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과 관련된 중요한 판결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여러 장의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했더라도, 특정 조건에서는 하나의 죄로 처벌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사건의 핵심
이 사건의 피고인은 재화나 용역의 공급 없이 허위 세금계산서를 여러 장 발급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쟁점은 이러한 행위가 각각 별개의 죄를 구성하는지, 아니면 하나의 죄로 봐야 하는지였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 행위가 여러 차례 이루어졌더라도 **'영리 목적'**으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가법) 제8조의2 제1항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죄로 처벌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특가법 제8조의2 제1항은 영리를 목적으로 조세범 처벌법 제10조 제3항 및 제4항 전단의 죄를 범하고, 허위 세금계산서 등에 기재된 공급가액 합계가 일정 금액 이상인 경우 가중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영리 목적이 있고, 허위 세금계산서의 공급가액 합계가 50억 원 이상이면 3년 이상의 유기징역, 30억 원 이상 50억 원 미만이면 1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하게 됩니다. 또한, 공급가액에 부가가치세 세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세액의 2배 이상 5배 이하의 벌금도 함께 부과됩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이 발급한 허위 세금계산서의 공급가액 합계가 50억 원 이상이었기 때문에, 법원은 여러 장의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 행위를 하나의 특가법 위반죄로 보았습니다.
관련 법조항
참고 판례
핵심 정리
허위 세금계산서를 여러 장 발급했더라도 영리 목적이 있고, 그 공급가액 합계액이 특정 금액 이상이면 특가법 위반의 하나의 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이 판례는 허위 세금계산서 관련 범죄에 대한 법원의 판단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형사판례
실제 거래 없이 가짜 세금계산서를 만들거나 허위로 세금계산서 합계표를 제출하는 등의 범죄를 저질렀을 때, 여러 건의 위반 행위가 있더라도 하나의 죄로 처벌될 수 있으며, 그 처벌 수위는 관련된 금액의 총합을 기준으로 정해진다는 판결입니다.
형사판례
한 사람이 여러 사업체를 운영하며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받았을 때, 가중처벌 기준 금액을 계산할 때 발급액과 수취액을 모두 합산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한 사람이 서로 다른 사업자로서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동시에 수취한 경우, 가중처벌을 위한 공급가액은 발급액과 수취액을 모두 합산해야 한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허위 세금계산서 관련 범죄에 대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을 적용할 때, 여러 건의 위반 행위를 하나의 죄로 묶어 처벌할 수 있는 요건과 법인에 대한 양벌 책임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영리 목적으로 허위 세금계산서를 반복해서 발급/수취하는 행위를 하나의 죄(포괄일죄)로 볼 수 있는지, 그리고 관련된 공소장변경을 법원이 어떤 기준으로 허가해야 하는지를 다룹니다. 즉, 비슷한 범죄 행위들을 여러 개의 죄로 따로따로 처벌하지 않고 하나의 큰 죄로 묶어서 처벌할 수 있는지, 그리고 검찰이 공소장을 변경할 때 법원이 어떤 기준으로 허가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형사판례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과 허위 합계표 제출은 별개의 범죄이므로, 가중처벌 기준 금액을 계산할 때 각각의 공급가액을 합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