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9.09.24

세무판례

특수관계자 간 토지 지상권 설정과 세금 문제

안녕하세요, 오늘은 특수관계자 간의 토지 지상권 설정과 관련된 세금 문제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복잡한 세법 용어들을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은 원고가 특수관계에 있는 회사에 자신의 토지에 대한 지상권을 설정해주고 받은 지료가 너무 낮아 세금을 적게 냈다는 이유로 세무서로부터 종합소득세와 부가가치세 부과처분을 받으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원고는 이 처분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특수관계자에게 낮은 지료를 받고 지상권을 설정해 준 것이 세법상 '부당행위계산부인'에 해당하는지 여부
  2. 부당행위계산부인에 해당한다면, 지상권 설정에 따른 적정한 지료(시가)는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여부
  3. 지상권 설정에 따른 지료가 종합소득세에서 '부동산 임대소득'인지, 아니면 '기타소득'인지 여부
  4. 세금 부과처분에 대한 제척기간(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기간)이 지났는지 여부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1. 부당행위계산부인: 원고가 받은 지료의 연수익률이 정기예금 이자율에 비해 훨씬 낮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특수관계자에게 토지를 저가로 제공하여 세금 부담을 부당하게 줄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세금을 줄이려는 목적이 없었더라도, 거래가 정상적이지 않다면 부당행위계산부인 규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 법률: 구 소득세법 제41조, 구 소득세법 시행령 제98조) (참고 판례: 대법원 2004. 10. 28. 선고 2004두4772 판결 등)

  2. 시가 산정: 유사 토지의 임대 사례가 없을 경우, 토지 공시지가의 50%에 정기예금 이자율을 곱한 금액을 시가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계산 방법입니다. (관련 법률: 부가가치세법 제13조 제1항 제3호의2, 구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50조 제1항, 제52조 제1항, 구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50조 제1항, 법인세법 시행령 제89조 제4항 제1호) (참고 판례: 대법원 1997. 9. 9. 선고 97누1570 판결)

  3. 소득 구분: 지상권 설정에 따른 지료는 '기타소득'에 해당합니다. 지료를 정기적으로 받았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관련 법률: 구 소득세법 제18조 제1항 제1호, 제3항, 제21조 제1항 제9호) (참고 판례: 대법원 2006. 5. 25. 선고 2004두10241 판결, 대법원 1999. 9. 3. 선고 99다24874 판결) 원심은 이 부분을 잘못 판단했습니다.

  4. 부과제척기간: 1999년 제1기 부가가치세 부과처분은 부과제척기간(5년)이 지난 후에 이루어졌으므로 무효입니다. (관련 법률: 구 국세기본법 제26조의2, 구 국세기본법 시행령 제12조의3, 구 부가가치세법 제19조) (참고 판례: 대법원 1999. 6. 22. 선고 99두3140 판결, 대법원 2009. 5. 28. 선고 2007두24364 판결)

결론

대법원은 종합소득세 부과처분 중 일부와 1999년 제1기 부가가치세 부과처분을 취소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하였습니다. 특수관계자 간 거래 시에는 세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거래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세법은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토지 무상사용에 대한 세금,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특수관계인에게 토지를 무상으로 사용하게 한 경우, 세법상 부당행위계산 부인 규정을 적용하여 임대소득을 추정하여 소득세를 부과할 수 있다.

#토지 무상사용#소득세 부과#부당행위계산 부인#특수관계인

세무판례

특수관계자 거래와 부가가치세, 그리고 특별부가세

회사가 특수관계인(예: 주주)에게 부동산을 싸게 팔거나 공짜로 준 경우, 부가가치세는 시가(정상적인 거래 가격)를 기준으로 매겨야 하지만, 특별부가세는 무상 양도의 경우 부과되지 않습니다. 시가를 산정할 때는 부동산의 위치, 면적, 용도 등을 고려해야 하며, 단순히 다른 거래 사례 하나만으로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특수관계자#부동산 거래#부가가치세#특별부가세

세무판례

회사와 특수관계인 간의 헐값 토지 거래, 증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회사와 특수 관계에 있는 사람이 회사에 토지를 팔 때, 시세보다 훨씬 싸게 팔면 세금을 덜 내려는 부당행위로 보고 시가대로 세금을 매긴다는 판결.

#특수관계자#토지거래#저가양도#부당행위계산

세무판례

가족끼리 싸게 임대해주면 세금 더 내야 할까? - 부당하게 낮은 임대료와 부가가치세

특수관계인(예: 가족, 친척, 계열사)에게 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부동산을 임대하면 부가가치세를 더 내야 할 수 있습니다. 세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금액은 시세를 기준으로 하며, 시세를 알 수 없을 때는 감정평가액도 시세로 인정됩니다.

#특수관계자#부동산 임대#부가가치세#시세

세무판례

특수관계자 간 거래와 증자소득공제에 대한 세법 해석

회사가 특수관계자인 주요 거래처로부터 공사대금 회수를 늦춘 경우,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세금 측면에서 불이익을 주는 '부당행위'로 보지 않고 세금 감면 혜택인 '증자소득공제'도 받을 수 있다.

#특수관계자#공사대금 회수 지연#부당행위계산 부인#증자소득공제

세무판례

특수관계인 간 토지 거래, 세금 줄이려다 더 내는 경우도 있다?! 부당행위계산 부인

특수관계자 간에 토지 거래를 할 때, 세금을 줄이기 위해 시세보다 훨씬 싸게 거래한 경우, 세무 당국은 이를 부당행위로 보고 시가(시세)를 기준으로 세금을 다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때 부당행위 여부는 **거래 당시** 시세를 기준으로 판단하며, 부당행위로 판단될 경우 양도가액(판 가격)은 **대금청산일(실제로 돈을 주고받은 날)**이 속한 연도의 시가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특수관계자#토지거래#부당행위계산부인#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