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를 인수합병(M&A)하는 과정은 굉장히 복잡하고 여러 이해관계가 얽혀있죠. 그 과정에서 불법적인 거래가 발생하기도 쉬운데요, 오늘은 회사 인수합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임죄에 대해 흥미로운 사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어려움을 겪고 있던 A회사는 매각을 앞두고 있었습니다. 곧 이사로 취임할 예정인 甲은 A회사에 대한 정보를 인수를 추진 중인 B회사의 대표 乙에게 미리 제공하고, 그 대가로 21억 원이라는 거액을 받기로 합니다. 결국 甲은 이사로 취임한 후 B회사가 A회사를 인수하도록 돕고, 乙로부터 약속된 금액 중 19억 원을 받았습니다.
쟁점
과연 甲과 乙은 배임죄로 처벌받아야 할까요? 1심과 2심 법원은 甲이 A회사의 매각 업무를 담당하는 지위에 있지 않았고, 甲과 乙 사이에 부정한 청탁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그러나 대법원은 달랐습니다. 대법원은 甲이 비록 건설사업부문을 담당하는 이사였지만, 다른 이사들에 대한 감시 의무가 있고, 이사회 참석 및 의결 등을 통해 회사 매각에 관여할 수 있는 지위에 있었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甲은 실제로 B회사에 A회사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B회사를 인수업체로 추천하는 등 매각 과정에 적극적으로 관여했습니다. 특히, 甲이 받은 돈이 A회사의 다른 임직원들의 퇴직금에 비해 훨씬 많고, 그 중 일부는 B회사의 비자금에서 나왔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甲과 乙 사이에 묵시적인 부정한 청탁이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돌려보냈습니다. (참고로, 이 사건에서 乙은 A회사에 손해를 끼친 것은 아니라는 이유로 배임죄는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관련 법 조항
핵심 정리
이처럼 회사 M&A 과정은 복잡한 법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관련 법규와 판례를 잘 살펴보고 신중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형사판례
돈을 빌려 회사를 인수하면서 인수할 회사의 자산을 담보로 제공하는 행위는, 인수 회사가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불하지 않았다면 배임죄가 될 수 있다.
형사판례
부실기업 인수 시 인수자가 인수 자금 마련을 위해 피인수 회사의 자산을 담보로 제공한 경우, 피인수 회사에 대한 배임죄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법원은 피인수 회사에 적절한 반대급부 없이 담보를 제공하면 배임죄가 성립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상담사례
인수합병 위임 계약에서 중도 파기 시, 위약금 약정 없이 단순 수수료만 정해진 경우, 파기한 측은 상대방에게 '불리한 시기의 해지'로 인한 구체적인 손해 발생을 입증해야 배상 책임이 있다.
형사판례
돈을 빌려서 회사를 인수하는 차입매수(LBO) 방식을 이용할 때, 인수 과정을 주도한 사람에게 배임죄가 성립하는지 여부는 인수 과정의 구체적인 행위들을 따져봐야 하며, 경영상 판단에 따른 손해 발생만으로 배임죄를 묻기는 어렵다는 판결.
형사판례
돈을 빌려 기업을 인수하는 차입매수(LBO) 방식 자체가 불법은 아니며, 배임죄 성립 여부는 인수 과정에서의 구체적인 행위를 따져봐야 한다. 이 사건에서는 유상감자와 배당 등의 행위가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고 보기 어려워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았다.
형사판례
빚을 내어 기업을 인수한 후 인수한 기업의 자산을 담보로 제공하는 LBO 방식의 기업인수는 인수한 기업에 적절한 대가를 지급하지 않으면 업무상 배임죄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