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0.05.26

민사판례

준법투쟁 3일 만에 직장폐쇄? 정당할까요?

노동조합과 회사 간의 갈등은 흔히 발생하는 일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그 갈등이 법적인 분쟁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오늘 살펴볼 이야기는 노조의 준법투쟁에 대한 회사의 직장폐쇄가 정당한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다라봅니다.

사건의 개요

어느 택시회사 노조는 임금협상 과정에서 회사 측과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이에 노조는 준법투쟁에 돌입했는데, 회사는 준법투쟁 돌입 3일 만에 직장폐쇄를 단행했습니다. 노조는 이 직장폐쇄가 부당하다며 임금 지급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노조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핵심 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노조의 무리한 요구 ≠ 부당한 쟁의행위: 노조가 다소 무리한 임금인상을 요구했다거나 쟁의행위로 회사 업무에 지장이 생겼다는 사실만으로는 노조의 쟁의행위가 불법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구 노동쟁의조정법 제3조, 현행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2조 제6호 참조)

  2. 직장폐쇄의 정당성 요건: 회사의 직장폐쇄는 노조의 쟁의행위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서 상당성이 있어야 정당성을 인정받습니다. 노사 간 교섭 태도, 쟁의행위의 종류, 회사가 입은 피해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구 노동쟁의조정법 제17조, 현행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46조 참조)

  3. 이 사건 직장폐쇄의 부당성: 이 사건에서는 노조가 준법투쟁에 돌입한 지 불과 3일 만에 회사가 직장폐쇄를 단행했는데, 법원은 이를 정당한 방어 수단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노조의 준법투쟁 기간이 짧았고, 회사의 경영상 어려움이 그렇게 심각하다고 보기도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또한, 해당 노조의 임금 수준이 이미 높았다고 하더라도, 비슷한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다른 회사 중에는 더 높은 임금인상률에 합의한 곳도 있었기에, 노조의 요구가 무리하다고만 볼 수는 없다는 점도 고려되었습니다.

판결의 의미

이 판결은 회사의 직장폐쇄가 무조건 정당하지 않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직장폐쇄는 노조의 쟁의행위에 대한 방어적인 수단이어야 하고, 그 상당성이 인정되어야만 정당성을 갖습니다. 섣불리 직장폐쇄 카드를 꺼내 들었다가는 오히려 법적인 분쟁에 휘말릴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준법투쟁에 대한 직장폐쇄, 임금은 받을 수 있을까요?

준법투쟁에 대한 직장폐쇄 시 임금 지급 여부는 직장폐쇄의 정당성에 따라 결정되며, 정당한 직장폐쇄라면 임금을 받을 수 없지만 부당한 직장폐쇄라면 임금을 받을 수 있다.

#준법투쟁#직장폐쇄#임금#정당성

민사판례

직장폐쇄, 언제까지 정당할까? - 공격적 직장폐쇄와 임금 지급 의무

회사가 노동조합의 파업에 맞서 직장폐쇄를 할 수 있지만, 노조가 파업을 중단하고 복귀 의사를 밝혔는데도 회사가 노조를 약화시키려는 목적으로 직장폐쇄를 계속한다면, 그 이후의 직장폐쇄는 불법이 되고 회사는 직장폐쇄 기간 동안의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직장폐쇄#정당성#임금지급#파업

상담사례

직장폐쇄, 언제까지 정당할까요? - 쟁의행위 중단 후에도 계속된다면?

노조의 쟁의행위 중단 후 회사가 직장폐쇄를 계속 유지하면, 방어적 목적을 벗어나 공격적 수단이 되므로 정당성을 잃는다.

#직장폐쇄#정당성#쟁의행위#업무복귀

일반행정판례

직장폐쇄, 언제 정당할까? - 노조 파업 전 선제적 직장폐쇄는 불법!

노동조합의 파업 등 쟁의행위가 시작되기도 전에 회사가 먼저 직장을 폐쇄한 것은 정당한 쟁의행위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특히 노조를 약화시키려는 목적으로 폐쇄했다면 더욱 그렇습니다.

#직장폐쇄#정당성#선제적#공격적

상담사례

직장폐쇄, 언제까지 정당할까요? - 쟁의행위 중단 후에도 계속된다면?

근로자의 쟁의행위에 대한 방어적 수단인 직장폐쇄는 쟁의행위 중단 후 공격적 의도로 계속될 경우 정당성을 잃는다.

#직장폐쇄#정당성#쟁의행위#방어

민사판례

직장폐쇄, 언제 정당할까? 그리고 임금은?

회사의 직장폐쇄가 정당하다면, 폐쇄 기간 동안 직원들에게 임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

#직장폐쇄#임금 지급 의무#정당성#쟁의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