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4.10.07

형사판례

음주측정 거부, 언제 처벌될까? 운전 종료 후 음주측정 거부는 무죄?

혹시 술을 마시고 운전하다가 경찰의 음주측정 요구를 거부한 적 있나요? 음주운전은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위험한 행위지만, 음주측정 거부 자체가 항상 처벌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운전 종료 후 음주측정을 거부했을 때 어떤 판결이 나왔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술을 마신 후 짧은 거리를 운전하여 예식장 앞에 주차했습니다. 다른 차량이 나가도록 차를 옮겨달라는 요청을 거부하면서 시비가 붙었고, 상대방이 경찰에 음주운전 신고를 했습니다. 출동한 경찰은 피고인을 경찰서로 데려가 음주측정을 요구했지만, 피고인은 이를 거부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운전을 종료한 후 이루어진 음주측정 거부가 처벌 대상인지 여부였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음주측정의 목적: 도로교통법 제41조 제2항에 따른 음주측정은 '교통안전과 위험방지'를 위한 예방적 행정행위입니다. 이미 발생한 범죄에 대한 수사 목적의 음주측정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도로교통법 제1조, 제41조 제2항)

  • 음주측정 거부 처벌 요건: 도로교통법 제107조의2 제2호는 경찰공무원의 적법한 음주측정 요구를 거부했을 때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교통안전과 위험방지의 필요성'이 있는 음주측정 요구를 거부해야 처벌됩니다.

  • 운전 종료 후 음주측정: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이미 운전을 종료했고, 다시 운전할 가능성도 없었습니다. 따라서 '교통안전과 위험방지의 필요성'이 없었으므로, 경찰의 음주측정 요구는 적법하지 않았습니다. 비록 음주운전 직후였다 하더라도, 운전을 종료한 시점에서는 더 이상의 위험이 없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도로교통법 제41조 제2항
  • 도로교통법 제107조의2 제2호
  • 대법원 1993.5.27. 선고 92도3402 판결
  • 대법원 1994.10.11. 선고 94도2023 판결

결론

이 판례는 음주측정 거부 처벌의 요건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음주운전 직후라는 이유만으로는 음주측정 거부를 처벌할 수 없으며, '교통안전과 위험방지의 필요성'이라는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물론, 음주운전 자체는 매우 위험한 범죄행위이므로 절대 해서는 안 됩니다. 이 글은 음주운전을 권장하는 것이 아니라, 음주측정 거부 처벌 요건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소개하는 것임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음주측정 거부, 언제 처벌될까?

이미 운전을 마친 후에 경찰의 음주측정 요구를 거부하더라도 음주측정거부죄로 처벌할 수 없다.

#음주측정거부#운전종료#위법#무죄

형사판례

음주측정 거부, 언제 처벌될까?

운전자가 술에 취했는지 의심할 만한 충분한 근거 없이 음주측정을 요구하고, 운전자가 이를 거부했다면 음주측정거부죄로 처벌할 수 없다.

#음주측정거부#대법원#무죄#상당한이유

형사판례

음주측정 거부, 언제 죄가 될까?

경찰의 음주측정 요구에 처음에는 거부했더라도 곧바로 측정에 응했다면, 음주측정불응죄로 처벌할 수 없다. 음주측정불응죄가 성립하려면 운전자가 음주측정에 응할 의사가 없음이 객관적으로 명백해야 한다.

#음주측정거부#음주측정불응죄#일시적 거부#거부 의사

형사판례

음주측정 거부, 언제 처벌받을까요?

술 마신 후 운전하다 사고를 내고 도주한 후, 경찰의 음주 측정 요구를 거부하면 시간이 좀 지났더라도 음주측정거부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음주측정거부#사고후도주#시간경과#처벌

형사판례

5시간 후 음주측정 거부도 처벌될 수 있을까? 음주측정거부죄 성립요건

음주운전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경찰의 음주측정 요구를 거부하면, 운전 후 시간이 지났고 집에서 자고 있었다 하더라도 음주측정거부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음주측정거부#음주운전#시간경과#상당한이유

형사판례

음주측정 거부, 나중에 혈액검사 받아도 소용없다?

술에 취했다고 의심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는 상태에서 경찰의 음주측정 요구를 거부하면, 나중에 혈액검사를 통해 음주운전 기준치 미만으로 밝혀지더라도 음주측정거부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음주측정거부#혈액채취#음주운전#기준미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