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인터넷 쇼핑몰 창업, 꼭 알아야 할 신고 절차 A to Z

인터넷 쇼핑몰 창업의 꿈을 꾸시나요? 축하드립니다! 하지만 쇼핑몰을 열기 전에 꼭 거쳐야 하는 중요한 법적 절차가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바로 통신판매업 신고부가통신사업 신고입니다.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지만,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1. 통신판매업 신고 - 소비자 보호를 위한 약속!

왜 신고해야 할까요? 온라인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모든 사업자는 소비자 보호를 위해 통신판매업 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는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전자상거래법) 제12조제1항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어떻게 신고하나요?

  1. 정부24(www.gov.kr)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통신판매업 신고를 진행합니다. (전자상거래법 시행령 제18조제1항) 오프라인 신고도 가능하지만, 온라인 신고가 훨씬 편리합니다.

  2. 필수 기재 사항:

    • 상호(법인의 경우 대표자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 포함), 주소, 전화번호
    • 전자우편 주소, 인터넷 도메인 이름, 호스트 서버 소재지 (전자상거래법 시행규칙 제8조제1항). 도메인과 호스트 서버가 정해지지 않았다면 신고증 발급 후 30일 이내에 보완해야 합니다.
    • 사업자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 (개인 사업자의 경우)
  3. 필수 제출 서류:

    •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 또는 결제대금예치 이용 확인증: 에스크로(결제대금예치) 또는 소비자피해보상보험 가입 증빙서류입니다. (전자상거래법 시행규칙 제8조제2항)
    • 면제 대상 소명자료 (해당되는 경우): 신용카드 결제만 받거나, 디지털 콘텐츠 판매 등 특정 조건에 해당하면 구매안전서비스 가입 의무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면제 사유에 대한 소명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 (결제대금 예치 또는 소비자피해보상보험계약 등의 체결이 면제되는 거래에 관한 고시)
  4. 신고가 완료되면 통신판매업 신고증이 발급됩니다. (전자상거래법 시행령 제13조제3항)

신고를 안 하면 어떻게 될까요? 신고를 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신고하면 3천만원 이하의 벌금 또는 시정조치, 영업정지, 과징금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자상거래법 제42조제1호, 제32조, 제34조)

2. 부가통신사업 신고 - 온라인 사업, 제대로 시작하기

누가 신고해야 할까요? 자본금 1억원 초과 인터넷 쇼핑몰은 부가통신사업 신고 대상입니다. (전기통신사업법 제22조제1항)

어떻게 신고하나요?

  1. 정부24(www.gov.kr) 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자민원센터(www.emsit.go.kr)**에서 신고합니다.

  2. 필수 제출 서류:

    • 부가통신사업자 신고서
    • 통신망 구성도 (과기정통부 장관이 요구하는 경우에만 해당)
    • 개인정보보호조치 구축 명세서 (개인정보 취급 시에만 해당)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제29조제1항, 제30조제1항)
  3. 신고가 완료되면 부가통신사업 신고증명서가 발급됩니다.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제29조제5항)

신고를 안 하면 어떻게 될까요? 미신고 영업 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으며, 시정명령, 사업정지 등의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기통신사업법 제96조제5호, 제92조, 제27조)

3. 변경 신고 - 쇼핑몰 정보, 꾸준히 업데이트!

통신판매업 변경신고: 사업자 정보(상호, 주소 등) 변경 시 15일 이내에 변경 신고를 해야 합니다. (전자상거래법 제12조제2항, 시행령 제16조제1항) 미신고 시 과태료 부과 및 행정처분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전자상거래법 제45조제4항제3호, 시행령 제42조 및 별표 3 제2호다목)

부가통신사업 변경신고: 상호, 주소, 대표자, 제공 역무 종류 등 변경 시 변경신고가 필요합니다. (전기통신사업법 제23조, 시행령 제31조제1항)

인터넷 쇼핑몰 창업은 설레는 도전입니다. 하지만 법적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으면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위 안내를 참고하여 필요한 신고 절차를 꼼꼼히 준비하고, 성공적인 쇼핑몰 운영을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인터넷 쇼핑몰, 잠깐 쉬거나 완전히 닫을 땐? 꼭 알아야 할 신고 의무!

인터넷 쇼핑몰 휴·폐업 및 영업재개 시, 통신판매업 신고(5일 전, 시/군/구청 또는 정부24)와 부가통신사업 신고(30일 전, 과기정통부 또는 정부24)를 해야 하며 미신고 시 과태료가 부과된다.

#인터넷 쇼핑몰#휴폐업 신고#영업재개 신고#통신판매업 신고

형사판례

인터넷 쇼핑몰 사업자, 사업자 등록 안 했으면 무조건 불법일까?

연 매출 4,800만원 미만의 온라인 소규모 판매자는 세무서에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았더라도 간이과세자로 인정되어 통신판매업 신고 의무가 면제된다.

#온라인 소규모 판매자#통신판매업 신고의무 면제#간이과세자#연매출 4800만원 미만

생활법률

인터넷 쇼핑몰 창업 A to Z: 법적 준수사항까지 꼼꼼하게!

인터넷 쇼핑몰 창업은 사업 계획 수립(상품 선정, 시장 조사, 물품 조달, 운영 방식 결정, 재무 계획), 웹사이트 구축(운영 정책, 제작 유형 결정, 디자인, 도메인 등록), 사업자 신고(사업자·통신판매업·부가통신사업자), 운영 준비(결제 시스템, 구매안전서비스, 상품 등록, 배송), 마케팅(검색엔진 등록, SNS, 이메일) 등의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쇼핑몰 창업#사업 계획#시장 조사#상품 선정

생활법률

인터넷 쇼핑몰 운영, 이것만은 알고 시작하자! - 광고 및 정보 제공 의무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 소비자 보호를 위해 상품정보, 거래조건 등을 명확히 고지하고, 미성년자 거래 시 법정대리인 동의 고지, 정직한 광고, 광고성 정보 전송 시 수신 동의, 수신거부 처리 의무 등을 준수해야 하며, 위반 시 벌금, 과태료, 영업정지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쇼핑몰 운영#법적 의무#전자상거래법#표시광고법

생활법률

인터넷 쇼핑몰 운영, 필수 법적 준수 사항 총정리! 🛡️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 사업자 정보, 공정한 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법률에 따라 명시하고 준수해야 하며, 위반 시 과태료 또는 징역형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쇼핑몰 법적 준수사항#사업자 신원 표시#약관 작성#개인정보 처리방침

생활법률

인터넷 쇼핑몰, 제대로 알고 시작하자! - 창업 A to Z

인터넷 쇼핑몰 창업 A to Z: 온라인 상점 개념, 전자상거래/통신판매 관련 법률, 개별 쇼핑몰과 오픈마켓 형태, 창업 시 유의사항을 소개.

#인터넷 쇼핑몰#창업#전자상거래#통신판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