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3.05.18

민사판례

집주인 바뀌어도 내 보증금은 안전할까? - 임차인의 대항력

이사를 가기 전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바로 보증금의 안전입니다. 내가 전세나 월세로 살고 있는 집이 갑자기 매매되거나 집주인이 바뀌면 어떻게 될까요? 혹시 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되는 건 아닐까 걱정되실 겁니다. 오늘은 이런 걱정을 덜어드릴 임차인의 대항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례를 통해 쉽게 이해해 봐요

A씨는 B씨에게서 집을 전세로 임차했습니다. B씨는 실제 집주인은 아니었지만, 집주인으로부터 임대할 권한을 받은 상태였습니다. A씨는 계약 후 이사를 하고 주민등록 전입신고도 마쳤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B씨와 집주인 사이의 계약이 해제되었고, 집주인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A씨는 새로운 집주인에게 전세보증금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을까요?

정답은 '네'입니다.

A씨처럼 적법한 임대 권한을 가진 사람과 계약하고, 이사 후 주민등록 전입신고를 마치면 대항력이 생깁니다. 대항력이란 새로운 집주인에게도 내 임대차 계약의 효력을 주장할 수 있는 힘입니다. 즉, 집주인이 바뀌더라도 기존 임대차계약의 내용대로 보증금을 보호받을 수 있는 것이죠.

핵심 법률 내용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 임차인은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을 마친 때에는 그 다음 날부터 제3자에 대하여 효력이 생긴다.
  • 민법 제548조 제1항 단서: 계약의 해제는 제3자의 권리를 해하지 못한다.

이 법 조항들은 임차인이 주택을 인도받고 주민등록을 마치면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 권리가 생기며, 이후 집주인이 바뀌더라도 그 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합니다. 즉, 집주인과 임대인 사이의 계약이 해제되더라도 임차인의 권리는 보호받는다는 의미입니다.

관련 판례

이번 사례는 대법원 판례(대법원 1995. 10. 12. 선고 95다22283 판결 등)를 기반으로 설명드렸습니다. 판례에 따르면, 집주인이 아닌 사람과 임대차계약을 맺었더라도 그 사람이 적법한 임대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면 임차인은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매매계약이 해제되기 전에 대항요건을 갖춘 임차인은 새로운 집주인에게도 자신의 임차권을 주장할 수 있다는 것이 확립되어 있습니다.

결론

전월세 계약 시, 임대인이 실제 집주인인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 보증금을 지키기 위해서는 이사 후 주민등록 전입신고를 꼭 마쳐서 대항력을 갖추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보증금을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집주인이 바뀌어도 내 보증금은 안전할까? - 계약 해지 후에도 임차인을 보호하는 대항력

집주인이 집을 팔았다가 그 계약이 취소되어도, 그 전에 전입신고와 입주를 마친 세입자는 새 집주인에게도 계속 살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임차권#대항력#전입신고#주택임대차보호법

상담사례

집주인 바뀌었는데 보증금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전대차와 대항력 이야기

집주인 동의 하에 전차인이 전입신고를 마치면 임차인은 대항력을 유지하여, 집주인이 바뀌어도 보증금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

#보증금#전대차#대항력#전입신고

민사판례

전세집 주인이 바뀌었어요! 내 보증금은 어떻게 되나요?

전세 계약된 집이 팔리면 세입자 동의 없이도 새 집주인이 임대인이 되고, 이전 집주인은 보증금을 돌려줄 의무에서 벗어난다. 단, 세입자가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아 대항력을 갖춘 경우에 해당된다.

#전세#매매#임대인 승계#보증금 반환

민사판례

전입신고만 했는데 내 보증금은 안전할까? - 집주인 바뀌어도 걱정 없는 임차권 대항력 이야기

세입자가 집주인이 바뀌기 *전*에 전입신고를 했다면, 새 집주인에게도 자신의 임차권(세 들어 살 권리)을 주장할 수 있다.

#전입신고#대항력#임차권#소유권 이전

상담사례

전세 계약했는데, 집주인 집이 날아갔어요! 😱 내 보증금은 어떻게 되나요?

전입신고를 마친 전세 세입자는 집주인의 소유권 변동과 관계없이 대항력을 통해 보호받으며, 새로운 집주인에게도 전세 계약을 주장할 수 있다.

#전세#보증금#집주인 변경#대항력

상담사례

전세집 주인 바뀌고 이사 가도 괜찮을까요? 대항력 걱정 끝!

전입신고를 마친 전세 세입자는 집주인이 바뀌어도 대항력이 유지되어 이사 후에도 전세금 반환을 청구할 수 있지만, 이사 후 새로운 소유권/근저당 설정에는 대항력이 없다.

#전세#집주인 변경#이사#대항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