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0.03.25

민사판례

전세권 양도 약속, 나한테 한 건가요? 제3자를 위한 계약?

오늘은 전세권 양도와 관련된 복잡한 법적 분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제3자를 위한 계약'이라는 개념이 쟁점이 된 사례인데요,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 **'갑'**은 주식 투자 손실을 보전받기 위해 **'을'**에게 전세권을 양도받기로 했습니다.
  • **'을'**은 '병' 회사에 빚이 있었는데, **'정'**이라는 사람이 그 빚을 대신 갚아주면 **'갑'**의 전세권을 **'정'**에게 주기로 약속했습니다.
  • **'을'**은 **'정'**의 요청에 따라 전세권 양도 확인서를 **'갑'**에게 받았는데, 그 확인서에는 **'갑'**이 **'정'**이 아닌 **'갑'**에게 전세권을 양도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습니다.
  • 결국 **'정'**이 '병' 회사의 빚을 갚지 못했고, **'갑'**은 **'을'**에게 전세권을 양도받지 못했습니다.
  • **'갑'**은 **'을'**에게 약속대로 전세권을 달라고 소송을 걸었지만, **'을'**은 **'정'**이 빚을 갚지 못했으니 자신에게도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핵심 쟁점은 **'갑'**과 '을' 사이의 약속이 제3자인 **'갑'**을 위한 계약인지 여부였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은 근거로 **'갑'**이 단순히 제3자를 위한 계약의 수익자라고 판단했습니다.

  • **'갑'**은 **'을'**과 '정' 사이의 약속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습니다.
  • **'갑'**이 전세권 양도 확인서 작성을 요구했다는 증거가 없습니다.
  • **'갑'**은 **'정'**에게 직접 손실 보전을 요구한 적이 없습니다.
  • **'을'**이 **'정'**에게는 조건부로, **'갑'**에게는 조건 없이 전세권을 양도한다는 것은 불합리합니다.
  • **'을'**이 **'정'**과 더 이상 경제적 이해관계를 같이하지 않는 상황에서 **'갑'**에게 무조건 손실을 보전해 줄 이유가 없습니다.

즉, **'을'**은 **'정'**과의 약속에 따라 **'갑'**에게 전세권을 양도하기로 한 것이며, **'갑'**은 그 약속의 결과로 이익을 얻는 수익자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민법 제105조 (제3자를 위한 계약) 계약 당사자는 계약으로 제3자에게 권리를 취득하게 하는 것을 약정할 수 있다.
  • 민법 제539조 (조건의 성취) 조건부권리의무는 조건이 성취한 때로부터 그 효력이 생긴다.
  • 대법원 1996. 1. 26. 선고 94다54481 판결
  • 대법원 1997. 10. 24. 선고 97다28698 판결
  • 대법원 2006. 9. 14. 선고 2004다18804 판결
  • 대법원 1994. 3. 25. 선고 93다32668 판결
  • 대법원 1996. 10. 25. 선고 96다16049 판결

결론

이 사례는 계약 당사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줍니다. 단순히 문서에 적힌 내용만으로 판단하기보다는 계약이 이루어진 배경, 당사자들의 관계, 계약으로 발생하는 이익과 손실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전세권 양도와 관련된 계약을 맺을 때는 더욱 신중해야겠죠?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전세 만료 후 전세권 양도,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

전세 만료 후 전세권(전세금 반환 채권) 양도는 가능하지만, 집주인에게 확정일자 받은 문서로 양도 사실을 통지해야 제3자에게 권리 주장이 가능하다. 단순 등기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전세권 양도#전세 만료#전세금 반환 채권#채권 양도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계약과 소유권 이전, 그리고 소송에서의 쟁점

아파트 분양계약에서 수분양자가 신탁회사를 상대로 직접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는지, 그리고 소송 과정에서 청구취지 변경의 의미가 불분명할 때 법원은 어떤 의무를 지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본 판례는 수분양자가 신탁회사에 직접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없다고 판단했으며, 원고의 청구취지 변경의 의미가 불분명한 경우 법원은 그 취지를 명확히 하도록 석명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분양계약#소유권이전등기청구#청구취지 변경#석명의무

상담사례

전세금 돌려받을 권리, 전세 기간 중에 팔 수 있을까요?

전세 계약 기간 중 전세금 반환 권리만 양도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전세 계약 종료 후 반환을 조건으로 하는 양도는 유효하며, 이 경우 계약 종료 후에는 양수인에게 전세금을 반환해야 한다.

#전세금 반환 권리 양도#전세권 양도#조건부 양도#전세 계약 기간

민사판례

돈 갚아주기로 한 약속, 그냥 인수인가? 제3자를 위한 계약인가?

점포를 넘겨받는 사람이 기존 점포 주인의 빚을 대신 갚아주기로 약속한 경우, 단순히 빚 갚는 행위를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빚을 진 사람을 위해 새롭게 빚을 갚겠다고 약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점포 양도계약#채무 변제#제3자를 위한 계약(중첩적 채무인수)#이행인수

상담사례

빚 탕감 계약? 나도 혜택 받을 수 있을까? (제3자를 위한 계약)

제3자를 위한 계약에 채무 면제 조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3자의 의사와 상황도 고려된다.

#제3자를 위한 계약#빚 탕감#채권 양도#제3자 의사

상담사례

전세 끝났는데, 전세금 돌려받을 권리만 넘겨받을 수 있나요?

전세 계약 종료 후에는 전세금반환채권만 별도로 양도 가능하며, 사례의 민수처럼 채권 양수인은 전세권 등기 없이도 집주인에게 전세금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전세금반환채권#양도#전세권#계약만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