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유언을 통해 재산을 물려받는 '수유자'도 상속세 납부 의무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상속인만 상속세를 내는 것이 아니랍니다. 오늘은 유언으로 재산을 받는 수유자를 위한 상속세 가이드를 준비했습니다.
1. 수유자도 상속세를 낸다?
네, 맞습니다! 법적으로 유증(유언에 의한 증여)을 받은 사람을 '수유자(受遺者)'라고 하는데, 수유자도 상속인과 마찬가지로 상속세 납부 의무가 있습니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3조의2). 유언자가 사망하는 순간, 유언의 효력이 발생하고 동시에 수유자의 상속세 납부 의무도 생깁니다.
2. 얼마나 내야 할까? 수유자의 상속세 계산법
수유자가 내야 할 상속세는 유언으로 받은 재산만큼 계산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상속재산을 기준으로 계산한 후 수유자가 받는 비율만큼 부담하게 됩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단계별로 살펴보면 어렵지 않습니다.
(1) 상속재산 파악하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8조~제10조)
(2) 상속세 과세가액 계산하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3조~제15조)
상속재산 - (공과금 + 장례비용 + 채무) + (사전증여재산 + 상속추정재산) = 상속세 과세가액
(3) 상속세 과세표준 계산하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8조~제25조)
상속세 과세가액 - 상속공제 - 감정평가수수료 - 재해손실공제 = 상속세 과세표준
(4) 상속세 산출세액 계산하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6조)
상속세 과세표준 × 세율 = 상속세 산출세액
(5) 최종 납부세액 계산하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3조의2)
전체 상속세 산출세액을 상속인 및 수유자가 받는 재산 비율대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전체 상속세가 1억원이고, 수유자가 전체 상속재산의 20%를 받는다면, 수유자가 납부할 상속세는 2천만원입니다.
3. 상속세 신고 및 납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7조, 제70조)
상속개시일(유언자 사망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관할 세무서에 상속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필요한 서류들을 꼼꼼히 준비하여 신고해야 불이익을 받지 않습니다. 분납, 연납, 물납 제도도 활용할 수 있으니,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70조, 제71조, 제73조).
4. 상속세 비과세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1조, 제12조)
일부 경우에는 상속세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예: 전쟁, 공무 중 사망, 국가 기증 재산 등)
5. 더 궁금한 점은?
이 글은 수유자의 상속세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세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또는 관할 세무서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세무판례
피상속인이 사망 전 2년 이내에 재산을 처분하거나 빚을 진 경우, 그 금액이 1억 원을 넘으면 상속세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상속재산의 가치는 상속 당시 시가를 기준으로 평가해야 하며, 소송 중에 시가가 밝혀지면 그 가치를 기준으로 상속세를 다시 계산해야 합니다.
세무판례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증여 후 사망했는데, 아버지가 먼저 사망하여 손자가 대습상속인이 된 경우, 상속세 계산 시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증여한 재산과 세대 생략으로 인해 추가로 낸 증여세(세대생략가산액)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세무판례
상속받은 재산보다 빚이 더 많더라도, 생전 증여받은 재산이 있다면 상속세를 낼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빚이 많다고 상속세 계산에서 '0'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마이너스(-) 금액을 기준으로 생전 증여 재산을 더해서 상속세를 계산해야 합니다.
상담사례
상속 시 상속세 외에도 관리비, 청산비용, 소송비용, 재산목록 작성 비용, 유언집행 비용, 장례비용 등 다양한 비용이 발생하므로 사전에 확인하고 준비해야 한다.
세무판례
상속 발생 전 일정 기간 내에 증여받은 재산은 상속재산에 포함되어 상속세가 부과되는데, 이때 이미 낸 증여세를 어떻게 공제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특히 증여받은 사람이 상속인일 경우, 증여세 공제는 그 상속인이 낼 상속세까지만 가능하다는 것을 명확히 했습니다.
세무판례
상속받은 재산 가액이 상속세보다 적더라도, 상속세 납부 의무는 상속받은 재산 가액만큼만 책임지면 된다는 판결입니다. 상속세가 상속재산보다 많아서 상속인 개인 재산에 압류가 들어왔더라도, 상속받은 재산 가액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한 납부 의무는 없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