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0.06.09

가사판례

출생신고가 입양신고로 인정될 수 있을까? - 친자관계 확인 분쟁 사례

오늘은 친자관계 확인을 둘러싼 복잡한 분쟁 사례를 소개하고, 출생신고가 어떤 경우에 입양신고로 인정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일본에서 만나 동거하던 A와 B 사이에서 C가 태어났습니다. C의 양육은 조모 D가 맡게 되었고, B의 동생 E는 D의 권유로 C를 자신의 자녀로 출생신고했습니다. 이후 F는 B와 결혼을 약속하고 C를 양육하기로 하면서, C를 자신의 호적에 올리기 위해 E의 호적에서 C를 삭제하고, 자신을 C의 어머니로 하는 출생신고를 했습니다. 이후 B와 F는 혼인신고를 하고 B는 C를 인지했습니다. 하지만 F와 B는 이혼했고, B는 사망했습니다. 결국 C의 친모 A는 C에 대한 친권 및 양육권을 포기하고 F에게 위임했습니다. 이에 C는 자신과 F 사이에 법적인 친자관계가 없음을 확인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고, F는 반대로 친자관계 존재 확인을 구하는 반소를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입양의 의사로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더라도, 입양의 실질적 요건이 갖춰져야 입양의 효력이 발생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입양의 실질적 요건이란, 단순히 입양의 합의뿐 아니라 **실제로 양친자로서의 신분적 생활사실(감호·양육 등)**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민법 제883조에 명시된 입양 무효 사유 (예: 양자는 양부모의 존속 또는 연장자가 아닐 것) 에 해당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 F는 C의 출생신고 당시 C의 친모 A로부터 입양에 대한 대낙을 받지 못했습니다. C의 조모 D의 승낙만으로는 법정대리인인 A의 대낙이 있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F의 출생신고는 입양신고로서 효력이 없었습니다.

다만, 출생신고 당시 입양의 실질적 요건을 갖추지 못했더라도 추후에 요건을 갖추게 되면, 무효인 출생신고가 소급하여 입양신고의 효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소급효는 무효인 신고 이후에 실질적인 신분관계가 형성되어야만 인정됩니다. (민법 제139조, 제878조, 제883조)

이 사건에서는 F가 C의 친모 A로부터 입양에 대한 추인을 받았지만, 그 당시 F는 이미 C를 양육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양친자 관계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A의 추인만으로는 무효인 출생신고가 입양신고로서 효력을 가질 수 없다고 법원은 판결했습니다. (대법원 1991. 12. 27. 선고 91므30 판결 참조)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민법 제878조 (입양의 성립) 입양은 당사자의 합의와 신고에 의하여 성립한다.
  • 민법 제883조 (입양의 무효)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입양은 무효로 한다.
  • 민법 제139조 (무효와 취소의 구별) 무효인 법률행위는 추인하여도 그 효력이 생기지 아니한다.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는 추인할 수 있는 날로부터 추인이 있을 때까지 유효하다.
  • 대법원 1977. 7. 26. 선고 77다492 전원합의체 판결
  • 대법원 1988. 2. 23. 선고 85므86 판결
  • 대법원 1993. 2. 23. 선고 92다51969 판결
  • 대법원 1991. 12. 27. 선고 91므30 판결

이 사례는 출생신고와 입양신고를 둘러싼 법적인 요건과 그 효력에 대해 잘 보여줍니다. 특히 입양의 실질적 요건과 추인의 효력에 대한 부분은 친자관계 확인 소송에서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복잡한 가족법 문제에 직면했을 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가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을까? - 묵시적 추인과 입양의 실질적 요건

법정대리인의 동의 없이 친생자로 출생신고된 사람이 성인이 된 후, 이혼 후 왕래가 없었던 양모와 관계를 회복하고 실질적인 양친자 관계를 형성한 경우, 친생자 출생신고가 입양신고로서 효력을 가질 수 있다고 대법원이 판결했습니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신고 효력#양모#관계 회복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로 입양 효력 인정될까? - 가족법 판례 해설

재혼 가정에서 새아버지가 의붓자식을 입양하기로 생모와 합의하고, 입양신고 대신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다면 이 출생신고는 입양으로서 효력을 가진다. 또한, 과거 장남의 입양을 제한했던 민법 조항을 어기고 입양했더라도 입양 자체는 무효가 아니라 취소할 수 있는 사항이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 효력 인정#재혼 가정#의붓자식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가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을까? 또 양부모가 이혼하면 양모자 관계는 어떻게 될까?

입양 의사로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고 입양의 실질적 요건을 갖춘 경우, 이는 입양으로 인정됩니다. 또한, 양부모가 이혼하더라도 양모자 관계는 자동으로 소멸하지 않습니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양부모 이혼#양모자 관계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 진짜 내 자식이 아닌데 입양은 된 걸까?

친자식이 아닌 아이를 친자식으로 출생신고를 하더라도, 실제로 입양의 요건을 모두 갖추었다면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입양의 의사가 없었거나, 사기나 강박에 의해 출생신고를 한 경우에는 입양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단, 입양 취소는 입양 당사자만 청구할 수 있으며, 제3자는 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 소송을 통해 다툴 수 없습니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입양 취소#입양 요건

상담사례

아이 낳은 것처럼 출생신고 했는데, 생모가 나타났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불법적인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지만, 입양 의사가 있었다면 입양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있으나, 법 개정으로 확실한 답변을 위해 전문가 상담이 필수적이다.

#출생신고#생모#친생자#입양

가사판례

입양 의사로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지만… 진짜 입양 효력이 있을까?

단순히 입양할 생각으로 친생자 출생신고를 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실제로 부모-자식처럼 생활하는 등 입양의 조건을 갖춰야 진짜 입양으로 인정됩니다. 나중에 입양 사실을 인정(추인)하는 것도 실제 양육 등의 조건이 갖춰졌을 때만 효력이 있습니다.

#입양#친생자 출생신고#양육#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