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0.05.14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가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을까? - 묵시적 추인과 입양의 실질적 요건

가끔 드라마에서 출생의 비밀이 밝혀지는 장면을 보신 적 있으시죠? 이런 드라마틱한 상황은 현실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특히 법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는 친부모가 아닌 사람이 친자식으로 출생신고를 하는 경우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상황에서 친생자 출생신고가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甲)는 출생 직후 생모에 의해 아이가 없던 乙, 丙 부부에게 맡겨졌습니다. 乙은 피고를 자신과 丙의 친생자로 출생신고를 했고, 丙과 함께 피고를 양육했습니다. 그러나 丙은 乙과 이혼한 후 피고와 연락을 끊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피고가 성인이 된 후, 피고의 할머니(乙의 어머니)가 피고의 바람에 따라 피고를 丙에게 데려갔고, 그 후 丙이 사망할 때까지 약 15년간 두 사람은 연락하며 지냈습니다. 丙이 사망한 후 丙의 동생 丁은 피고를 상대로 丙과 피고 사이의 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친부모가 아닌 사람의 친생자 출생신고가 나중에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특히, 피고가 성인이 된 후 丙과 관계를 회복하고 15년 동안 丙을 어머니로 여기며 지낸 사실이 입양의사를 묵시적으로 추인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친생자 출생신고 당시 입양의 요건을 갖추지 못했더라도, 이후 입양의 실질적 요건을 갖추게 된 경우 무효인 친생자 출생신고가 소급하여 입양신고로서 효력을 가질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단순히 추인만으로는 부족하고 실질적인 양친자 관계가 형성되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다음과 같은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 망인(丙)은 이혼 후에도 피고를 가족관계등록부에서 삭제하지 않았고, 피고가 찾아왔을 때 관계를 회복했습니다.
  • 피고는 망인이 친모가 아님을 알았음에도 망인과의 관계를 지속하고 망인을 어머니로 대했습니다.
  • 피고와 망인은 재회 이후 정서적 유대를 가지고 사회생활상의 교류를 하며 지냈습니다.

이러한 사실들을 종합하여 법원은 피고가 묵시적으로 입양을 추인했고, 피고와 망인 사이에 실질적인 양친자 관계가 존재했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원심의 판단을 뒤집고 피고와 망인 사이의 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민법 제865조 (입양의 요건)
  • 구 민법(1990. 1. 13. 법률 제41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69조 (입양의 승낙)
  • 민법 제878조 (친생자 출생의 신고)
  • 구 호적법(1984. 7. 30. 법률 제373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9조(현행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제44조 참조)
  • 대법원 2004. 11. 11. 선고 2004므1484 판결

이번 판례는 친생자 출생신고의 효력과 관련하여, 법적인 형식뿐 아니라 실질적인 양친자 관계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단순한 법률적 해석을 넘어, 인간적인 감정과 사회적 관계까지 고려한 판단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지만, 사실은 입양? 그 효력은?

부부의 한쪽이 배우자가 아닌 사람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를 친자로 출생신고 했더라도, 입양의 의사가 있었고 실질적인 요건을 갖춘 경우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후 친생자 관계 부존재 확인 판결이 확정되면 더 이상 양친자 관계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출생신고#입양#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양친자관계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로 이루어진 입양, 그 후 파양과 양친자관계 확인 소송에 대한 법원의 판단

입양 의사로 친생자 출생신고를 하고 입양 요건을 갖추면 입양으로 인정됩니다. 이후 파양 등의 사유로 친생자 관계 부존재 확인 판결이 나오면, 그 판결 이후에는 양친자 관계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과거 친생자 관계 부존재 확인 판결이 있었음에도 이후 양친자 관계 존재 확인 판결을 받은 사례에 대해, 앞선 판결의 효력을 인정하여 뒤늦은 양친자 관계 확인을 무효로 판단했습니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친생자 관계 부존재 확인#기판력

가사판례

입양 의사로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지만… 진짜 입양 효력이 있을까?

단순히 입양할 생각으로 친생자 출생신고를 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실제로 부모-자식처럼 생활하는 등 입양의 조건을 갖춰야 진짜 입양으로 인정됩니다. 나중에 입양 사실을 인정(추인)하는 것도 실제 양육 등의 조건이 갖춰졌을 때만 효력이 있습니다.

#입양#친생자 출생신고#양육#추인

가사판례

출생신고가 입양신고로 인정될 수 있을까? - 친자관계 확인 분쟁 사례

입양할 의도로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더라도 입양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면 입양으로 인정되지 않지만, 나중에 요건을 갖추면 소급하여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다. 단, 실제로 양육 등 양친자 관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입양#친생자 출생신고#입양 요건#양친자 관계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 진짜 내 자식이 아닌데 입양은 된 걸까?

친자식이 아닌 아이를 친자식으로 출생신고를 하더라도, 실제로 입양의 요건을 모두 갖추었다면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입양의 의사가 없었거나, 사기나 강박에 의해 출생신고를 한 경우에는 입양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단, 입양 취소는 입양 당사자만 청구할 수 있으며, 제3자는 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 소송을 통해 다툴 수 없습니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입양 취소#입양 요건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가 입양 효력을 가질 때, 사망한 양부와 양자 관계를 정리할 수 있을까?

친생자 출생신고가 입양의 효력을 갖는 경우, 양부가 사망한 후 그 아들은 양부와 양딸 사이의 법적 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소송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양부 사망#양딸#친생자 출생신고(입양)#파양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