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안녕하세요! 취업 준비로 막막한 청년 여러분들을 위해 정부의 청년 미취업자 지원 정책을 쉽게 풀어서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나에게 딱 맞는 지원 제도를 찾아서 취업 성공의 길로 한 발짝 더 다가가 봅시다!
핵심은 '청년'의 정의!
가장 중요한 건 '청년'의 기준이 법마다 다르다는 점입니다! 지원받고 싶은 제도의 청년 기준을 꼭 확인해야 혜택을 놓치지 않아요.
그리고! 각 지자체 조례에 따라 청년의 기준이 또 다를 수 있다는 사실! 대부분 만 19세 ~ 39세이지만, 전남은 만 45세까지 포함하는 등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각 지자체 조례 참조)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을까?
1. 청년고용촉진을 위한 정부의 노력 (청년기본법, 고용정책 기본법)
2. 청년고용촉진 특별법 - 취업 지원 집중 공략!
나에게 맞는 지원 제도를 찾아보세요!
이처럼 다양한 법률과 제도를 통해 청년 취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지원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취업 성공의 꿈을 이루시길 바랍니다!
(청소년, 장애인, 고령자, 외국인 분들을 위한 취업 정보는 별도로 제공됩니다.)
생활법률
청년 미취업자를 위한 공공기관 의무채용(3%), 공공부문 및 중소기업 지원, 청년친화강소기업 소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등 다양한 일자리 지원 정책을 제공한다.
생활법률
취업 준비생을 위한 정부의 국민취업지원제도(저소득층 최대 300만원, 기타 취업활동비 최대 195만 4천원 지원)와 서울/경기 등 지자체 청년수당으로 구직활동과 생계를 지원한다.
생활법률
2023년에 한해 50~70세 미만(55세 이상 고령자 우대) 구직자를 신중년 적합직무에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유지 시 우선지원대상기업 최대 960만원, 중견기업 최대 480만원의 고용장려금 지원 (단, 2023년 내 신청 필수, 2024년부터 신규신청 불가).
생활법률
학업, 취업 준비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해 신용회복, 학자금 대출 지원, 햇살론 유스 등 다양한 금융 지원 정책을 제공한다.
생활법률
취업 성공 후 받을 수 있는 혜택으로 취업성공수당(최대 150만원),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90%, 최대 7년), 산업단지 중소기업 청년 교통비 지원(월 5만원), 청년내일채움공제(2년 근속 시 1200만원) 등이 있다.
생활법률
고용보험 가입 사업주가 만 60세 이상 근로자 고용을 늘리면 정부가 인건비 일부(증가 인원당 분기별 30만원, 최대 30명)를 지원하는 고령자 고용지원금 제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