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0.01.09

세무판례

형사 무죄 판결 받았다고 세금 돌려받을 수 있을까? - 후발적 경정청구와 그 한계

온라인 쇼핑몰 운영 중 세금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가요? 특히, 형사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음에도 세금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답답한 상황에 놓여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후발적 경정청구 제도를 중심으로, 형사 무죄 판결과 세금 환급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떤 경우에 경정청구가 가능한지 알아보겠습니다.

후발적 경정청구란 무엇일까요?

세금 신고 후, 예상치 못한 사건으로 인해 세금 계산의 근거가 바뀌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납세자가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가 바로 후발적 경정청구입니다. 납세자의 권리 구제를 위해 만들어진 제도인 만큼, 그 활용 범위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세법 제38조의3 제3항)

후발적 경정청구, 언제 가능할까요?

관세법 시행령 제34조 제2항 제1호는 후발적 경정청구가 가능한 사유 중 하나로 "거래 또는 행위 등이 그에 관한 소송에 대한 판결에 의하여 다른 것으로 확정된 경우"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즉, 처음 세금 신고 이후 관련된 거래나 행위에 대한 소송이 발생하고, 그 판결 결과가 최초 신고 내용과 다르게 확정되어 더 이상 유지될 수 없을 때 경정청구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형사 무죄 판결, 경정청구 사유가 될까요?

이번 대법원 판결(대법원 2020. 12. 23. 선고 2019두57363 판결)에서는 형사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더라도, 그것만으로는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판결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형사소송과 과세절차의 목적은 다릅니다. 형사소송은 범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목적인 반면, 과세절차는 세금을 정확하게 부과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형사 무죄 판결은 범죄 혐의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다는 의미이지, 세금 계산의 근거가 된 거래나 행위 자체가 달라졌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대법원 1998. 9. 8. 선고 98다25368 판결, 대법원 2006. 9. 14. 선고 2006다27055 판결 참조)
  • 형사소송과 과세절차의 증명 기준도 다릅니다. 형사소송은 '합리적 의심 없이' 혐의를 입증해야 하지만, 과세절차는 그보다 낮은 증명 기준을 적용합니다. 따라서 형사 무죄 판결이 나왔더라도 과세 처분 자체가 잘못되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사례를 통해 알아볼까요?

한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가 해외에서 물건을 수입하여 국내 소비자에게 판매하면서 소액물품 감면을 받기 위해 소비자를 수입자로 신고했습니다. 세관은 이를 관세법 위반으로 보고 세금을 부과했고, 운영자는 형사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이후 운영자는 무죄 판결을 근거로 경정청구를 했지만, 대법원은 형사 무죄 판결만으로는 경정청구 사유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관세법 제94조 제4호 참조)

결론적으로, 형사 무죄 판결을 받았다고 해서 자동으로 세금 환급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후발적 경정청구는 납세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중요한 제도이지만, 그 요건을 꼼꼼히 따져보고 활용해야 합니다. 만약 세금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환급, 아무 때나 되는 건 아니에요! - 후발적 경정청구

회사가 비용(손금)을 잘못된 시기에 처리하여 세금을 더 냈더라도, 과거 세금을 돌려받았다는 사실만으로는 다음 해 세금을 다시 계산해 달라고 요구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손금#귀속시기#경정청구#법인세

세무판례

세금 돌려받기, 아무 때나 되는 건 아닙니다! 후발적 경정청구에 대한 오해와 진실

범죄로 얻은 소득에 대해 추징금을 납부했더라도, 세금 경정청구 기간이 지났다면 다시 세금을 돌려받기 어렵다는 판결. 법령 해석이 바뀌었다는 이유만으로는 경정청구 기간을 연장할 수 없음.

#추징금#세금 경정청구#기간 도과#판례 변경

세무판례

세금 신고 후 법 해석이 바뀌었어요! 경정청구 될까요?

세금 신고 후 법령 해석이 달라졌다고 해서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후발적 경정청구'는 할 수 없다.

#후발적 경정청구#법령 해석 변경#새로운 사실#국세기본법

세무판례

아파트 분양계약 해지 후 세금 돌려받을 수 있을까? 후발적 경정청구에 대한 이야기

아파트 분양계약 해제 후, 계약 해제로 인해 줄어든 소득에 대해 이전 사업연도의 법인세를 돌려받을 수 있는지(후발적 경정청구)에 대한 판례입니다. 법원은 법인세법 시행령 개정 전 발생한 계약 해제라면, 개정 후라도 이전 사업연도의 법인세 환급 청구가 가능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아파트 분양계약 해제#법인세 환급#후발적 경정청구#법인세법 시행령 개정

세무판례

아파트 분양 계약 해지 후 세금 돌려받을 수 있을까? 후발적 경정청구 이야기

아파트 분양계약이 해제된 경우, 그 해제로 인해 발생한 손실을 이전 사업연도의 법인세에서 공제받을 수 있는지(후발적 경정청구 가능 여부)와 관련 법 개정의 적용 시점에 대한 판결입니다. 계약 해제는 원칙적으로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가 되며, 관련 법 개정은 해제일과 무관하게 개정 이후 시작하는 사업연도부터 적용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분양계약 해제#법인세#후발적 경정청구#손실

세무판례

횡령금 반환과 세금, 돌려받을 수 있을까?

회사 돈을 횡령한 사람이 재판 중에 돈을 회사에 돌려줬다고 해서, 이미 부과된 소득세를 돌려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횡령금#소득세#후발적 경정청구#반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