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드디어 취업 성공! 정말 축하드립니다! 🥳 이제 힘든 취업 준비 기간은 뒤로하고 새로운 시작을 향해 나아갈 시간입니다. 하지만 잠깐! 취업했다고 끝이 아니죠? 취업 후에도 챙겨야 할 꿀팁 혜택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하고 혜택 놓치지 마세요!
국민취업지원제도의 도움을 받아 취업에 성공하셨고, 소득이 기준(중위소득 60% 이하)에 해당하는 청년이라면 최대 150만원의 취업성공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에 취업한 만 15세~34세 청년이라면 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군필자는 병역 이행 기간에 따라 최대 39세까지 가능)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라면 매월 5만원씩 교통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년 동안 300만원을 적립하면 정부와 기업이 추가로 지원하여 만기 시 1,200만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취업 후에도 다양한 혜택들이 기다리고 있으니 꼼꼼히 확인하고 챙겨가세요! 새로운 직장에서의 시작을 응원합니다! 😊
생활법률
취업 준비생을 위한 정부의 국민취업지원제도(저소득층 최대 300만원, 기타 취업활동비 최대 195만 4천원 지원)와 서울/경기 등 지자체 청년수당으로 구직활동과 생계를 지원한다.
생활법률
청년 취업 지원 제도 활용법: 청년기본법, 고용정책 기본법, 청년고용촉진 특별법,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 조세특례제한법 등 다양한 제도가 존재하며, "청년"의 연령 기준(15~39세)과 지원 내용이 제도별로 상이하므로, 공식 안내를 통해 정확한 정보 확인 필수.
생활법률
실업급여 수급자는 조기 재취업 시 남은 급여의 절반을 일시금으로 받는 조기재취업수당, 직업훈련 시 훈련일당을 받는 직업능력개발수당, 원거리 구직활동 시 교통비·숙박비를 지원받는 광역구직활동비, 취업·훈련 목적 이사 시 이사비를 지원받는 이주비 등의 취업촉진수당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청년 미취업자를 위한 공공기관 의무채용(3%), 공공부문 및 중소기업 지원, 청년친화강소기업 소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등 다양한 일자리 지원 정책을 제공한다.
생활법률
2023년에 한해 50~70세 미만(55세 이상 고령자 우대) 구직자를 신중년 적합직무에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유지 시 우선지원대상기업 최대 960만원, 중견기업 최대 480만원의 고용장려금 지원 (단, 2023년 내 신청 필수, 2024년부터 신규신청 불가).
생활법률
건설 일용직 근로자는 내일배움카드(직업훈련), 취업성공패키지(취업지원 및 수당),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를 통해 기술 향상 및 생계 안정을 지원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