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3.01.12

형사판례

자본금 가장납입 & 기술자격증 대여 건설업체, 사기죄로 처벌될까?

오늘은 건설업 등록 과정에서 자본금을 가장납입하고, 기술자격증을 대여받아 전문건설업을 부정 등록한 건설업체의 사기죄 성립 여부에 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복잡한 사건이지만 핵심 쟁점을 중심으로 최대한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건설업체가 자본금 요건과 기술자 보유 요건을 속여 전문건설업을 등록했습니다. 실제로는 전문공사를 하도급받을 자격이 없었음에도, 이를 숨기고 여러 공사를 수주하여 공사대금을 받았습니다. 검찰은 이를 사기죄로 기소했습니다.

쟁점

자격 요건을 속이고 공사를 수주하여 대금을 받은 행위가 사기죄에 해당하는가?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기죄의 핵심은 '재산상 손해': 사기죄는 타인을 속여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는 범죄입니다. 이 사건에서 건설업체는 자격 요건을 어린 것이 사실이나, 실제로 공사를 완료하고 하자가 없다면 발주처는 재산상 손해를 입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 자격 요건 위반 ≠ 사기: 행정법규나 자격 요건을 위반했다고 해서 무조건 사기죄가 성립하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그 위반행위 때문에 계약 이행이 불가능했는지 여부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건설업체가 공사를 정상적으로 완료했으므로, 자격 요건 위반이 계약 이행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 '일을 완성할 의사나 능력'이 중요: 도급계약에서 사기죄가 성립하려면, 계약 당시 일을 완성할 의사나 능력이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계약을 체결하고 대금을 받아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건설업체가 자본금을 가장납입하고 기술자격증을 대여받았지만, 실제로 공사를 완료했으므로 처음부터 일을 완성할 의사와 능력이 없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형법 제347조 (사기): 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의 교부를 받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대법원 2008. 2. 28. 선고 2007도10416 판결: 도급계약에서 편취에 의한 사기죄의 성립 여부는 계약 당시를 기준으로 피고인에게 일을 완성할 의사나 능력이 없음에도 피해자에게 일을 완성할 것처럼 거짓말을 하여 피해자로부터 일의 대가 등을 편취할 고의가 있었는지 여부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 대법원 2019. 12. 27. 선고 2015도10570 판결: 도급계약 체결 당시 관련 행정법규나 자격 요건 등에 관한 규정을 위반한 사정이 있더라도 그러한 사정만으로 도급계약을 체결한 행위가 기망행위에 해당한다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결론

이 판례는 행정법규 위반과 사기죄의 구별 기준을 제시하고, 도급계약에서 사기죄 성립 요건을 명확히 한 중요한 판례입니다. 자격 요건을 갖추지 않은 업체라 하더라도 실제로 계약을 이행하고 재산상 손해를 입히지 않았다면 사기죄로 처벌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자격증 대여로 산림사업 따냈다고 사기죄? 꼭 그렇진 않아요!

자격증 대여 등으로 산림사업법인 등록 요건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공사를 수주하고 완료한 경우, 사기죄가 성립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산림사업법인 등록 요건 위반 사실만으로는 사기죄의 성립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환송했습니다.

#산림사업법인#등록요건 위반#사기죄#자격증 대여

형사판례

문화재 수리 계약과 사기죄 성립 여부

문화재 수리업체가 관련 법규를 위반하여 공사 계약을 체결했더라도, 계약 당시 공사를 완성할 의사와 능력이 있었다면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사기죄 성립 여부는 계약 당시의 상황과 이후 공사 진행 과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문화재 수리#공사 계약#사기죄#계약 당시 의사 및 능력

형사판례

안전진단 용역 하도급, 사기죄로 처벌될까?

안전진단 전문기관이 하도급 업체에 용역의 대부분을 맡기더라도, 전문기관이 실질적으로 관여했다면 명의대여로 볼 수 없으며, 하도급 사실을 숨겼다는 것만으로는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판결.

#안전진단#하도급#사기죄#명의대여

형사판례

공사대금 미지급, 사기죄로 처벌할 수 있을까?

건물주가 공사 지연 등을 이유로 공사대금을 지급하지 않았다고 해서 바로 사기죄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건물주에게 애초부터 공사대금을 지급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음을 검찰이 입증해야 한다.

#공사대금#미지급#사기죄#지급의사

형사판례

공사대금 부풀리기, 사기죄일까?

공사대금을 기성고(공사 진행률)에 따라 나눠 받기로 약정한 경우, 실제보다 부풀린 시공 물량을 기반으로 기성금을 청구하면 사기죄가 될 수 있다.

#공사기성금#사기죄#기망행위#락볼트

형사판례

공사대금과 대여금을 합쳐 임대차보증금으로! 사기죄일까?

돈을 빌려주고 받을 권리(대여금, 공사대금 채권)를 전세보증금으로 바꾸는 계약을 한 후, 실제로 집에 살면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았다면, 경매에서 보증금을 받았다고 해서 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또한, 공동피고인 중 한 명의 상고가 인정되어 판결이 파기될 경우, 다른 공동피고인에게도 동일한 사유가 적용된다면 그 판결도 함께 파기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고 있습니다.

#공사대금#대여금#전세보증금#사기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