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지능 약한 사람 속여서 돈 빌려주고 집에 근저당 잡았다면? 빚 갚아야 말소해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능이 약한 사람을 속여 돈을 빌려주고 근저당을 설정한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피해자는 빚을 갚아야만 근저당 말소를 요구할 수 있을까요? 대법원 판례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례:

갑은 지능이 약한 을을 속여 돈을 빌려주고, 을이 그 돈을 유흥비로 쓰도록 유도했습니다. 심지어 갑은 실제 빌려준 돈의 두 배에 달하는 금액을 채권최고액으로 하여 자신의 아내 병 앞으로 을의 집에 근저당권을 설정했습니다.

쟁점:

갑의 사기 행위로 인해 을은 근저당 설정 계약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병은 근저당권 설정 등기를 말소해야 할 의무가 생깁니다. 한편, 을은 갑에게 받은 돈을 돌려줘야 하는 부당이득반환의무도 있습니다. 이 두 의무, 즉 병의 근저당 말소 의무와 을의 부당이득반환 의무는 서로 동시이행관계에 있을까요? 즉, 을이 돈을 갚아야만 병이 근저당을 말소해 줘야 할까요?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 1994. 9. 9. 선고 93다31191 판결):

대법원은 이 경우 근저당 설정 계약과 돈을 빌려준 계약(소비대차계약)은 사실상 하나의 거래라고 보았습니다. 갑의 사기 행위는 돈을 빌려주는 계약에도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을이 근저당 설정 계약을 취소하면 돈을 빌려준 계약 전체가 취소되는 효과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을이 갑에게 돈을 돌려줘야 하는 의무(부당이득반환의무)와 병이 근저당권 설정 등기를 말소해야 하는 의무는 동시이행관계에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을은 돈을 돌려주는 동시에 근저당 말소를 요구할 수 있고, 병 역시 을이 돈을 돌려주는 동시에 근저당을 말소해 주면 됩니다.

결론:

지능이 약한 사람을 속여 돈을 빌려주고 과도한 근저당을 설정한 경우, 피해자는 돈을 갚는 것과 동시에 근저당 말소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부당한 계약으로 인해 피해자가 이중으로 손해를 보는 것을 막기 위한 법원의 판단입니다. 이와 유사한 상황에 처해있다면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극적으로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지적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을 속여 돈을 빌려준 사건

지적 능력이 부족한 사람을 속여 돈을 빌려주고 실제 빌려준 돈보다 훨씬 많은 금액을 담보로 설정하게 한 경우, 피해자는 돈을 빌린 계약과 담보 설정 계약 모두를 취소할 수 있고, 담보를 해제해 주는 것과 빌린 돈을 돌려주는 것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지적장애인#사기#담보설정#계약취소

상담사례

빚 갚았는데 갑자기 내 땅에 딴 사람이 근저당 잡았다고?! 😱

빚 청산 후 제3자가 채권자의 근저당권을 가압류했더라도, 소멸한 빚에 대한 근저당권은 효력이 없으므로 토지 소유자는 근저당 말소를 요구할 수 있다.

#근저당#가압류#말소#채권

상담사례

등기 말소됐다고 돈 못 받는 건 아닙니다! - 근저당권과 불법행위

근저당권 등기가 불법 말소되어도 채권 자체는 소멸되지 않고 회복등기가 가능하며, 실제 발생한 손해(채권 회수 지연, 회복등기 비용 등)에 대해 배상 청구할 수 있다.

#근저당권#등기말소#손해배상#회복등기

상담사례

빌린 돈도 없는데 내 땅에 근저당이 설정되었다면? 말소 가능할까요?

빌린 돈 없이 설정된 근저당은 실제 채무가 없으므로 '통정 허위 표시'로 무효이며, 말소 가능하다.

#근저당권#채무#말소#통정허위표시

민사판례

빌려준 돈 때문에 생긴 갈등,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을까?

돈을 빌려준 사람(피고)이 돈을 빌린 사람(원고)에게 강압적으로 근저당을 설정하게 했다는 원고의 주장을 법원이 받아들였으나, 대법원은 증거가 부족하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재판하도록 했습니다.

#근저당#강박#증거부족#파기환송

민사판례

명의신탁 부동산에 대한 근저당 설정, 채권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빚을 갚지 못할 정도로 재산이 부족한 사람(채무자)이 자기 소유 부동산을 다른 사람 이름으로 등기해놓고(명의신탁), 그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린 경우, 채권자는 명의신탁된 부동산에 설정된 근저당권을 취소할 수 있다.

#명의신탁#근저당#사해행위취소소송#채권자취소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