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취업 준비, 막막하고 답답하시죠? 경제적인 부담까지 더해지면 더욱 힘들어집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정부와 지자체에서 여러분의 취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국민취업지원제도와 지자체별 청년수당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국민취업지원제도: 나에게 딱 맞는 취업 지원 + 생계 지원까지!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취업을 원하는 분들에게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소득이 낮은 구직자에게는 생계 지원까지 해주는 제도입니다. (구직자 취업촉진 및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법률 참조)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Ⅰ유형: 취업 경험이 부족하거나 소득이 낮은 분들을 위한 유형입니다. 구체적인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률 제6조·제7조 및 시행령 제3조)
Ⅱ유형: Ⅰ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청년, 경력단절여성, 중장년층 등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법률 제7조제3항)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주의사항!
어디서 신청하나요?
국민취업지원제도 홈페이지 (www.kua.go.kr) 또는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법률 제8조, 시행규칙 제4조)
(2) 지자체별 청년수당: 우리 지역 청년들을 위한 특별 지원!
국민취업지원제도 외에도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청년수당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몇 가지 예시를 살펴볼까요?
자세한 내용은 각 지자체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자신에게 맞는 지원 제도를 잘 활용하여 취업 준비에 힘내시길 바랍니다!
생활법률
청년 취업 지원 제도 활용법: 청년기본법, 고용정책 기본법, 청년고용촉진 특별법,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 조세특례제한법 등 다양한 제도가 존재하며, "청년"의 연령 기준(15~39세)과 지원 내용이 제도별로 상이하므로, 공식 안내를 통해 정확한 정보 확인 필수.
생활법률
취업 성공 후 받을 수 있는 혜택으로 취업성공수당(최대 150만원),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90%, 최대 7년), 산업단지 중소기업 청년 교통비 지원(월 5만원), 청년내일채움공제(2년 근속 시 1200만원) 등이 있다.
생활법률
청년 미취업자를 위한 공공기관 의무채용(3%), 공공부문 및 중소기업 지원, 청년친화강소기업 소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등 다양한 일자리 지원 정책을 제공한다.
생활법률
학업, 취업 준비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해 신용회복, 학자금 대출 지원, 햇살론 유스 등 다양한 금융 지원 정책을 제공한다.
생활법률
정부가 국민내일배움카드(최대 500만원 훈련비 지원), 청년취업역량 프로그램(면접 준비 지원), K-디지털 아카데미(디지털 교육 지원) 등 다양한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취업 준비생들의 자격증 취득, 면접 스킬 향상, 디지털 분야 진출을 돕는다.
생활법률
실업급여 수급자는 조기 재취업 시 남은 급여의 절반을 일시금으로 받는 조기재취업수당, 직업훈련 시 훈련일당을 받는 직업능력개발수당, 원거리 구직활동 시 교통비·숙박비를 지원받는 광역구직활동비, 취업·훈련 목적 이사 시 이사비를 지원받는 이주비 등의 취업촉진수당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