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7.01.12

형사판례

임대주택, 공짜로 빌려주는 것도 안 돼요!

임대주택은 저렴한 가격에 주거 안정을 돕기 위해 나라에서 지원하는 주택입니다. 그런데 이런 좋은 제도를 악용하는 사례가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임대주택을 무상으로 사용하게 해주는 것도 불법이라는 사실이 확실해졌습니다.

돈을 받고 빌려주는 '전대'만 불법이 아니라고?

흔히 임대주택을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것을 전대라고 합니다. 보통 돈을 받고 빌려주는 경우를 생각하지만, 이번 판결은 돈을 받지 않고 그냥 빌려주는 무상 사용대차도 전대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공짜로 빌려주는 것도 안된다는 것입니다.

왜 이런 판결이 나왔을까?

법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이런 판결을 내렸습니다.

  • 임대주택의 목적: 임대주택 제도는 어려운 사람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임대주택을 함부로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행위는 이런 목적에 어긋납니다.
  • 임대주택법의 규정: 구 임대주택법(2015. 8. 28. 법률 제13499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19조는 임차권 양도 및 전대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임대주택의 공정한 배분과 관리를 위해 필요한 조치입니다. 법원은 이 조항에서 말하는 '전대'에 유상뿐 아니라 무상 사용대차도 포함된다고 해석했습니다.
  • 처벌 규정: 구 임대주택법 제41조 제4항은 부정한 방법으로 임대주택을 임대받거나 임차권을 무단 양도, 전대하는 행위를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대 행위가 얼마나 심각한 문제인지를 보여줍니다.

판결의 의미: 이번 판결은 임대주택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제도의 악용을 막기 위한 법원의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임대주택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이 점을 명심하고, 전대 행위를 절대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관련 법조항:

  • 구 임대주택법(2015. 8. 28. 법률 제13499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1조, 제19조, 제20조 제1항, 제41조 제4항
  • 구 임대주택법 시행령(2015. 7. 24. 대통령령 제2644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8조 제1항
  • 현행 공공주택 특별법 제1조, 제49조의4, 제49조 제1항, 제57조의4
  • 현행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령 제48조 제1항

참고: 이 글은 일반인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으며, 법률 전문가의 자문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법률 및 판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임대주택, 마음대로 양도/전대 절대 안돼요! 🙅‍♀️🙅‍♂️

임대주택 임차권은 원칙적으로 양도/전대가 금지되며, 예외적인 사유(타 시군구 이사 등)와 임대사업자 동의가 있어야 가능하고, 무단 양도/전대는 무효입니다.

#임대주택#임차권#양도#전대

형사판례

자가용 화물차, 돈 받고 빌려주면 불법일까?

돈을 받고 자가용 화물차를 빌려주는 행위는, 화물을 운송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불법 운수사업에 해당한다.

#자가용 화물차#유상 임대#불법 운수사업#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형사판례

건설면허 대여, 돈 안 받고 빌려줘도 불법! 회사 직원도 처벌 대상!

건설업 면허를 빌려주는 행위는 돈을 받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불법이며, 회사 직원이 면허 대여에 관여한 경우에도 처벌 대상이 된다.

#건설업 면허 대여#불법#무상 대여#직원 처벌

상담사례

맘대로 전대한 세입자, 나도 돈 받을 수 있을까?

임대차 계약 해지 전에는 세입자의 무단 전대(轉貸) 시 제3자에게 직접 손해배상 청구가 어려우며, 세입자에게 월세 청구는 가능하다.

#무단전대#손해배상#부당이득반환#임대차계약해지

생활법률

🏡 내 집, 또 빌려줄 수 있을까? 전대차 완전 정복!

임차한 집을 다시 빌려주는 전대차는 원칙적으로 집주인 동의가 필요하지만, 예외적인 경우도 존재하며, 동의가 있는 경우 전대인과 전차인, 임대인과 임차인, 임대인과 전차인 간의 복잡한 법률 관계가 형성됨. 전세권의 전대인 전전세는 등기가 필요하며, 원전세권의 존속기간과 전세금을 초과할 수 없음.

#전대차#전전세#임대인 동의#제한

상담사례

몰래 전대 줬는데, 집주인이 계약 해지한다고?! 꼭 그런 건 아니에요!

집주인 동의 없는 전대(전차)는 원칙적으로 계약 해지 사유지만, 집주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등 특별한 사정이 인정되면 계약 해지가 불가능할 수 있다.

#전대#계약해지#특별한 사정#대법원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