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02.09

일반행정판례

이미 끝난 임기, 의원직 제명 취소 소송은 의미가 있을까?

지방의회 의원이 의회에서 제명되었는데, 임기가 이미 끝났다면 제명 처분 취소 소송을 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요? 대법원은 "의미 없다"라고 판단했습니다. 왜 그럴까요?

사건의 개요

한 지방의회 의원이 의회에서 제명 처분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제명 처분에 불복하여 소송을 진행하는 동안 의원의 임기가 만료되었습니다. 이미 의원직에서 물러난 상황에서 제명 처분 취소 소송을 계속 진행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이러한 경우 소송을 계속할 이익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제명 처분을 취소한다고 해도 이미 임기가 끝나 의원직을 회복할 수 없기 때문에 소송의 실익이 없다는 것입니다.

소송의 목적과 원상회복 가능성

일반적으로 위법한 행정처분을 취소하는 소송은 위법한 상태를 없애고, 침해된 권리와 이익을 구제하기 위한 것입니다. 즉,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원상회복'이 소송의 핵심 목표입니다. 하지만 이 사건처럼 이미 임기가 만료되어 의원직을 회복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명 처분을 취소하더라도 원상회복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소송을 계속할 실질적인 이익이 없다고 보는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이러한 판단의 근거가 되는 법 조항은 행정소송법 제12조입니다. 이 조항은 취소소송은 처분 등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는 자가 제기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소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실질적인 이익이 있어야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지방자치법 제49조는 지방의회 의원의 임기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과 유사한 판례로는 대법원 1995. 6. 30. 선고 95누955 판결, 대법원 1995. 12. 5. 선고 95누6953 판결 등이 있습니다. 이 판례들은 임기 만료 후 제명 처분 취소 소송은 소의 이익이 없다는 원칙을 재확인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원상회복이 불가능한 경우 소의 이익이 없다는 일반적인 원칙을 보여주는 판례로 대법원 1991. 7. 23. 선고 90누6651 판결, 대법원 1994. 3. 11. 선고 93누20801 판결, 대법원 1995. 7. 11. 선고 95누4568 판결 등이 있습니다.

결론

이 사건은 행정처분 취소소송에서 '소의 이익'이라는 개념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아무리 행정처분이 위법하더라도, 소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실질적인 이익이 없다면 소송은 각하됩니다. 이미 임기가 끝난 의원의 제명 처분 취소 소송은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 의원 제명과 월정수당, 그 숨겨진 이야기

지방의회 의원에게 지급되는 월정수당은 의정활동에 대한 보수이며, 의원 임기가 만료되어도 부당한 제명으로 받지 못한 월정수당을 청구할 수 있다.

#지방의회#의원#제명#월정수당

일반행정판례

행정처분 취소소송, 언제 의미가 있을까? - 원상회복 가능성과 소의 이익

행정처분이 위법하더라도, 그 처분이 취소된다고 해서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면 소송을 제기할 실익이 없다는 판결입니다. 즉, 승소해도 아무런 이득이 없다면 소송 자체가 의미 없다는 뜻입니다.

#행정처분 취소소송#소의 이익#위법성#실익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 의원 제명, 어디에 소송을 걸어야 할까요?

지방의회 의원에 대한 징계처분은 행정처분으로, 이에 불복하는 소송은 지방의회 소재지를 관할하는 고등법원에 제기해야 합니다.

#지방의회#의원 제명#행정소송#고등법원

일반행정판례

시의원 제명, 돈으로 보상 못하면 효력 정지될 수 있다?

부당하게 시의원직에서 제명되었다면, 제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명예 손상 등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막기 위해 제명의 효력을 정지할 수 있다.

#시의원 제명#효력정지#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명예 손상

일반행정판례

이미 취소된 처분, 다시 소송할 수 있을까?

행정기관이 잘못된 처분을 내렸다가 스스로 취소한 경우, 이미 취소된 처분에 대해서는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취소된 행정처분#소송 불가#소의 이익#행정소송법

일반행정판례

행정처분 취소소송, 언제 할 수 있을까? - 소의 이익에 대한 이야기

잘못된 행정처분이 있더라도, 그 처분을 취소해도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면 소송을 할 이유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직장주택조합원 자격 박탈 사건에서, 행정청의 지시 때문이 아니라 조합 자체의 결정으로 제명된 경우가 그 예시입니다.

#행정처분 취소소송#소의 이익#원상회복 불가능#직장주택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