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따라 강남 간다더니, 친구 따라 양식업에 투자했다가 곤란한 상황에 처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이 사례는 단순히 먹이를 주고 산소를 공급한 행위가 수산업 경영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사건의 발단:
피고인은 친구의 권유로 육상 광어 양식업에 투자했습니다. 친구는 토지 매입, 양식장 건설, 허가 취득, 운영 등 모든 실무를 맡기로 했죠. 하지만 친구는 허가도 받지 않고 광어 양식을 시작했고, 결국 불법 양식으로 적발되었습니다.
피고인의 억울함:
피고인은 단순 투자자였고, 양식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았습니다. 이 사실이 인정되어 무혐의 처분을 받았죠. 문제는 여기서 발생합니다. 당국은 광어를 압수하지 않고 방치했고, 친구는 사기 혐의로 구속되었습니다. 투자금 회수를 위해 피고인은 토지 소유권을 넘겨받고, 직접 양식업 허가를 받으려 노력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방치된 광어가 폐사할 위기에 처하자, 허가를 받을 때까지만 먹이와 산소를 공급했습니다. 그런데 이 행위가 또다시 수산업법 위반으로 문제가 된 것입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피고인의 행위가 수산업법 위반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피고인은 허가를 받기 위한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일시적으로 광어를 관리했을 뿐, 자신의 영업 목적으로 양식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한 것이죠. 이미 소유권도 포기한 상태였고, 새로운 치어를 입식하여 허가받은 양식업을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도 고려되었습니다.
관련 법조항:
이 판례는 허가 없이 수산동식물을 양식하는 행위가 무조건 수산업법 위반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행위자의 의도, 상황, 소유권 등 여러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형사판례
어업권을 빌려서 어업 활동을 하는 것은 불법이며, 어업 면허 없이 어업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처벌받습니다.
민사판례
허가 없이 양식장을 운영하더라도 타인의 불법행위로 인해 손해를 입었다면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형사판례
허가받지 않은 근해어업은 처벌 대상이며, 허가 정수가 정해지지 않았더라도 위헌이라고 볼 수 없다.
민사판례
면허 없이 해태 양식을 하던 어민들이 발전소 건설로 인해 양식장을 잃게 되자 손해배상을 청구했지만, 대법원은 무면허 양식어업은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관행적으로 어업을 해왔더라도 양식어업은 반드시 면허를 받아야 하며, 면허 없이는 제3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권리가 없다는 것입니다.
형사판례
하천은 공유수면에 포함되지만, 하천법 적용을 받는 하천 부지를 무단 점유하는 것은 공유수면관리법 위반이 아니라 하천법 위반이다.
형사판례
양식어장에서 허가받은 종류 외에 자연산 수산물을 잡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법입니다. 어장 관리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어장 관리 목적의 예외적인 경우에만 허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