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03.13

형사판례

착오로 상고 취하했는데, 다시 재판받을 수 있을까요?

억울하게 판결을 받았다고 생각해서 상고(대법원에 다시 판단해달라고 하는 것)했는데, 실수로 상고를 취하해버렸다면? 너무 억울하겠죠. 이런 경우, 다시 재판받을 기회를 얻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피고인이 재판에서 징역형과 보호감호를 선고받았습니다. 보호감호는 범죄를 다시 저지를 위험이 있는 사람을 사회와 격리하는 제도입니다. 피고인은 판결에 불복해 상고했지만, 교도관의 잘못된 설명과 서류 때문에 보호감호 처분이 기각된 줄 알고 상고를 취하했습니다. 나중에 보호감호 처분이 확정된 사실을 알게 된 피고인은 "착오로 상고를 취하했으니 무효다!"라고 주장하며 재판을 다시 받게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피고인의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착오로 인한 소송 행위라도 무효가 되려면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피고인의 경우 그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착오로 인한 소송 행위가 무효가 되는 조건 (3가지)

  1. 중대한 착오: 만약 착오가 없었다면 그런 행동을 하지 않았을 정도로 중요한 부분에 대한 착오여야 합니다.
  2. 책임 없는 착오: 착오가 본인이나 대리인의 잘못 없이 발생한 것이어야 합니다.
  3. 정의에 반하는 결과: 그 행위를 유효로 인정하는 것이 정의에 크게 어긋나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피고인이 상고 취하라는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판결문을 직접 확인하지 않고 교도관의 말만 믿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즉, 피고인에게도 일정 부분 과실이 있다고 본 것입니다. (두 번째 조건 불충족) 따라서 상고 취하는 유효하며, 다시 재판을 받을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 형사소송법 제349조 (상소의 포기와 취하): 상소는 포기 또는 취하할 수 있다.
  • 형사소송규칙 제154조 (절차속행의 신청): 상소의 포기 또는 취하가 부존재 또는 무효임을 주장하는 자는 그 포기 또는 취하 당시 소송기록이 있었던 법원에 절차속행의 신청을 할 수 있다.
  • 형사소송규칙 제148조 (판결등본의 송달): 판결의 등본은 검사, 피고인 또는 변호인에게 송달하여야 한다.

핵심 정리

법원은 소송 절차의 안정성을 중시합니다. 착오를 이유로 소송 행위를 무효로 하려면 엄격한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본인의 과실이 있다면 착오를 이유로 구제받기 어렵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죄를 저지른 사람에게 보호감호를 선고할 때, 이전 판결에 대한 불만을 어떻게 다룰까요?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재범 위험성 때문에 보호감호 처분을 받은 사람이 감호 처분에 대해서만 불복하여 상고할 경우, 유죄 판결 자체에 대한 이의는 제기할 수 없다.

#보호감호#상고#유죄판결#별개

형사판례

죄 인정하고 감호만 다투면, 사실관계는 못 따른다!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보호감호 처분을 받은 사람이 유죄 판결은 받아들이고 보호감호 처분에 대해서만 상고하는 경우, 유죄 판결의 사실관계에 대한 이의는 제기할 수 없다.

#유죄판결#보호감호#상고#사실관계

민사판례

상고 취하 후 마음이 바뀌었다면?

상고 취하 후 상대방이 합의 내용을 지키지 않았더라도, 상고 취하 자체는 유효하며, 기망이나 착오를 이유로 취소하거나 임의로 철회할 수 없습니다.

#상고취하#합의불이행#무효#착오

형사판례

보호감호 기간과 상고이유에 대한 오해와 진실

보호감호 기간이 길다는 이유만으로는 상고할 수 없으며, 범죄 사실에 대한 상고를 포기하고 보호감호 부분만 상고하는 경우, 범죄 사실 인정 과정의 문제를 상고 이유로 삼을 수 없다.

#보호감호#상고기각#기간#범죄사실인정

형사판례

상고 포기 후 다시 상고? 안됩니다!

재판 결과에 불복하여 상고를 포기한 후에는 마음이 바뀌어도 상소권 회복이나 절차 속행을 신청할 수 없다. 이미 상고를 포기했으니, 다시 상고하려면 포기가 무효임을 주장하며 새롭게 상고해야 한다.

#상고포기#상소권회복#절차속행#불가

형사판례

상소 포기 후 재상소, 가능할까요?

재판에서 상소(항소, 상고 등)를 포기하거나 취하한 후에는 다시 상소할 수 없도록 한 법 조항(형사소송법 제354조)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

#상소포기#취하#재상소금지#합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