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기 전, 우리는 세입자로 살아가며 매달 월세라는 주거비용을 지불합니다. 그런데 이 월세에도 부가가치세가 붙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사실 모든 집세에 부가세가 붙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경우에 부가세가 면제되고, 또 어떤 경우에 내야 하는지, 대법원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부가가치세 면제, 왜 해줄까?
국가는 국민의 기본적인 생활 안정을 위해 주택 임대와 같이 필수적인 생활 용역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면제해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세금 부담으로 인해 서민들의 생활이 더욱 어려워지는 것을 막기 위한 사회정책적인 배려입니다. (부가가치세법 제12조 제1항 제11호)
핵심은 '실제 사용 용도'!
그렇다면 어떤 주택 임대가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일까요? 단순히 등기부등본에 주택으로 등록되어 있다고 해서 무조건 면제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임차인이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고 있느냐입니다.
예를 들어 등기부등본상으로는 주택으로 되어있지만, 실제로는 회사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다면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이 아닙니다. 반대로, 건물 용도가 상가로 되어 있더라도 임차인이 실제로 주거용으로 사용하고 있다면 면제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대법원 판례(1991.10.25. 선고 90구22327 판결)에서도 임대인은 임차인이 주거용으로 사용할 것이라 생각하고 임대했지만, 실제로는 사업용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즉, 계약서상의 용도나 건물의 용도가 아니라, 실제 사용 용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명확히 한 것입니다.
세금은 정확하게!
이처럼 주택 임대의 부가가치세 면제 여부는 실제 사용 용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정확한 용도를 확인하고, 그에 맞는 세금을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면제 대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면제받거나, 반대로 면제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세금을 납부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겠죠?
참고:
세무판례
단기 투숙객 위주의 서비스드 레지던스 임대는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인 '주택 임대'에 해당하지 않으며, 관련 비용에 대한 지출증빙서류 수취 의무도 면제되지 않는다.
상담사례
상가 임대차에서 부가세는 월세(차임)에 포함되지 않으며, 임대료 인상 한도 계산 시에도 제외된다.
세무판례
겉보기에는 단독주택이지만, 실제로 여러 세대가 독립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다가구용 단독주택을 세대별로 분양한 경우, 각 세대를 공동주택으로 보아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인 ‘국민주택’ 규모에 해당하는지 판단해야 한다. (다수의견)
민사판례
건축물대법상 다가구주택으로 등재된 주택을 세대별로 분양할 때 부가가치세를 면제받을 수 있는지가 당시 법 해석상 논란의 여지가 있었기 때문에, 부가가치세 부과 처분이 잘못되었더라도 당연 무효는 아니라는 판결.
세무판례
건축물대장에 업무시설로 등록된 오피스텔은 면적이 작더라도 주택으로 보지 않아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이 아니다. 실제 주거용으로 사용되더라도 마찬가지다.
세무판례
건축물대장상 용도가 '업무시설'로 등록된 오피스텔은 면적이 작더라도 국민주택에 해당하지 않아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이 아니며, 납세자가 법을 잘못 해석하여 세금 신고를 누락한 경우에는 가산세를 면제받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