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7.06.14

형사판례

짝퉁 캠브리지 옷, 괜찮을까? - 상표권 분쟁 이야기

오늘은 유명 의류 브랜드 '캠브리지 멤버스'와 관련된 상표권 분쟁 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캠브리지'라는 이름을 둘러싼 치열한 법정 공방, 과연 누구의 손을 들어주었을까요?

사건의 발단

국내에서 오랫동안 신사복 브랜드로 인지도를 쌓아온 '캠브리지 멤버스' (CAMBRIDGE MEMBERS)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캠브리지 유니버시티'(UNIVERSITY OF CAMBRIDGE)라는 이름을 사용한 유사 브랜드가 등장하면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캠브리지 유니버시티 측은 '더 챈슬러, 매스터스 앤드 스칼라스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캠브리지'로부터 상표 사용 허락을 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캠브리지 멤버스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캠브리지 유니버시티 측이 상표 사용 허락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캠브리지 멤버스가 이미 국내에서 오랜 기간 '캠브리지'라는 이름으로 상당한 인지도를 쌓아왔다는 점을 인정했습니다. 캠브리지 유니버시티는 이러한 인지도에 '무임승차'하여 부당한 이익을 얻으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상표권을 악용한 사례로 본 것이죠.

핵심 법리

  •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15조: 타인의 상품표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수요자에게 혼동을 일으키게 하는 행위를 금지합니다. 하지만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들이 상표법을 악용한 것으로 보아 부정경쟁방지법의 적용이 배제되었습니다. (대법원 1993. 1. 19. 선고 92도2054 판결, 대법원 2001. 4. 10. 선고 2000다4487 판결 참조)

  • 상표의 주지성: 설령 상표 등록을 받지 못했더라도, 오랜 기간 사용되어 널리 인식된 상표는 부정경쟁방지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법원 1999. 4. 23. 선고 97도322 판결 참조)

결론

이 판결은 상표권 분쟁에서 '주지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사례입니다. 상표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오랜 기간 사용되어 널리 인식된 상표는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겠습니다. 또한, 상표권을 악용하여 부당한 이익을 얻으려는 시도는 법원의 엄격한 심판을 받게 된다는 점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캠브리지? 캠브리지?! 내 브랜드 지켜! 유사 상표 분쟁 이야기

오랫동안 사용되어 특정 브랜드로 인식된 "캠브리지"라는 지명이 포함된 의류 상표는, 비록 상표법상 등록이 어렵더라도 부정경쟁방지법으로 보호받을 수 있다. "캠브리지 멤버스"와 "캠브리지 유니버시티"는 유사 상표로 판단되어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한다.

#캠브리지#의류#상표#부정경쟁

특허판례

먼저 사용하던 상표와 비슷한 상표를 등록받을 수 있을까요?

'마담포라'라는 의류 브랜드를 오랫동안 사용해 온 회사가 '포라리'라는 상표를 핸드백 등에 등록한 것에 대해, 소비자 혼동을 야기할 수 있다며 등록 무효 심판을 청구하여 승소한 사건. 비록 '마담포라'가 아주 유명한 상표는 아니더라도, 관련 업계와 일부 소비자에게 인지도가 있었고, 의류와 핸드백은 서로 연관성이 높은 상품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두 브랜드를 같은 회사 제품으로 오해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판결의 핵심.

#유사상표#등록무효#마담포라#포라리

특허판례

WONDERBODY, WONDERBRA? 상표권 분쟁 이야기

속옷 브랜드 "WONDERBODY"는 기존에 등록된 "WONDERBRA"나 출원된 "WONDER BOY"와 유사하지 않아 상표 등록이 가능하다는 대법원 판결. 'WONDER'라는 단어는 일반적인 의미로 식별력이 약하며, 나머지 부분을 고려했을 때 전체적으로 상품 출처에 대한 혼동을 일으킬 정도로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

#WONDERBODY#WONDERBRA#WONDERBOY#상표

특허판례

유니온베이 상표권 분쟁: 옷과 가방, 같은 브랜드로 봐야 할까?

의류 브랜드 "UNION BAY(유니온베이)"가 가방에 사용될 경우, 소비자가 의류 브랜드와 연관된 상품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인정되어 상표 등록이 무효가 된 사례. 비록 의류와 가방은 다른 상품이지만, 패션 브랜드의 다양한 상품군 진출이 일반화된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소비자 기만 가능성을 넓게 인정한 판결.

#유니온베이#상표권 분쟁#수요자 기만#상표 등록 무효

특허판례

상표의 핵심 요소, '지리적 명칭'은 독점할 수 없다!

'Cambridge'처럼 누구나 쓸 수 있는 지명은 상표의 핵심 요소로 볼 수 없으므로, 'Cambridge'가 포함된 두 상표가 유사하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상표#유사#CAMBRIDGE#지리적 명칭

특허판례

선글라스에 붙은 익숙한 로고, 누구 건가요? 상표권 분쟁 이야기

이미 사용 중인 상표가 아주 유명하지 않더라도, 특정 회사의 상표로 인식될 정도로만 알려져 있다면 나중에 비슷한 상표를 등록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의류 브랜드에 사용되던 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선글라스나 스포츠 고글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소비자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상표#수요자 기만#유사상표#등록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