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의 증거능력과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에 관한 중요한 판결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번 판결은 수사기관이 절차를 어기고 수집한 증거를 어떤 경우에 사용할 수 없고, 특히 디지털 증거를 압수수색할 때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잘 보여줍니다.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는 원칙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헌법과 형사소송법은 우리의 기본권을 보호하기 위해 증거 수집 절차를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습니다. 만약 수사기관이 이러한 절차를 어기고 증거를 수집했다면, 그 증거는 물론이고 그 증거를 바탕으로 얻은 다른 증거(2차적 증거)까지도 원칙적으로 재판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적법절차 원칙을 지키고, 함부로 증거를 수집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예외도 있습니다. 수사 과정에서 절차 위반이 있었더라도, 그 위반의 정도가 경미하고, 증거를 사용하지 않으면 오히려 진실을 밝히는 데 방해가 된다고 판단되는 아주 예외적인 경우에는 증거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법원은 위반의 경위, 위반으로 침해된 권리의 중요성, 증거와 위반 행위 사이의 인과관계 등 여러 가지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이러한 원칙은 수사기관이 위법하게 압수한 물건을 바탕으로 자백을 받은 경우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 더욱 엄격한 기준 적용!
컴퓨터, 스마트폰 같은 전자기기에 저장된 정보를 압수수색할 때는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수사기관은 원칙적으로 혐의 사실과 관련된 부분만 출력하거나 복사해야 합니다. 저장매체 전체를 압수하는 것은 현장에서 그렇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운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허용됩니다. 이 경우에도 압수수색 영장에 그러한 사유가 적혀있어야 합니다.
만약 저장매체 전체를 압수했다면, 수사기관은 혐의 사실과 관련된 정보만 골라서 확인해야 합니다. 관련 없는 정보까지 마음대로 출력하거나 복사하는 것은 위법입니다. 이러한 원칙은 헌법 제12조(적법절차 원칙)와 형사소송법 제114조, 제215조(압수수색)에 따른 것입니다.
이번 판결에서 다룬 사례
이번 사건에서 검찰은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와 그에 따라 얻은 자백을 근거로 피고인을 기소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해당 증거들이 적법절차를 위반하여 수집된 것이라고 판단하고, 증거능력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특히 디지털 증거와 관련해서는, 압수수색 영장에 기재되지 않은 혐의 사실과 무관한 자료를 출력한 것이 위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이번 판결은 적법절차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형사판례
절차적 하자가 있는 압수수색 영장으로 얻은 증거라도, 그 하자가 경미하고 수사기관의 고의나 중대한 인권 침해가 없다면 증거로 사용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특히, 디지털 저장매체 압수수색 과정에서 피압수자의 참여권이 보장되지 않았더라도, 피압수자가 참여를 거절했거나 참여권 침해가 경미하다면 압수수색은 적법하며, 그 결과물도 증거로 사용 가능합니다.
형사판례
영장 없이 또는 잘못된 절차로 얻은 증거는 원칙적으로 재판에서 쓸 수 없고, 그 증거를 바탕으로 얻은 다른 증거도 마찬가지다. 긴급체포 시 압수한 물건이라도 영장을 받지 못하면 즉시 돌려줘야 하며, 돌려주지 않은 물건은 증거로 쓸 수 없다. 동의를 받았더라도 마찬가지다.
형사판례
수사기관이 디지털 저장매체를 압수수색할 때, 피의자가 참여를 거부하더라도 변호인에게는 참여 기회를 보장해야 하며, 이를 어떻게 판단할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형사판례
수사기관이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할 때 영장에 적힌 내용대로 정확히 따라야 하고, 피의자의 참여권을 보장해야 하며, 압수물 목록을 제대로 작성하고 교부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전자정보가 담긴 저장매체를 압수수색할 때에는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야 합니다.
형사판례
수사기관이 USB 등 정보저장매체를 압수할 때, 이미징 파일을 압수한 이후의 분석 과정에서는 피의자 참여권이 보장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압수한 자료의 목록을 상세하게 교부해야 하며, 디지털 증거를 법정에서 증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원본과 동일함을 검사가 입증해야 한다.
형사판례
적법절차를 지키지 않고 수집한 증거는 원칙적으로 재판에서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는 '위법수집증거 배제법칙'을 확립한 중요 판례입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무원의 선거운동 기획 참여에 대한 판단 기준도 제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