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7.06.08

형사판례

주식 투자와 관련된 법 위반, 어디까지 처벌될까?

주식 투자, 요즘 정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시죠?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만큼, 그에 따른 위험도 크다는 사실, 잊지 않으셔야 합니다. 특히 법을 어겨가며 부당한 이득을 취하려 한다면, 그 결과는 매우 엄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주식 투자와 관련된 법 위반, 특히 사기적 부정거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기적 부정거래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주식 거래에서 부정한 방법으로 이득을 보려는 행위입니다. 거짓 정보를 퍼뜨리거나, 속임수를 써서 주가를 조작하는 등의 행위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법 조항들이 적용됩니다.

  • 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2013. 5. 28. 법률 제11845호로 개정되기 전)
    • 제178조 제1항 제1호: 부정한 수단, 계획 또는 기교를 사용하는 행위
    • 제178조 제1항 제2호: 중요사항에 관하여 거짓 기재 또는 표시를 하거나 필요한 중요사항의 기재 또는 표시가 누락된 문서 등을 사용하여 이익을 얻는 행위
    • 제178조 제2항: 시세 변동을 목적으로 풍문 유포, 위계 사용, 폭행 또는 협박을 하는 행위

'부정한 수단'과 '위계', 무슨 뜻일까요?

  • 부정한 수단, 계획 또는 기교: 사회통념상 부정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수단, 계획, 기교를 말합니다.
  • 위계: 거래 상대방이나 투자자들을 속여 특정 행위를 하도록 유도하는 모든 수단, 계획, 기교를 말합니다.

법 위반 여부는 어떻게 판단할까요?

법원은 여러 가지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단순히 특정 행위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자의 지위, 행위 동기, 주가 변동, 관련자들의 행동 등 다양한 요소들을 살펴봅니다. 관련 판례들을 참고하면 더욱 자세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대법원 2001. 1. 19. 선고 2000도4444 판결
  • 대법원 2011. 3. 10. 선고 2008도6335 판결
  • 대법원 2011. 7. 14. 선고 2011도3180 판결
  • 대법원 2011. 10. 27. 선고 2011도8109 판결

정리하자면,

주식 투자는 합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만약 불법적인 방법으로 이득을 취하려 한다면, 엄중한 처벌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투자에 앞서 관련 법규를 꼼꼼히 살펴보고, 건전한 투자 문화를 만들어가는 데 함께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주식 시세조종, 어디까지 처벌될까?

주식 시세조종은 실제로 주가가 변동되지 않았거나 주가 조작 이전에 다른 목적(예: 기업 인수합병)을 가지고 주식을 매집했더라도, 시세를 조종할 의도가 있었다면 범죄가 성립한다.

#주식 시세조종#시세조종 시작 시점#시세조종 목적#대법원 판단

생활법률

주식 투자, 함정에 빠지지 말자! 부정거래, 시장질서 교란, 공매도 완전 정복!

주식 투자 시 부정거래(속임수, 시세조종, 풍문유포), 시장질서 교란(미공개정보 이용, 허위거래), 불법 공매도(무차입 공매도)는 엄격히 금지되며, 위반 시 징역, 벌금, 과징금 등의 처벌을 받는다.

#주식투자#부정거래#시장질서교란#공매도

형사판례

주식 시세조종, 어디까지 처벌받을까? - 불공정거래행위와 처벌에 대한 해설

이 판례는 피고인이 다른 사람과 공모하여 주식을 대량 매집하고 허위 거래 등을 통해 시세를 조종한 행위에 대해 유죄를 선고한 사례입니다. 법원은 여러 차례의 불공정거래행위를 하나의 죄로 보고 (포괄일죄), 공모 관계 및 시세조종 목적의 존재를 인정했습니다.

#주식 시세조종#불공정거래행위#유죄 판결#포괄일죄

형사판례

주식 시세조종과 미공개정보 이용, 어디까지 처벌될까?

이 판결은 주가조작과 미공개정보 이용행위에 대한 처벌 기준을 명확히 하고, 공소사실의 특정 요건을 강조한 판례입니다. 주가조작으로 거래가 활발한 것처럼 보이게 하려는 의도가 있었는지,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부당이득을 취했는지, 공소장에 범죄사실이 명확히 적시되었는지 등이 쟁점입니다.

#주가조작#미공개정보 이용#시세조종#공소사실 특정

형사판례

주식 시세조종, 어디까지 처벌될까?

이 판례는 주식 시세조종 행위와 관련하여 자백의 신빙성 판단 기준, 시세조종 행위가 여러 번 반복되었을 때의 죄수 판단(포괄일죄), 시세조종의 목적 및 구성 요건, 시세조종 방조범에 대한 처벌, 그리고 불법 이득 계산 방법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식시세조종#처벌#불법이득#자백신빙성

형사판례

장외주식 거래도 불공정거래로 처벌될 수 있을까?

상장되지 않은 주식을 직접 거래하는 경우에도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행위가 금지되며, 거짓 정보가 담긴 문서를 이용해 이익을 얻으려고 *시도*만 해도 처벌된다는 판결입니다.

#장외주식#불공정거래#허위문서#목적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