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04.10

민사판례

항소심에서 금액 변경 시 지연이자 계산, 이렇게 해야 합니다!

돈을 빌려주거나 물건 대금을 받지 못했을 때, 소송을 통해 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소송이 길어지면 원래 받아야 할 돈 외에 지연이자도 함께 청구할 수 있죠. 그런데 항소심에서 원래 받아야 할 돈의 액수가 바뀌면 지연이자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탄광회사가 직원에게 제대로 된 보상금을 지급하지 않아 소송이 벌어졌습니다. 1심 법원은 직원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지만, 탄광회사는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했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1심에서 정해진 금액을 변경했지만, 지연이자는 1심 판결일 다음 날부터 연 25%의 이율을 적용하여 계산하도록 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항소심의 지연이자 계산 방식이 잘못되었다고 판단했습니다. 핵심은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제3조 제2항입니다. 이 법에 따르면, 금전 채무 관련 소송에서 돈을 지급하라는 판결이 확정되면 지연이자가 발생합니다. 항소심에서 금액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금액을 기준으로 1심 판결일 다음 날부터 새롭게 지연이자를 계산해야 합니다. 기존처럼 1심 판결일 다음 날부터 연 25% 이율을 적용하는 것은 법 해석을 잘못한 것이라는 것이죠.

쉽게 말해, 항소심에서 돈을 덜 지급하라고 판결이 났다면, 줄어든 금액만큼 지연이자도 줄어들어야 공평하다는 것입니다.

참고 판례

이번 판례와 비슷한 사례를 다룬 판례들이 더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아래 판례들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대법원 1987.7.7. 선고 86다카2392 판결
  • 대법원 1988.9.20. 선고 86다카430 판결
  • 대법원 1989.10.27. 선고 89다카5222 판결
  • 대법원 1989.12.12. 선고 88다카27492,27508 판결

결론

돈과 관련된 소송은 복잡하고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지연이자 계산처럼 세부적인 부분까지 꼼꼼히 살펴봐야 합니다. 혹시 비슷한 상황에 처했다면 관련 법률과 판례를 잘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돈 갚으라고 소송했는데 1심, 2심 판결이 다르면 지연이자는 어떻게 계산할까?

돈을 갚으라는 소송에서 채무자가 1심에서는 돈을 갚지 않아도 된다는 주장이 일부 받아들여졌지만, 항소심에서 그 주장이 뒤집힌 경우, 1심에서 인정되지 않았던 금액에 대해서는 항소심 판결 선고일까지는 낮은 이율의 지연이자(연 5%)를 적용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지연이자#이율#1심#항소심

민사판례

소장 접수 후 청구금액 변경 시 지연이자는 어떻게 계산될까?

소송 중 청구 금액을 늘리거나 여러 청구를 합치는 경우, 늘어난 금액이나 합쳐진 청구에 대한 이자는 언제부터 계산해야 하는지, 그리고 채무자가 돈을 갚을 의무가 있는지 다투는 것이 정당한 경우 이자율을 낮출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소송#청구금액 변경#이자 계산#증액

민사판례

항소심에서 금액이 줄어들면 이자도 줄어들까? 지연손해금 계산은 어떻게?

항소심에서 피고의 항소가 일부 인정되어 배상액이 줄어든 경우, 1심 판결부터 항소심 판결까지 높은 이자율(소송촉진 특례법상 이율)이 아니라 낮은 이자율(민법상 이율)을 적용해야 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피고가 금액에 대해 정당하게 다퉜다고 인정되면, 낮은 이자율을 적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지연손해금#이자율#항소심#감액

민사판례

지연이자, 언제까지 낮은 이율로 계산될까? (이행의무 항쟁이 상당한 기간)

1심에서 돈을 지급하라는 판결이 나왔는데, 2심에서 지급액이 줄었다가, 대법원(상고심)에서 다시 2심 판결을 취소하고 1심 판결대로 하라고 돌려보냈다면, 2심 판결이 효력을 잃기 전까지는 피고가 돈을 덜 내도 된다는 주장이 합리적이므로, 그 기간 동안에는 높은 이자(지연손해금)를 물릴 수 없다.

#지연손해금#파기환송#항소심#상고심

민사판례

교통사고 손해배상, 항소심에서 금액이 줄어들면 이자도 줄어들어야 한다!

교통사고 손해배상 소송에서 항소심이 피고의 항소를 일부 받아들여 배상액을 줄이면서도 지연이자는 잘못 계산한 것을 대법원이 바로잡은 사례입니다. 항소심에서 배상액이 줄어든 부분에 대해서는 낮은 이율의 지연이자를 적용해야 하는데, 높은 이율을 적용했기 때문입니다.

#교통사고#손해배상#항소심#지연이자

민사판례

손해배상 소송에서 항소하면 이자가 줄어들까? - 지연이자 계산 함정 피하기

손해배상 소송에서 1심 판결 금액을 항소심에서 그대로 인정한 경우, 항소심 기간 동안의 지연이자는 소송을 지연시킨 것으로 볼 수 없으므로 더 높은 이자율을 적용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각각의 손해(치료비, 수입 감소, 정신적 고통 등)에 대해서는 따로 판단해야 합니다.

#손해배상#항소심#지연이자#소촉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