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7.04.27

형사판례

임야 매수 자금 대출, 부풀려서 받으면 사기죄?

정부에서 지원하는 임야 매수 자금 대출, 실제 필요한 금액보다 부풀려서 받으면 어떻게 될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이와 관련된 중요한 법적 기준이 제시되었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남성이 임업후계자 육성을 위한 정책자금 대출을 받는 과정에서 실제 임야 매수 자금보다 부풀린 허위 계약서를 제출했습니다. 이를 통해 정부 지원금을 더 많이 받으려고 한 것이죠. 이 남성은 대출금을 상환할 능력이 있었지만, 결국 사기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이 사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1. 대출 조건과 용도가 명확히 정해진 정책자금 대출의 경우, 허위 계약서를 제출하여 대출금을 부풀려 받는 행위는 대출기관을 속이는 기망 행위에 해당합니다. 대출금 상환 능력 여부와 관계없이 '편취의 고의'가 인정되어 사기죄가 성립합니다. 즉, 돈을 갚을 능력이 있더라도 속여서 돈을 타냈다면 사기죄라는 것입니다. (형법 제347조)

  2. 대출 조건 및 용도에 위반하여 자금을 사용하는 것이 관행이라는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설령 그런 관행이 있다 하더라도 법에 어긋나는 행위이기 때문에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행위도 아니므로 비난 가능성을 피할 수 없습니다. (형법 제20조)

쉽게 말해, 정부 지원금은 정해진 목적대로 사용해야 하며, 필요한 금액보다 더 많이 받기 위해 허위 서류를 제출하는 것은 범죄 행위라는 것입니다. 관행이라는 이유로 불법 행위가 정당화될 수는 없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형법 제347조 (사기)
  • 형법 제20조 (정당행위)
  • 농어촌구조개선 특별회계법 제13조
  • 대법원 2003. 2. 28. 선고 2002도7067 판결
  • 대법원 2005. 10. 7. 선고 2005도6064 판결
  • 대법원 2005. 11. 10. 선고 2005도6026 판결

정부 지원금을 부정하게 수급하는 것은 심각한 범죄 행위입니다. 정해진 용도에 맞게 정직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법을 위반하는 행위는 결국 처벌받게 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부동산 담보대출 사기, 얼마나 속였는지가 중요할까?

담보물의 가치를 거짓으로 높여 대출받으면 사기죄가 성립하고, 부당이득은 실제 대출받은 금액 전체입니다. 담보가치를 속여서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보다 더 많은 돈을 받았더라도, 속이지 않았다면 아예 대출을 받지 못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담보가치#부풀리기#대출사기#부당이득

형사판례

농지구입자금 대출 사기, 당신도 예외는 아닙니다.

정부 지원 농지구입자금을 받아 농지 구입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면 사기죄가 성립한다.

#농지구입자금#사기죄#용도외 사용#기망행위

형사판례

국민주택 건설자금 대출 사기, 용도 속이면 전액 사기죄!

국민주택 건설자금 대출을 받을 때 용도를 속였다면, 대출금의 일부를 실제 용도대로 사용했거나 은행 직원이 속임수를 알았더라도 사기죄가 성립한다.

#국민주택기금#대출#사기죄#용도

형사판례

돈 빌려준다고 속이고 돈 챙기면 사기죄!

금융기관 관련 일을 알선해 주겠다고 거짓말을 하고 돈을 받았다면, 실제로 알선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을 경우 특정경제범죄법 위반(알선수재)죄와는 별개로 사기죄가 성립한다.

#대출알선#사기죄#기망#편취

형사판례

정부 보조금, 부풀린 공사비로 더 받으면 안 돼요!

정부 보조금을 신청할 때 실제 공사비보다 부풀린 금액을 제출하여 더 많은 보조금을 받으면 불법입니다.

#보조금#부정수급#허위신청#공사비

형사판례

돈 빌릴 때 속이면 안 돼요! 사기죄와 업무상 배임죄 이야기

갚을 능력이 없는데도 숨기고 돈을 빌리면 사기죄가 되고, 은행 직원과 공모하여 부당하게 대출을 받으면 업무상 배임죄의 공범이 됩니다.

#대출사기#사기죄#업무상배임#공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