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을 하다 보면 세금계산서 발급과 수취는 필수적인 업무입니다. 만약 실제 거래 없이 허위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거나 받으면 어떤 처벌을 받게 될까요? 특히, 한 사람이 여러 사업체를 운영하며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동시에 받는 경우, 가중처벌 기준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최근 대법원 판례를 통해 이에 대한 명확한 해석이 나왔습니다.
허위 세금계산서, 왜 문제가 될까요?
세금계산서는 부가가치세 과세의 핵심 자료입니다. 정확한 세금계산서를 통해 국가는 세수를 확보하고, 사업자들은 정당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허위 세금계산서는 이러한 시스템을 어지럽히고, 결국 근거과세와 공평과세 원칙을 훼손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따라서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수취 행위는 엄중한 처벌 대상입니다.
관련 법률은 무엇일까요?
대법원의 판단은?
한 사람이 여러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동시에 받았을 경우, 특가법상 가중처벌 기준이 되는 '공급가액 등의 합계액'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대법원은 발급 금액과 수취 금액을 합산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동일한 허위 세금계산서라도 발급자와 수취자에게 각각의 공급가액이 발생하므로, 특가법상 가중처벌 여부를 판단할 때는 이를 모두 합산하여 계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부가가치세법상 세금계산서가 발급자와 수취자 모두에게 과세 자료가 된다는 점, 그리고 특가법의 입법 취지가 세금계산서 수수 질서 확립에 있음을 고려한 판단입니다.
결론적으로,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수취는 엄중한 처벌 대상이며, 특히 영리 목적으로 여러 사업체를 통해 허위 세금계산서를 주고받는 경우 가중처벌될 수 있습니다. 가중처벌 기준 금액을 계산할 때는 발급 금액과 수취 금액을 모두 합산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형사판례
한 사람이 여러 사업체를 운영하며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받았을 때, 가중처벌 기준 금액을 계산할 때 발급액과 수취액을 모두 합산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실제 거래 없이 가짜 세금계산서를 만들거나 허위로 세금계산서 합계표를 제출하는 등의 범죄를 저질렀을 때, 여러 건의 위반 행위가 있더라도 하나의 죄로 처벌될 수 있으며, 그 처벌 수위는 관련된 금액의 총합을 기준으로 정해진다는 판결입니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허위 세금계산서와 허위 세금계산서합계표 제출에 대한 가중처벌 기준을 다룹니다. 특히 전자세금계산서 제도 도입 이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에 대한 합계표 제출 의무가 없음에도 제출된 경우, 이를 허위 합계표 제출로 처벌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형사판례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과 허위 합계표 제출은 별개의 범죄이므로, 가중처벌 기준 금액을 계산할 때 각각의 공급가액을 합산해야 한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허위 세금계산서 관련 범죄에 대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을 적용할 때, 여러 건의 위반 행위를 하나의 죄로 묶어 처벌할 수 있는 요건과 법인에 대한 양벌 책임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형사판례
여러 개의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여 특정 금액 이상이 되면, 각각의 세금계산서 발급 행위에 대해 따로 처벌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특정범죄 가중처벌법 위반죄'로 처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