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산)

사건번호:

90다7500

선고일자:

199101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기중기의 작업반경 바깥이지만 붐대의 길이 범위 내에서 일하던 용접조공이 기중기의 작용상황을 주시하지 아니한 잘못이 있다고 하여 5%의 과실상계를 인정한 사례나. 일정한 직업에 종사하여 수입을 얻고 있던 자가 사망한 경우의 일실이익 손해의 산정

판결요지

가. 볼탱크제작 및 설치공사 현장에서 기중기의 작업반경 바깥이지만 붐대의 길이 범위 내에서 일하던 용접조공이 기중기의 작동상황을 주시하여 위험이 발생할 경우 즉시 피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는 등으로 스스로의 안전을 꾀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게을리한 잘못이 있다고 하여 5%의 과실상계를 인정한 사례 나. 불법행위로 인하여 일정한 직업에 종사하여 수입을 얻고 있던 피해자가 사망한 경우의 일실이익손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손해가 발생한 불법행위 당시 그 직업으로부터 얻고 있었던 수입금액을 기준으로 삼아 산정하여야 되는 것이다.

참조조문

민법 제763조, 제396조, 제39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9.10.27. 선고 89다카5222 판결(공1989,1787)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배종찬 외 1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류봉묵 【피고, 상고인】 김성덕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규진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0.8.23. 선고 90나153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피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한 판단 원심은, 소외 망 박상규가 원심공동피고 경신건설 주식회사가 소외 삼성중공업주식회사로부터 도급받은 소외 주식회사 유공의 볼탱크제작 및 설치공사 현장에서 용접조공으로 일하던 중, 그 부근에서 길이가 20미터, 무게가 20톤가량 되는 붐대를 지표면에 대하여 60도 가량의 각도를 유지한채 작업중이던 기중기의 붐대를 견양하는 굵기 18미리미터의 로프가 끊어져 붐대가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기중기의 작업 반경 바깥이지만 붐대의 길이 범위 내에서 일하던 위 박상규를 덮치는 바람에 위 박상규가 붐대에 깔려 그 무렵 사망한 사실을 인정하고, 위 박상규로서도 기중기가 작업하는 부근에 있는 경우에는 기중기의 붐대가 바닥으로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기중기의 작동 상황을 주시하여 위험이 발생할 경우 즉시 피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는 등으로 스스로의 안전을 꾀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게을리한 잘못이 있다고 판단한 다음, 위 박상규의 이와 같은 과실의 비율을 5퍼센트로 보아 과실상계를 하였다. 원심이 채용한 증거를 기록과 대조하여 검토하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과실상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없으므로, 논지는 이유가 없다. 2. 같은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한 판단. 불법행위로 인하여 사망한 피해자가 입은 일실이익손해는, 그 피해자가 불법행위당시 일정한 직업에 종사하여 수입을 얻고 있었던 경우에는, 특별한 다른 사정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손해가 발생한 불법행위당시 그 직업으로부터 얻고 있었던 수입금액을 기준으로 삼아 산정하여야 되는 것이므로( 당원 1989.10.27. 선고 89다카5222 판결), 논지도 이유가 없다. 3. 그러므로 피고의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피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재성(재판장) 박우동 윤영철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크레인 사고, 누가 책임져야 할까? 운전자와 보조자에 대한 법원의 판단

무면허 운전자가 운전하는 크레인 차량으로 작업을 돕다가 사고로 사망한 전기배선공은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이하 자배법)에서 보호하는 '다른 사람'에 해당하는가? 대법원은 전기배선공이 자신의 업무와 관계없이 크레인 운전을 도왔고, 운전을 위탁받은 무면허 운전자는 여전히 운전자로서 책임을 져야 하므로, 사망한 전기배선공은 자배법상 '다른 사람'에 해당하여 보호받을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자배법#다른 사람#크레인 사고#전기배선공

민사판례

크레인 사고로 인한 사망,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

건설 현장에서 크레인 임대업자의 운전기사 과실로 재하청업체 근로자가 사망한 경우, 근로복지공단은 산재보험금을 지급한 후 크레인의 보험사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 크레인 임대업자는 산재보험 적용 대상인 하청업체로 볼 수 없다.

#산재사고#크레인 임대#운전기사 과실#구상권

민사판례

건설현장 사고,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요? - 도급인의 안전 의무와 구상권 행사 범위

건설 현장에서 크레인에 사람을 태워 작업하다가 사고가 났을 때, 원청(도급인)과 하청(수급인), 그리고 기중기 운전자 모두에게 안전 관리 책임이 있으며, 근로복지공단은 사고 책임이 있는 제3자(이 경우 기중기 운전자 측)에게 원청의 책임 비율만큼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만큼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크레인 추락사고#원청 책임#하청 책임#기중기 운전자 책임

형사판례

외주 작업 중 발생한 사고, 누구의 책임일까?

기계를 임대해준 사람은 임차인이 기계를 수리하다가 사고가 나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안전조치에 대한 책임이 없다.

#크레인#타이어 폭발#사망사고#임대업체

형사판례

이동식 크레인 사고, 안전조치 의무는 누구에게?

이동식 크레인도 산업안전보건법상 '크레인'에 포함되므로, 일반 크레인과 마찬가지로 안전조치를 해야 한다.

#이동식 크레인#크레인#안전조치#산업안전보건법

민사판례

크레인 사고, 운전 보조에 해당할까?

크레인 차량에서 크레인 작동법을 알려주다가 사고가 났더라도, 이는 자동차 운전을 보조한 것으로 보기 어려워 운전자와 동일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크레인#사고#운전보조#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