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06.11

일반행정판례

항운노조원, 근로자인가 아닌가? 산재보험료 분쟁 사례

오늘은 산재보험료 납부 의무를 둘러싼 농업협동조합중앙회(이하 농협)와 근로복지공단 사이의 법적 분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핵심 쟁점은 항운노조 소속 하역 노동자들이 농협의 근로자인지, 따라서 농협이 이들에 대한 산재보험료를 납부해야 하는지 여부입니다.

사건의 개요

농협은 산하 사업장에서 전국항운노동조합연맹 산하 서울특별시 농산물종합시장노동조합(이하 노조) 소속 하역 노동자들을 통해 하역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근로복지공단은 이들 노동자를 농협의 근로자로 보고 농협에 산재보험료 납부를 명령했습니다. 농협은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 농협은 하역 노동자들을 직접 고용하지 않았고, 노조 소속으로 파견받았으므로 이들을 근로자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 하역 노동자들은 작업량에 따라 보수를 받았고, 농협이 인사권을 행사하지 않았으며, 작업 지시도 단순하고 일반적인 수준이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 또한, 농협은 이들에게 사업소득세를 원천징수했으며, 노조가 작업반장을 통해 작업을 지시하는 등 독립적인 운영 형태를 보였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1심과 2심에서는 하역 노동자들을 농협의 근로자로 판단했지만, 대법원은 이를 뒤집었습니다. 대법원은 근로기준법 제14조에 따라 근로자성을 판단할 때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 업무 내용, 지휘·감독 여부
  • 근무 시간과 장소의 구속성
  • 업무 대체 가능성
  • 비품, 원자재, 작업도구 소유 관계
  • 보수의 성격 (기본급/고정급, 근로소득세 원천징수 여부)
  • 근로 제공의 계속성과 전속성
  • 사회보장제도 적용 여부
  • 당사자의 경제·사회적 조건

대법원은 이 사건에서 농협과 하역 노동자들 사이에 실질적인 사용종속관계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농협이 이들의 업무에 대해 구체적인 지휘·감독을 하지 않았고, 노동자들은 노조 소속으로 독립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었으며, 농협에 대한 전속성도 없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농협은 이들에 대한 산재보험료 납부 의무가 없다고 결론지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1993. 12. 27. 법률 제464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제6조, 제19조
  • 근로기준법 제14조, 제18조
  • 대법원 1995. 1. 4. 선고 94누9290 판결
  • 대법원 1994. 12. 9. 선고 94다22859 판결
  • 대법원 1995. 6. 30. 선고 94도2122 판결
  • 대법원 1995. 12. 22. 선고 95누3565 판결

이 사건은 단순히 농협과 하역 노동자들 사이의 문제를 넘어, 파견 근로자와 원청업체 사이의 책임 소재 및 근로자성 판단 기준을 제시하는 중요한 판례로 남았습니다.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종속관계 존재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부산공동어시장, 산재보험료 분쟁에서 승소!

항운노조가 근로자 공급 사업을 통해 하역업체에 조합원을 보내 일을 하게 한 경우, 그 조합원은 하역업체가 아닌 노조의 근로자로 보아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따라서 하역업체는 조합원에 대한 산재보험료를 납부할 의무가 없습니다.

#항운노조#근로자#하역업체#산재보험

일반행정판례

도매시장 하역 근로자, 누구에게 산재보험 책임이 있을까?

농산물 도매시장의 지정 도매법인(중앙청과)은 시장 내 하역 노동자들에 대해 산재보험 가입 의무가 있는 사업주가 아니다.

#농산물 도매시장#하역 노동자#산재보험#중앙청과

일반행정판례

건설 현장 추락 사고, 산재보험 적용 대상은 누구?

계약 형식이 도급이라도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지휘·감독 아래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일했다면 산재보험 적용 대상인 '근로자'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법원은 사업자등록 여부 등 형식적인 요건보다 실질적인 근로 관계를 중시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산재보험#근로자성#도급#지휘·감독

일반행정판례

항운노조 조합원도 산재보험 적용 대상?

항운노조 조합원도 노조를 통해 근로를 제공하고 그 대가를 받는 근로자이므로 산재보험 적용 대상입니다. 또한, 노조가 운영하는 근로자공급사업은 산재보험 당연 적용 대상 사업입니다.

#항운노조#조합원#산재보험#근로자

민사판례

항운노조, 퇴직금 지급 의무 없다?

항만 하역 근로자가 노동조합을 상대로 퇴직금 지급을 청구했지만, 대법원은 노동조합이 근로기준법상 퇴직금 지급 의무를 지는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항운노조#퇴직금#지급의무#사용자

일반행정판례

영농조합법인 이사도 근로자일 수 있을까? 산재보험 적용 여부를 둘러싼 법적 분쟁

가족이 운영하는 영농조합법인의 이사라도 실제로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근로를 제공했다면 산재보험 적용 대상인 '근로자'로 인정될 수 있다.

#영농조합법인#이사#산재보험#근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