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9.06.11

형사판례

지방자치단체, 과연 모든 법 위반에 책임을 져야 할까? - 양벌규정과 기관위임사무

오늘은 지방자치단체가 법을 어겼을 때, 언제 처벌받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핵심은 양벌규정기관위임사무입니다.

양벌규정이란?

쉽게 말해, 회사 직원이 잘못했을 때 회사도 함께 처벌받는 규정입니다. 직원 개인의 잘못에 더해, 회사가 관리·감독을 제대로 하지 못한 책임을 묻는 것이죠. 이는 회사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기관위임사무란?

국가가 본래 해야 할 일을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에 맡기는 업무입니다. 예를 들어 여권 발급이나 주민등록 등은 국가사무이지만, 주민 편의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에서 처리하도록 위임한 것이죠. 반대로,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계획하고 집행하는 업무는 자치사무라고 합니다.

사건의 개요

부산광역시 소속 공무원이 항만 순찰 업무를 위해 승인 없이 개조한 차량을 운행하다가 적발되었습니다. 이는 옛 자동차관리법(2007. 10. 17. 법률 제865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위반에 해당합니다. 검찰은 공무원 개인뿐 아니라 부산광역시도 양벌규정에 따라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 2008. 1. 17. 선고 2007다59295 판결)

대법원은 부산광역시에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그 이유는 해당 공무원이 수행한 항만 순찰 업무가 기관위임사무였기 때문입니다.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논리를 제시했습니다.

  1. 지방자치단체가 자치사무를 처리할 때는 국가와 별개의 독립된 기관으로 볼 수 있으므로 양벌규정 적용이 가능합니다. (대법원 2005. 11. 10. 선고 2004도2657 판결 등 참조)
  2. 그러나 기관위임사무를 처리할 때는 국가기관의 일부로 보기 때문에 양벌규정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3. 이 사건의 항만 순찰 업무는 옛 항만법(2007. 8. 3. 법률 제862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등 관련 법령을 살펴볼 때, 국가사무에 해당하고 부산광역시는 국가로부터 위임받아 처리한 기관위임사무입니다. (지방자치법 제11조 제4호, 옛 항만법 제2조 제2호, 옛 항만법 시행령 제2, 3조 및 [별표 1], 옛 항만법 제23조 참조)

따라서 부산광역시는 양벌규정에 따른 처벌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 대법원의 결론입니다.

핵심 정리

지방자치단체가 양벌규정에 따라 처벌받으려면, 해당 업무가 지방자치단체의 고유한 자치사무여야 합니다. 국가로부터 위임받은 기관위임사무의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를 처벌할 수 없습니다. 업무가 자치사무인지 기관위임사무인지는 관련 법령의 규정, 사무의 성질, 경비 부담 주체, 최종 책임 소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대법원 2003. 4. 22. 선고 2002두10483 판결 등 참조)

이 판례는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범위를 명확히 함으로써, 자치분권의 원리를 더욱 공고히 하는 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지방자치단체도 도로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을까?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이 자치사무를 수행하다가 도로법을 위반하면, 지방자치단체도 처벌받을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도로법 위반#양벌규정#자치사무

형사판례

회사 직원의 교통법규 위반, 회사도 처벌받을까? - 양벌규정에 대한 오해와 진실

회사 직원이 법을 어겼을 때, 회사도 함께 처벌하는 양벌규정이 있는데, 이 판례는 회사가 직원의 위법행위를 막기 위해 충분히 노력했는지 여부를 따져봐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단순히 직원의 잘못만으로 회사를 처벌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양벌규정#회사 책임#직원 위법행위#관리감독 의무

형사판례

회사 대표가 잘못하면 회사도 벌 받나요? - 양벌규정에 대한 오해와 진실

회사 대표 등이 회사 업무와 관련하여 불법 행위를 저지르면, 해당 행위자는 물론 회사도 처벌받습니다. 회사 대표가 처벌받지 않더라도 회사는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양벌규정#회사 처벌#대표 불법행위#정보통신망법 위반

형사판례

회사 직원 잘못, 사장님도 처벌받나요? (양벌규정과 공소사실 기재)

회사 종업원이 법을 어겼을 때, 회사도 함께 처벌하는 양벌규정을 적용하려면, 검사가 회사의 관리 감독 소홀을 구체적으로 적시해야 할까요? 대법원은 그럴 필요가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양벌규정#공소사실 기재#관리감독 소홀#아동복지법 위반

형사판례

회사 직원 아니어도 회사 처벌될 수 있다? - 양벌규정에 대한 오해와 진실

회사 직원이 아닌 보조자라도 회사의 통제·감독 아래서 일한다면, 그 보조자의 불법 행위에 대해 회사도 책임을 져야 한다.

#법인#종업원#범위 확대#보조자

민사판례

지방자치단체 사무의 종류와 토지 점유취득시효에 관하여

일제강점기부터 국가가 도로로 사용해 온 땅에 대해 소유권 이전등기 없이도 국가의 소유라고 인정한 판결. 지방자치단체가 도로를 관리하는 것이 국가의 위임에 의한 것이고, 국가가 오랫동안 해당 토지를 점유해 왔기에 소유권을 취득했다고 본 것.

#국가#도로#시효취득#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