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합명회사 사원, 당신의 책임은 어디까지? 무한책임의 함정 파헤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합명회사 사원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무한책임에 대해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나 하나쯤'이라는 생각은 금물! 합명회사의 사원은 회사의 빚에 대해 막중한 책임을 지게 됩니다. 자, 그럼 자세히 알아볼까요?

1. 회사 빚, 내 돈으로 갚아야 할까? (사원의 책임)

합명회사가 빚을 갚지 못하면, 회사 재산으로 부족한 부분은 사원들이 자신의 재산으로 갚아야 합니다. 회사 재산에 압류를 해도 돈을 받아내지 못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상법 제212조 제1항, 제2항)

"회사 돈이 충분히 있으면 난 괜찮겠지?"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회사의 빚은 사실상 사원들의 공동 빚으로 보기 때문에, 회사가 빚을 지는 순간 사원의 책임도 함께 발생한다고 해석합니다. 즉, 회사 재산이 충분하더라도 채권자가 요구하면 사원은 빚을 갚아야 할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대법원 2009. 5. 28. 선고 2006다65903)

다만, 회사에 빚을 갚을 충분한 재산이 있고, 쉽게 돈을 받아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면 사원은 책임을 면할 수 있습니다. (상법 제212조 제3항)

2. 나도 몰래 사원이 되었다고? (자칭사원의 책임)

사원이 아닌 사람이 자신을 사원이라고 속여서 다른 사람과 거래를 했다면, 그 거래 상대방에게는 진짜 사원과 똑같은 책임을 지게 됩니다. (상법 제215조)

3. 새로 들어왔는데 옛날 빚도 갚아야 한다고? (신입사원, 퇴사원, 지분양도 사원의 책임)

  • 신입사원: 회사 설립 후에 새로 들어온 사원도, 자신이 들어오기 전에 생긴 회사 빚에 대해 기존 사원과 똑같은 책임을 집니다. (상법 제213조)
  • 퇴사원/지분양도 사원: 퇴사하거나 지분을 양도한 사원이라도, 퇴사/양도 등기 후 2년 동안은 등기 전에 생긴 회사 빚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 (상법 제225조 제1항, 제2항)

4. 억울하게 빚 갚으라는데 어떻게 하지? (사원의 항변과 변제책임 이행)

사원은 회사가 채권자에게 주장할 수 있는 사유를 들어 빚 상환 요구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가 채권자에게 줄 돈이 있는 경우(상계), 계약을 취소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상법 제214조 제1항, 제2항, 민법 제492조 제1항)

만약 사원이 회사 빚을 대신 갚았다면, 사원은 회사에 갚은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구상권). 다른 사원들에게도 자신이 부담한 만큼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민법 제481조, 제425조)

5. 언제까지 책임져야 하는 거야? (사원의 변제책임 소멸)

  • 퇴사/지분양도 사원: 퇴사/양도 등기 후 2년이 지나면 책임에서 벗어납니다. (상법 제225조 제1항, 제2항)
  • 회사 해산: 회사가 해산 등기를 한 후 5년이 지나면 사원의 책임도 사라집니다. (상법 제267조 제1항)

합명회사의 사원은 무한책임이라는 큰 부담을 지게 됩니다. 따라서 회사의 경영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합자회사 사원 책임, A to Z 완벽 정리!

합자회사 사원은 무한책임사원은 전재산으로, 유한책임사원은 출자액까지 회사 빚에 대해 책임지며, 신입·퇴사/지분양도 사원도 일정 기간 책임을 지고, 자칭 사원도 책임 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회사 해산 후 5년 경과 시 책임이 소멸된다.

#합자회사#사원책임#무한책임#유한책임

민사판례

합명회사·합자회사 사원의 책임, 언제부터 생길까요?

합명회사나 합자회사의 무한책임사원은 회사가 빚을 지는 순간부터 채무 변제 책임을 지며, 회사 재산으로 빚을 다 갚지 못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합명회사#합자회사#무한책임사원#채무책임

상담사례

내 재산은 내 거! 회사 빚은 회사 빚? (합자회사 무한책임사원의 책임)

합자회사 무한책임사원은 회사 빚에 대해 개인 재산으로 책임져야 하므로, 빚을 피하려 재산을 빼돌리는 행위는 사해행위로 문제될 수 있다.

#합자회사#무한책임사원#회사 빚#개인 재산

민사판례

합자회사 사원의 책임과 사해행위

합자회사의 무한책임사원이 회사 빚 때문에 자기 재산을 다른 사람에게 넘겨버리는 행위(사해행위)가 법적으로 문제가 되는지, 그리고 회사가 빚을 갚을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합자회사#무한책임사원#사해행위#채무변제능력

생활법률

합명회사 사원의 업무집행, 꼼꼼하게 알아보자!

합명회사 사원은 원칙적으로 모두 업무집행권을 가지나, 정관으로 특정 사원 또는 공동업무집행사원을 지정할 수 있으며, 모든 사원은 업무집행 감시권을 가지고, 업무집행사원의 위법행위는 처벌되며, 법원은 업무집행권 상실 또는 정지를 선고할 수 있다.

#합명회사#업무집행#사원#권리

생활법률

합명회사 사원 지분, 꼼꼼하게 알아보기!

합명회사 사원 지분은 퇴사 시 정산받는 몫이며, 이익/손실 배분은 정관 또는 출자 비율에 따르고, 양도는 다른 사원 전원 동의가 필요하며, 퇴사 후 2년간 기존 채무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상속은 원칙적으로 불가(단, 정관에 규정된 경우 예외)이고, 채권자에 의해 압류 가능하다.

#합명회사#사원 지분#출자#이익/손실 분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