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4.01.16

형사판례

조직폭력배, 그들의 세계: 기존 조직과 새로운 조직, 그 경계는 어디일까?

오늘은 폭력조직과 관련된 흥미로운 판결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제1파'라는 기존 폭력조직이 있었고, 그 조직원 중 일부가 '제3파'라는 새로운 조직을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사건입니다. 과연 '제3파'는 정말 '제1파'와는 완전히 별개의 새로운 폭력조직일까요? 대법원은 이에 대해 어떤 판단을 내렸을까요?

사건의 개요

'제1파'라는 폭력조직이 있었습니다. 이 조직의 일부 조직원들이 '제1파'의 두목 영향력에서 벗어나 '제3파'라는 새로운 조직을 만들었다는 것이 검찰의 주장입니다. '제3파'는 독자적인 규율, 위계질서를 갖추고 다른 폭력조직과의 충돌('제2사건'이라고 합니다)을 통해 결속력을 다졌다고 합니다. 검찰은 '제3파'를 범죄단체로 보고 기소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제3파'가 정말 '제1파'와는 다른 별개의 범죄단체로 볼 수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단순히 기존 조직에서 갈라져 나온 것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단체로 인정되려면 어떤 요건을 충족해야 할까요?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제3파'를 별개의 범죄단체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은 기존 범죄단체를 이용하여 새로운 범죄단체를 구성했다고 인정하려면, 기존 조직이 해체되었거나, 기존 조직에서 분리되어 완전히 새로운 조직을 만든 경우, 기존 조직이 다른 조직을 흡수하거나 통합하여 조직이 완전히 변경된 경우 등 기존 조직과의 동일성이 없을 정도로 조직이 바뀌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대법원 2000. 3. 24. 선고 2000도102 판결 참조)

이 사건에서 '제3파'는 '제2사건' 이후 수사기관의 편의에 의해 붙여진 이름에 불과하고, '제1파'와 완전히 분리되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제3파' 구성원 중 상당수가 '제1파' 출신이었고, '제2사건' 또한 '제1파' 두목의 의사에 반하여 일어난 우발적인 사건에 불과하다는 정황 등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즉, 단순히 조직원 일부가 갈라져 나오고 새로운 이름을 붙였다고 해서 바로 별개의 범죄단체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결론

이 사건은 범죄단체의 동일성 판단 기준을 제시한 중요한 판례입니다. 단순한 조직원의 변동이나 명칭 변경만으로는 새로운 범죄단체의 구성으로 인정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입니다. 폭력조직의 실체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른 법적 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조직의 구성, 목적, 활동 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기존 범죄단체를 이용한 새로운 범죄단체 구성과 증거능력에 대한 판결 이야기

기존 폭력조직을 통합하여 새로운 범죄단체를 구성한 사건에서, 구성원들의 범죄단체 구성·가입, 범인도피, 폭행 등에 대한 유죄 판결과 관련된 증거능력, 법리, 형량 등을 다룬 상고심 판결입니다. 특히, 공동피고인의 피의자신문조서 증거능력, 전문진술의 증거능력, 경합범 처벌에 관한 법률 개정의 적용 등이 주요 쟁점입니다.

#범죄단체 구성#범인도피#폭행#상고심

형사판례

기존 범죄단체 이용해 새 단체 만든 경우, 범죄단체 구성죄로 처벌 가능할까?

이 판례는 기존 범죄단체를 이용하여 새로운 범죄단체를 구성했다고 인정하기 위한 요건과, 범죄단체 구성 시점을 특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다룹니다. 단순히 기존 멤버들이 다시 모여 활동한다고 해서 무조건 새로운 범죄단체로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범죄단체#구성요건#시점특정#공소시효

민사판례

여러 작은 폭력 조직이 합쳐져 하나의 큰 조직을 만들면? 범죄단체 구성죄 성립될 수 있어요!

여러 개의 작은 폭력 조직이나 패거리가 합쳐져 크고 조직적인 범죄단체를 만들었을 때, 이를 단순한 연합이 아닌 새로운 범죄단체로 봐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폭력조직 통합#범죄단체#연합새마을파#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형사판례

조폭 세계의 법칙: 범죄단체, 수괴, 그리고 형량 변경

기존 폭력조직을 바탕으로 새 폭력조직을 만들었을 때, 어떤 경우에 새로운 범죄단체로 볼 수 있는지, 범죄단체의 수괴는 누구인지, 그리고 피고인과 검사 모두 항소했을 때 불이익변경금지 원칙이 적용되는지 등을 다룬 판결입니다. 또한, 판결 후 형법 개정으로 형량 변경 사유가 발생한 경우 대법원이 직권으로 판결을 파기한 사례입니다.

#폭력조직#범죄단체#수괴#불이익변경금지

형사판례

조직폭력배, 어떤 경우에 처벌받을까? 범죄단체 구성과 활동에 대한 법원의 판단

이 판례는 범죄단체의 구성 요건, 기존 범죄단체를 이용한 새로운 범죄단체 구성의 인정 요건, 범죄단체 구성 시기의 특정, 그리고 범죄단체 구성원의 '활동'에 대한 해석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검찰의 상고를 기각하고 원심의 무죄 판결을 확정했습니다.

#범죄단체#구성요건#기존단체 이용#구성시기

형사판례

'사상통합파'… 범죄단체일까, 아닐까?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상 '범죄단체'는 꼭 정식 명칭이나 강령, 가입절차가 없더라도 범죄를 목적으로 하는 지속적인 모임이고 최소한의 통솔체계만 갖추면 성립한다는 판례입니다.

#범죄단체#성립요건#명칭#강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