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01.26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도시계획으로 개발 제한된 땅은?

땅값이 껑충 뛰면 세금도 덩달아 뛰는 토지초과이득세! 하지만 모든 경우에 다 내야 하는 걸까요? 특히 도시계획으로 개발이 제한된 땅이라면 어떨까요? 오늘은 도시설계구역으로 지정된 땅에 대한 토지초과이득세 부과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서울의 한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는데, 서울시가 이 땅을 포함한 일대를 도시설계구역으로 지정했습니다. 이로 인해 원고는 자신의 땅을 단독으로 개발할 수 없고, 인근 토지와 공동으로만 개발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원고는 이러한 개발 제한을 이유로 토지초과이득세 감면을 주장했습니다.

쟁점

  • 도시설계구역 지정으로 인한 공동개발 의무가 토지초과이득세 감면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
  •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령의 적용 범위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도시설계구역 지정으로 인해 인근 토지와 공동으로만 개발할 수 있게 된 경우, 이는 토지의 사용을 특별히 제한하는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토지는 토지초과이득세법 제8조 제3항과 같은 법 시행령 제23조 제1호에서 정하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사용이 금지되거나 제한된 토지'에 해당한다고 보았습니다. 즉, 개발 제한 기간 동안 토지초과이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대법원은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 관련 법령(법률, 시행령, 시행규칙)은 납세자에게 불리하게 적용되지 않는 한 당해 사건에도 적용된다고 판시했습니다. (헌법 제107조 제1항,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 참조)

핵심 정리

  • 도시설계구역 지정으로 인한 공동개발 의무는 토지 사용 제한에 해당하여 토지초과이득세 감면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령은 납세자에게 불리하지 않다면 소급 적용됩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토지초과이득세법 제8조 제3항
  • 토지초과이득세법시행령 제23조 제1호
  • 대법원 1994. 3. 25. 선고 93누2988 판결
  • 대법원 1994. 5. 24. 선고 93누17928 판결
  • 헌법재판소 1994. 7. 29. 선고 92헌바49, 52 결정

도시계획으로 땅의 사용이 제한되었다면 토지초과이득세 감면 가능성을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도시설계구역 지정과 토지초과이득세: 토지 사용 제한에 대한 대법원 판결

도시설계구역으로 지정되어 인접 토지와 공동 개발하거나 단독 개발 시 심의를 거쳐야 하는 토지는 "법령에 의해 사용이 제한된 토지"로 인정되어 토지초과이득세 감면 대상이 될 수 있다.

#도시설계구역#건축제한#토지초과이득세#감면

세무판례

개발 예정지로 묶인 땅, 토지초과이득세는 어떻게 될까?

개발 예정으로 용도가 정해지지 않아 인허가가 제한된 땅도, '법령에 의해 사용이 제한된 땅'으로 보아 토지초과이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다.

#토지초과이득세#감면#미지정 용도 토지#사용제한

세무판례

개발제한구역 지정과 토지 사용 제한에 대한 법원의 판단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토지는 법으로 사용이 금지되거나 제한된 것으로 보아 토지초과이득세 계산 시 고려해야 한다.

#개발제한구역#토지초과이득세#토지사용제한#감면

세무판례

땅값이 많이 올랐을 때 세금, 어떤 땅은 안 내도 될까?

법령에 직접 써있지 않더라도, 상위 법령에 따른 하위 규정(예규 등) 때문에 토지의 형질변경이 금지되어 건물을 지을 수 없다면, 토지초과이득세를 계산할 때 '법령에 의해 토지 사용이 제한된 경우'로 볼 수 있다.

#토지초과이득세#토지사용제한#형질변경#예규

세무판례

토지구획정리사업 중 토지 취득 후 도시설계구역 지정으로 건축 불가 시 토지초과이득세는?

토지구획정리 중인 땅을 샀는데, 나중에 도시설계구역으로 지정돼서 건물을 못 짓게 되었다면, 토지초과이득세를 매길 때 '놀고 있는 땅(유휴토지)'으로 봐서 세금을 더 내야 할까? 대법원은 "아니다"라고 판결했습니다. 이미 토지 사용이 제한된 것이기 때문에 유휴토지로 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토지초과이득세#유휴토지#도시설계구역#건축제한

일반행정판례

도시설계구역 내 토지, 과다보유세 내야 할까?

도시설계구역으로 지정되어 단독 건축이 제한된 토지라도, 법령에 따라 완전히 건축이 금지된 것이 아니라면 토지과다보유세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지 않는다.

#토지과다보유세#도시설계구역#건축제한#과세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