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2.12.16

민사판례

카톡으로 주주총회 소집 요구, 법원은 OK!

주식회사의 주주라면 누구나 회사의 중요한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소수 주주일 경우,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법은 소수 주주에게도 주주총회 소집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상법 제366조 제1항). 그런데 최근, 이 주주총회 소집 요구를 카카오톡 메시지로도 할 수 있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사건의 전말

어떤 회사의 소수주주 A씨는 회사의 청산인 선임을 위해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요구했습니다. A씨는 두 차례에 걸쳐 대표이사 B씨에게 내용증명 우편으로 소집청구서를 보냈지만, B씨가 부재중이어서 모두 반송되었습니다. 이후 A씨의 변호사는 같은 내용의 소집청구서를 B씨의 카카오톡으로 보냈고, B씨는 이 메시지를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회사는 주주총회를 열지 않았고, 결국 A씨는 법원에 주주총회 소집 허가를 신청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카톡 소집 요구도 유효!

법원은 A씨의 주주총회 소집 요구가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소수주주는 서면이나 전자문서로 주주총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는데 (상법 제366조 제1항), 여기서 '전자문서'는 이메일, 문자메시지, 모바일 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 사건에서 B씨가 카톡 메시지를 통해 소집 요구서를 받고 확인했기 때문에, 전자문서로서의 요건을 충족한다고 본 것입니다.

또한, 소수주주는 '이사회'에 소집을 청구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이사회'는 대표이사를 의미합니다 (상법 제383조 제6항). 따라서 A씨가 대표이사 B씨에게 카톡으로 소집 요구를 한 것은 절차적으로도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 판결의 의미

이번 판결은 소수주주의 권리 보호를 강화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전자문서의 범위를 넓게 해석하여, 소수주주가 더욱 쉽고 빠르게 의사를 전달하고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더 이상 까다로운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카카오톡과 같은 일상적인 메신저를 통해서도 주주총회 소집 요구가 가능해진 것입니다. 이 판결은 앞으로 소수주주들의 적극적인 의사표현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 법 조항: 상법 제366조 제1항, 제383조 제1항, 제6항)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수주주가 원하는 대로 주주총회 열 수 있을까? 임시총회 소집 청구, 제대로 알고 하자!

소수주주가 법원 허가를 받아 임시 주주총회를 소집하려면, 총회에서 다룰 안건(목적사항)과 소집 이유가 정확하게 일치해야 하며, 법원은 이 부분을 명확히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특히 대표이사 해임 건의 경우, 정관에 명시된 주주총회 권한 범위 내에서만 가능합니다.

#소수주주#임시주주총회#소집이유#목적사항

민사판례

소수주주가 원하는대로 주주총회를 열 수 있을까? - 대표이사 선임/해임 관련 분쟁

소수주주가 법원의 허가를 받아 주주총회를 소집하려 할 때, 회사 정관에 주주총회에서 대표이사 선임/해임을 결정한다는 내용이 없다면, 대표이사 선임/해임을 안건으로 올릴 수 없다.

#소수주주#주주총회 소집#정관#대표이사 선임/해임

민사판례

소수주주가 소집한 주주총회, 그 이사 선임은 유효할까? - 주주총회 소집권한과 이사 지위 확인 소송에 대한 판결 분석

소수주주가 법원 허가를 받아 주주총회를 소집할 권한을 얻었더라도 상당한 기간 내에 소집하지 않으면 그 권한은 소멸한다. 또한, 회사와 이사 사이의 소송에서 원칙적으로 감사가 회사를 대표하지만, 공정한 소송 진행을 저해하지 않는 경우 예외가 인정될 수 있다.

#소수주주총회#소집권한#소멸#이사지위확인소송

상담사례

주주총회 소집, 제대로 안 하면 큰일 나요! 😱

주주총회 소집 절차(특히 소집 통지)에 하자가 있으면 모든 주주는 그 결의에 이의를 제기하고 무효화(취소 또는 부존재 확인)를 주장할 수 있다.

#주주총회#소집절차#하자#이의제기

상담사례

대주주 맘대로? 소수주주 권리 지키기! (주주총회 부존재 확인)

대주주가 소수주주에게 통지 없이 혼자 주주총회를 열고 결의한 경우, 해당 결의는 효력이 없으며(부존재), 소수주주는 주주총회 부존재 확인 소송을 통해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다.

#소수주주#대주주#주주총회#부존재 확인 소송

상담사례

주주총회, 이사회 없이 열렸다고? 괜찮을 수도 있습니다!

주주총회 소집 절차에 하자가 있더라도 모든 주주가 참석하고 만장일치로 결의했다면, 그 결의는 유효하다.

#주주총회#이사회#소집절차#전원참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