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4.02.13

특허판례

특허 심판청구서 보정, 어디까지 허용될까? 발명의 동일성 유지가 핵심!

특허 심판 과정에서 심판청구서를 보정하는 경우, 어느 정도까지 수정이 허용될까요? 오늘은 발명의 동일성 유지와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대법원 2012. 5. 24. 선고 2012후344 판결)

사건의 개요

A사는 특정 감시 시스템에 대한 특허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특수 렌즈를 이용하여 전방위 영상을 얻는 기술이 핵심입니다. A사는 B사가 판매하는 제품이 자신의 특허를 침해한다고 생각하여 권리범위확인심판을 청구했습니다. 심판 과정에서 A사는 심판청구서에 첨부된 확인대상발명(B사 제품)의 설명과 도면을 여러 번 보정했습니다. B사는 이러한 보정이 특허법 제140조 제2항에서 금지하는 "요지의 변경"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심판청구가 각하되어야 한다고 맞섰습니다.

특허법 제140조 제2항이란?

특허법 제140조 제2항은 심판청구서의 보정은 그 요지를 변경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심판 절차의 지연이나 상대방의 방어권 침해를 막기 위한 것입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A사의 보정이 발명의 동일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였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보정 내용이 확인대상발명의 불명확한 부분을 구체화하거나 당연히 있어야 할 구성요소를 추가한 것에 불과하다면, 이는 요지의 변경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A사의 보정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어안렌즈를 구비한 네트워크 카메라, 전원공급기, 구동 프로그램 등 구성의 추가
  • 어안렌즈, CMOS 센서, 메인프로세서 등 하드웨어 구성의 추가
  • 영상 획득 및 전송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추가

대법원은 이러한 보정이 B사 제품의 핵심 기능과 구성을 바꾼 것이 아니라, 기존 설명을 더욱 명확하게 하고 상세하게 풀어 쓴 것에 불과하다고 보았습니다. 비록 보정을 통해 확인대상발명의 설명이 달라지긴 했지만, 이는 단순히 구체화 정도의 차이일 뿐, 발명 자체의 동일성은 유지되었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핵심 포인트: 발명의 동일성 유지

이 판례의 핵심은 심판청구서 보정 시 발명의 동일성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단순히 설명을 명확하게 하거나 당연히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추가하는 정도는 허용되지만, 발명의 핵심적인 내용을 바꾸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번 판례를 통해 특허 심판에서 심판청구서 보정의 허용 범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 특허 분쟁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영역이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특허 보정, 어디까지 허용될까요?

특허출원 후 명세서나 도면을 수정할 때, 최초 제출했던 내용에서 크게 벗어나면 안 된다는 판례입니다. 얼마나 벗어나면 안 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허 명세서 보정#요지변경#최초 명세서#기재 사항

특허판례

특허 정정, 어디까지 고칠 수 있을까? - 정정 보정의 허용 범위

특허 정정 심판에서, 이미 청구한 정정 내용을 나중에 수정하려면 (보정), 처음 정정 청구의 핵심 내용을 바꾸지 않는 작은 수정만 허용된다. 완전히 새로운 정정을 추가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특허 정정 심판#정정 보정#허용 범위#경미한 수정

특허판례

실용신안 보정, 어디까지 허용될까? 요지 변경의 의미와 범위

실용신안 출원 후 명세서나 도면을 수정하는 '보정'은 단순히 불명확한 내용을 명확하게 하는 것은 허용되지만, 발명의 핵심 내용을 바꾸는 '요지 변경'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 판례는 보정과 요지 변경의 경계를 명확히 합니다.

#실용신안#보정#요지변경#칸막이

특허판례

특허 심사 과정에서의 청구항 보정, 어디까지 허용될까?

특허 출원 후 심사 과정에서 청구항을 보정할 때, 기존 명세서에 포함된 내용을 바탕으로 단순히 내용을 추가하는 경우는 실질적인 변경으로 보지 않는다는 판결.

#특허#청구항 보정#실질적 변경#명세서

특허판례

특허청구범위 보정, 어디까지 허용될까?

특허 출원 후 거절결정에 불복하여 심판을 청구할 때, 특허청구범위를 보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보정 전후의 내용이 실질적으로 달라졌는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다른 청구항에 있던 내용을 추가하여 범위를 좁히는 정도의 보정은 실질적인 변경으로 보지 않습니다.

#특허청구범위#보정#실질적 확장/변경#심판

특허판례

특허 보정, 어디까지 허용될까? - 눈 감지 센서 특허 분쟁 사례

특허 명세서를 보정할 때는 처음 특허출원서에 적었던 내용을 벗어나면 안 됩니다. 단순히 '눈 감지 센서'라고만 적어놓고 나중에 세부 작동 원리를 추가하는 것은 새로운 내용을 추가한 것으로 허용되지 않습니다.

#특허 보정#범위 제한#센서 작동원리#특허법 47조 2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