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01.11

민사판례

크레인 사고, 누구의 책임일까? 작업자의 안전 주의 의무에 대해

크레인 사고는 건설 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안타까운 사고 유형 중 하나입니다. 오늘은 크레인 사고와 관련된 법적 책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크레인 작업 반경 밖에 있던 작업자의 안전 주의 의무와 사망 사고 발생 시 손해배상 계산 방법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소개합니다.

사고 상황은 이렇습니다.

볼탱크 제작 및 설치 공사 현장에서 용접조공으로 일하던 박 씨는 기중기 작업 반경 밖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기중기 붐대 길이 범위 내에 있었는데, 작업 중 붐대를 지탱하던 로프가 끊어지면서 붐대가 박 씨를 덮쳐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법원의 판단은?

법원은 기중기 작업 반경 밖에 있더라도 붐대 길이 범위 내에 있는 작업자는 스스로의 안전을 위해 기중기 작동 상황을 주시하고 위험 발생 시 즉시 피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춰야 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박 씨가 이러한 주의 의무를 게을리했다는 이유로 사고 책임의 5%를 박 씨에게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과실상계했습니다. 즉, 박 씨의 유족이 받을 수 있는 손해배상액에서 5%를 제외한 금액만 지급하도록 판결한 것입니다.

일실수익 계산은 어떻게?

이 사고처럼 불법행위로 인해 사망한 피해자가 **일정한 직업을 통해 수입을 얻고 있었다면, 일실수익(사고로 인해 얻지 못하게 된 수입)**을 계산해야 합니다. 법원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고 당시 그 직업에서 얻고 있던 수입 금액을 기준으로 일실수익을 계산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조항과 판례

  • 민법 제763조 (손해배상):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 민법 제396조 (과실상계): 채무불이행이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의 경우, 채권자에게 과실이 있는 때에는 법원은 손해배상의 책임 및 그 금액을 정함에 있어 이를 참작하여야 한다.
  • 민법 제393조 (손해배상의 범위):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은 통상의 손해를 그 한도로 한다. 다만, 채무자가 특별한 사정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에는 채권자의 특별한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 대법원 1989.10.27. 선고 89다카5222 판결: 불법행위로 인하여 일정한 직업에 종사하여 수입을 얻고 있던 피해자가 사망한 경우의 일실이익손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손해가 발생한 불법행위 당시 그 직업으로부터 얻고 있었던 수입금액을 기준으로 삼아 산정하여야 된다.

이번 판례는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 의식과 주의 의무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작업자는 작업 반경 밖에 있더라도 잠재적 위험 요소를 인지하고 안전 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사업주 역시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고 작업자들에게 충분한 안전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크레인 사고, 누가 책임져야 할까? 운전자와 보조자에 대한 법원의 판단

무면허 운전자가 운전하는 크레인 차량으로 작업을 돕다가 사고로 사망한 전기배선공은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이하 자배법)에서 보호하는 '다른 사람'에 해당하는가? 대법원은 전기배선공이 자신의 업무와 관계없이 크레인 운전을 도왔고, 운전을 위탁받은 무면허 운전자는 여전히 운전자로서 책임을 져야 하므로, 사망한 전기배선공은 자배법상 '다른 사람'에 해당하여 보호받을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자배법#다른 사람#크레인 사고#전기배선공

민사판례

크레인 사고로 인한 사망,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

건설 현장에서 크레인 임대업자의 운전기사 과실로 재하청업체 근로자가 사망한 경우, 근로복지공단은 산재보험금을 지급한 후 크레인의 보험사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 크레인 임대업자는 산재보험 적용 대상인 하청업체로 볼 수 없다.

#산재사고#크레인 임대#운전기사 과실#구상권

민사판례

건설현장 사고,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요? - 도급인의 안전 의무와 구상권 행사 범위

건설 현장에서 크레인에 사람을 태워 작업하다가 사고가 났을 때, 원청(도급인)과 하청(수급인), 그리고 기중기 운전자 모두에게 안전 관리 책임이 있으며, 근로복지공단은 사고 책임이 있는 제3자(이 경우 기중기 운전자 측)에게 원청의 책임 비율만큼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만큼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크레인 추락사고#원청 책임#하청 책임#기중기 운전자 책임

형사판례

외주 작업 중 발생한 사고, 누구의 책임일까?

기계를 임대해준 사람은 임차인이 기계를 수리하다가 사고가 나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안전조치에 대한 책임이 없다.

#크레인#타이어 폭발#사망사고#임대업체

형사판례

이동식 크레인 사고, 안전조치 의무는 누구에게?

이동식 크레인도 산업안전보건법상 '크레인'에 포함되므로, 일반 크레인과 마찬가지로 안전조치를 해야 한다.

#이동식 크레인#크레인#안전조치#산업안전보건법

민사판례

크레인 사고, 운전 보조에 해당할까?

크레인 차량에서 크레인 작동법을 알려주다가 사고가 났더라도, 이는 자동차 운전을 보조한 것으로 보기 어려워 운전자와 동일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크레인#사고#운전보조#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