업에 부수되는 용역으로 보아 면세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처럼 부가가치세는 용역의 제공 장소와 사업의 성격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판단됩니다. 복잡한 세금 문제,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하게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원양어선 중개수수료와 국내원천소득, 그리고 세금 경정에 대한 이야기

한국에 지점을 둔 일본 무역회사가 한국 수산회사와의 거래에서 얻은 수수료가 국내원천소득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세금 감액 결정에 대해 불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해당 수수료가 국내원천소득이며, 최종적으로 세금이 감소한 경정처분에는 불복할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국내원천소득#경정처분#불복#수수료

세무판례

외국 기업이 제공하는 기술 용역, 부가가치세 내야 할까?

외국 법인이 국내에 기술 용역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그 용역이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에 해당한다면 부가가치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판결입니다.

#외국법인#기술용역#부가가치세 면제#시행규칙

세무판례

차관 착수금, 중개수수료, 어획물 판매수수료에 대한 과세 논쟁

이 판례는 차관 착수금이 기타소득에 해당하는지, 차관 중개수수료에 대한 과세처분 시 실수령액 입증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변동금리 차관의 중개수수료 계산방법, 그리고 해외 법인의 국내 지점 중개로 발생한 수수료가 국내원천소득인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차관 착수금#기타소득#차관 중개수수료#입증책임

세무판례

해외 기업의 국내 용역 제공과 부가세 납부, 누가 책임질까?

국내에 사업장이 있는 외국 법인은 국내에서 제공한 용역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용역 제공 후 대금 채권을 양도하더라도 실제 용역을 제공한 법인이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를 집니다.

#외국법인#국내사업장#부가가치세#용역

세무판례

수해 복구 공사대금, 부가가치세 내야 할까?

수해 복구를 위해 주민 위원회가 국가 보조금을 받아 공사업자에게 지급한 공사대금은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인 '국고보조금'에 해당하지 않아 부가가치세를 내야 한다.

#국고보조금#부가가치세#공사대금#면세

민사판례

부가가치세 면세 용역 계약에서의 부당이득 반환

지자체가 폐기물 처리업체에 부가가치세가 면세되는 용역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여 대금을 지급한 후, 면세 사실을 알고 부가가치세 반환을 청구했지만, 대법원은 계약 당시 면세 사실을 알았더라도 업체가 부담하는 매입세액 등을 고려하면 계약 금액이 달라졌을 것이라고 보기 어려워 반환 의무가 없다고 판결.

#폐기물 처리#부가가치세 반환#면세#용역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