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집을 빌려주는 임대인과 빌리는 임차인 사이에는 여러 가지 권리와 의무가 존재합니다. 오늘은 임대인, 즉 집주인의 입장에서 어떤 권리와 의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임대인의 권리
2. 임대인의 의무
집주인과 세입자 모두 서로의 권리와 의무를 잘 알고, 분쟁 없이 원만한 임대차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이 임대차 계약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생활법률
임대인(건물주)은 차임 지급, 차임 증액, 임대물 반환 청구, 임대물 보존 행위 등의 권리와 임차인의 사용·수익 보장, 방해 제거, 하자 담보, 임대차보증금 반환 등의 의무를 가진다.
생활법률
세입자는 사용·수익권, 임대차등기 협력 청구권, 차임 감액 청구권, 부속물 매수·철거 청구권, 필요비·유익비 상환 청구권 등을 가지며, 차임 지급, 선량한 관리, 원상회복 의무를 진다.
상담사례
임대차 계약서에 '임차인 수리' 특약이 있어도 세입자는 사소한 수리만 부담하며, 큰 수리는 집주인 책임이다.
민사판례
임차인이 임대인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임차물을 전대했더라도, 임대차 계약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임대인이 제3자에게 손해배상이나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민사판례
일반적인 임대차 계약에서 임대인은 임차인에게 임대할 집을 제공하는 의무만 있고, 도난 방지 등 안전까지 책임질 의무는 없다.
상담사례
임대인은 계약 기간 중 발견된 모든 하자(세입자가 쉽게 고칠 수 있는 사소한 하자 제외)에 대해, 알고 있었든 몰랐든 수리 의무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