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재건축조합의 법인세 부과와 소득금액변동통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우셨을 텐데,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사건의 개요
길동삼광연립 재건축조합(이하 '조합')은 아파트 재건축 사업을 진행하면서 일부 아파트를 조합원에게 분양하고, 나머지는 일반 분양했습니다. 강동세무서장은 조합에 법인세를 부과하고 소득금액변동통지를 했습니다. 이에 조합은 세무서장의 처분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구분경리 의무자: 조합은 구 주택건설촉진법에 따라 설립 인가를 받고 법인설립등기를 마친 비영리내국법인이므로, 법인세법 제113조 제1항에서 정한 '구분경리 의무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구 주택건설촉진법 제44조 제1항,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18조, 구 법인세법 제113조 제1항)
일반 분양 소득: 일반 분양으로 얻은 소득은 법인세 부과 대상이 맞습니다. 다만, 이 소득은 조합원들이 조합원 분양분 아파트를 취득하기 전에 유출되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조합원에게 소득이 귀속되는 시점은 건축비 충당 시점이 아니라, 출자가액을 초과하는 아파트를 분양받는 시점입니다. (관련 법 조항: 구 법인세법 제15조, 제41조, 구 법인세법 시행령 제11조, 제72조)
2003 사업연도 법인세 부과: 2003년 6월 30일 이전에 설립 인가를 받은 재건축조합은 구 조세특례제한법 제104조의7 제1항에 따라 조합과 조합원에게 소득세를 과세해야 합니다. 조합이 법인세법 제60조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법인세를 부과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2003 사업연도 법인세 부과처분 및 소득금액변동통지는 위법합니다. (관련 법 조항: 구 조세특례제한법 제104조의7 제1항, 부칙 제25조, 구 법인세법 제60조)
결론
대법원은 2001, 2002 사업연도 법인세 부과처분은 적법하지만, 소득금액변동통지는 위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2003 사업연도 법인세 부과처분 및 소득금액변동통지 역시 위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따라서 원심 판결 중 일부를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했습니다.
이번 판결은 재건축조합의 법인세 부과와 관련된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재건축조합 관련 세무 이슈에 관심 있는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세무판례
재건축조합이 조합원으로부터 신탁받은 토지 중 조합원용이 아닌 일반분양용 토지를 취득할 때 취득세를 내야 할까요? 대법원은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세무판례
주택재개발조합이 해산 후 남은 아파트를 팔아 얻은 수입은 법인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
세무판례
재건축조합이 조합원용 외에 추가로 지은 아파트와 상가를 일반 분양하면 부가가치세를 내야 한다. 왜냐하면 이는 사업자가 사업 목적으로 재화를 공급하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민사판례
재건축 아파트 분양가를 정할 때, 국민주택 규모(전용면적 85㎡ 이하)를 초과하는 아파트 건설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모든 조합원에게 부담시키려면 조합원 4/5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며, 부가가치세가 분양가에 반영되었는지 여부는 분담금 반환 소송에서 중요한 쟁점이 된다.
세무판례
재건축조합이 조합원에게서 신탁받은 토지 중 조합원용이 아닌 일반분양용 토지 부분에 대해서는 취득세를 부과할 수 없다.
세무판례
조세심판원의 재조사 결정은 과세 당국을 기속하며, 재조사 결정이 내려지면 그 취지에 맞게 후속 조치를 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재개발 조합의 법인세 관련하여 조세심판원이 재조사 결정을 내렸지만, 과세 당국이 재조사 결정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위법하다고 판단되었습니다. 대법원은 하급심 판결을 뒤집고, 조세심판원의 재조사 결정 취지를 오해한 원심 판결에 잘못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