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08.14

민사판례

재심, 그 복잡한 이야기를 풀어봅니다

재심. 법원의 확정판결에 오류가 있을 때 다시 판단을 구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재심을 진행하는 과정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까다롭습니다. 오늘은 재심과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사례를 살펴보면서 그 과정을 조금이나마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위증한 증인, 재심의 사유가 될 수 있을까?

재판에서 증인이 거짓말을 하는 경우, 즉 위증을 한 경우, 그것이 판결에 영향을 미쳤다면 재심의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7호, 구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7호). 단순히 위증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고 무조건 재심 사유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 거짓 증언이 판결 결과에 실제로 영향을 미쳤어야 합니다. 만약 판결에서 그 증언과 다른 사실을 인정했다면, 위증은 재심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이번 사례에서는 위증한 증인의 거짓말이 판결의 중요한 근거가 되었기 때문에 재심 사유로 인정되었습니다.

2. 위조된 문서를 근거로 재심을 청구하려면?

판결의 증거로 사용된 문서가 위조 또는 변조된 경우에도 재심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6호, 구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6호). 하지만 단순히 위조되었다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검사가 해당 문서 위조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더라도, 공소시효가 남아있었다면 유죄 판결을 받았을 가능성까지 증명해야 합니다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2항). 이번 사례에서는 원고가 이 부분을 충분히 입증하지 못하여 재심 사유로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3. 민사 판결과 형사 판결이 충돌하면?

같은 사건에 대해 민사와 형사 재판에서 다른 판단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민사 재판은 형사 재판의 결과에 구속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형사 재판에서 유죄가 확정된 사실은 민사 재판에서 매우 중요한 증거가 됩니다. 특히 민사 판결 이후에 형사 재판에서 오랜 심리 끝에 사기 판결임이 밝혀진 경우, 법원은 형사 판결의 사실 인정을 더 신뢰해야 합니다. 이번 사례에서도 형사 재판 결과를 존중하여 재심이 인용되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187조, 제261조)

4. 농지 분배 관련 문서의 효력은?

농지 분배와 관련된 상환 대장은 농지 분배에 대한 중요한 증거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농지개혁법시행령 제32조, 제38조, 민법 제186조). 특히 농가 소재지와 농지 소재지 관청이 다른 경우, 농지 소재지 관청이 작성한 농가별 분배 농지 일람표가 농가 소재지 관청에 송부되어야 분배가 확정됩니다. 이렇게 확정된 토지에 대한 농가 소재지 관청의 상환 대장은 분배에 대한 추정 자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참고 판례:

  • 대법원 1989.10.24. 선고 88다카29658 판결
  • 대법원 1989.5.9. 선고 87다카1519 판결
  • 대법원 1990.2.27. 선고 88다카23391,23407 판결
  • 대법원 1982.12.28. 선고 82도263 판결

재심은 법적인 절차가 복잡하고 어려운 만큼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 사례들을 통해 재심 제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위증이 재심 사유가 되려면?

재판에서 증인이 거짓말을 했더라도, 그 거짓말이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면 재심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재심 여부를 판단할 때는 기존 판결의 증거뿐 아니라 재심 재판에서 새롭게 제출된 증거까지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재심#위증#허위진술#판결 영향

일반행정판례

증인 위증과 재심, 그 험난한 길

재판에서 증인이 거짓말을 했다고 의심되어 위증죄로 고소했지만, 증인을 찾을 수 없어서 위증죄 재판이 진행되지 못했다면, 이것만으로는 원래 재판 결과를 뒤집을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거짓 증언이나 위조된 증거가 재판 결과에 실제로 영향을 미쳤어야 재심 사유가 됩니다.

#위증죄#재심사유#증인소재불명#증거영향력

민사판례

위조/변조 문서와 허위 증언, 재심 사유가 될까?

재심은 확정된 판결에 중대한 잘못이 있을 때 다시 판단하는 제도입니다. 이 판례는 위조/변조된 문서나 증인의 허위진술이 있더라도, 그것이 판결 결과에 실제로 영향을 미쳤을 때에만 재심 사유가 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단순히 위조/변조 또는 허위진술이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재심#위조/변조 문서#허위진술#판결 영향

형사판례

위증이 드러나면 재심 가능할까? - 재심사유와 절차에 대한 심층 분석

확정된 판결 이후, 원래 판결에서 사용된 증언이 거짓으로 밝혀졌거나 새로운 중요한 증거가 발견된 경우 재심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 판결은 재심 청구의 요건과 절차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재심#허위증언#새로운증거#재심절차

민사판례

재심, 위조된 증거 또는 허위 진술이 있어야 가능할까?

재판에서 위조된 문서나 허위 진술이 재심 사유가 되려면, 그 문서나 진술이 판결의 핵심 증거로 사용되어 판결문에 명시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판사의 생각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만으로는 재심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재심#위조문서#허위진술#판결문 명시

민사판례

위증이 재심 사유가 되려면?

거짓 증언이 있었다고 해서 무조건 재심(재판을 다시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 거짓 증언이 판결 결과에 실제로 영향을 미쳤어야만 재심 사유가 됩니다.

#위증#재심#판결 영향#증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