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3.12.11

세무판례

항만시설 관리권 현물출자와 부가가치세

오늘은 항만시설 관리권을 현물출자할 때 부가가치세 공급시점과 세금계산서, 가산세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를 쉽게 풀어 설명해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사례: 경기화학은 항만시설 관리권을 경기벌크에 현물출자했습니다. 경기화학은 이 관리권을 1994년에 공급했다고 신고하고 세금계산서를 발행했지만, 세무서는 관리권 명의이전이 완료된 1993년에 이미 공급된 것으로 보아 세금계산서가 잘못되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경기벌크에는 1993년 2기분 부가가치세를 부과하고, 경기화학에는 1994년 2기분 부가가치세를 감액하는 대신 1993년 2기분 부가가치세를 부과했습니다. 경기화학과 경기벌크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1. 항만시설 관리권 현물출자의 부가가치세 공급시기는 언제일까요?
  2. 잘못된 세금계산서에 대한 매입세액 불공제 규정은 합헌일까요?
  3. 가산세 부과는 정당할까요?

대법원의 판단:

  1. 공급시기: 대법원은 항만시설 관리권의 공급시기는 명의이전등록을 마친 시점이라고 판결했습니다. 경기화학과 경기벌크는 명의변경등록 전에 이사회, 주주총회 결의, 관할관청 승인 등 필요한 절차를 모두 마쳤고, 경기벌크는 명의변경등록 후 항만운송사업을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관리권이 실질적으로 이전된 시점은 명의이전등록일인 1993년 11월 2일로 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구 부가가치세법 제9조 제1항 제2호)

  2. 세금계산서와 위헌 여부: 세금계산서에 사실과 다른 내용이 기재된 경우 매입세액을 공제하지 않는 규정은 합헌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세금계산서는 부가가치세 제도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정확성과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재는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구 부가가치세법 제17조 제2항 제1호, 현행 제17조 제2항 제1의2호 참조, 헌법 제37조 제2항, 헌법재판소 2002. 8. 29. 선고 2000헌바50, 2002헌바56(병합) 결정)

  3. 가산세: 가산세는 납세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세법상 의무를 위반한 경우 부과되는 행정상 제재입니다. 대법원은 경기화학과 경기벌크가 공급시기를 잘못 판단한 데에 정당한 사유가 없다고 보아 가산세 부과는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국세기본법 제47조, 구 부가가치세법 제22조)

핵심 정리:

  • 항만시설 관리권 현물출자의 부가가치세 공급시기는 명의이전등록일입니다.
  •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에 대한 매입세액 불공제 규정은 합헌입니다.
  • 정당한 사유 없이 세법상 의무를 위반하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참고: 이 판결은 구 부가가치세법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므로, 현재 적용되는 법과 다를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생수 제조업체, 세금계산서 오류로 매입세액 공제 못 받고, 수질개선부담금은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

잘못된 세금계산서는 매입세액 공제를 받을 수 없고, 먹는샘물 제조업자가 도소매상에게 전가한 수질개선부담금은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에 포함된다.

#부가가치세#수질개선부담금#세금계산서#매입세액공제

세무판례

폐업 시 잔존재화에 대한 부가가치세 과세, 어디까지?

국가에 기부채납하기로 예정되어 건설한 건물은, 폐업 시 잔존재화로 보아 부가가치세를 부과할 수 없다. 이미 기부채납이라는 재화의 공급 또는 용역의 공급으로 과세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건설 중이던 미완성 자산에도 재산적 가치가 없다면 부가가치세를 부과할 수 없다.

#기부채납#부가가치세#잔존재화#미완성자산

세무판례

사업과 관련된 재화 공급, 부가가치세는 어떻게 될까?

사업과 관련된 일시적인 재화 공급도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며, 폐업 전후 중간지급조건부 재화 공급은 잔존재화로 보지 않아 부가가치세가 과세된다.

#부가가치세#일시적 재화 공급#폐업#중간지급조건부

세무판례

항만 부두공사 기부채납,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인가?

제철회사가 사업 목적으로 국가에 항만시설을 건설해 기부채납하고 무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는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인 용역의 공급에 해당한다.

#기부채납#부가가치세#용역의 공급#항만시설

세무판례

외국항행선박 유류 부정유출에 대한 교통세 환급 및 가산세 부과

외국항행선박에 사용될 유류에 대해 교통세 환급을 받았지만, 실제로 유류가 부정 유출되어 선박에 사용되지 않은 경우, 유류를 공급한 정유회사는 환급받은 교통세를 반납해야 하고 가산세도 부과될 수 있다.

#외국항행선박#유류#부정유출#교통세

세무판례

주택복권 발행 대행과 부가가치세, 면세 여부는?

주택은행이 건설교통부로부터 위탁받아 주택복권을 발행하는 업무는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금융용역이 아니라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인 용역의 공급에 해당하며, 관련 법 개정 초기에 과세관청도 이를 명확히 알지 못했던 점을 고려하여 가산세는 부과하지 않는다.

#주택복권#발행대행#부가가치세#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