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7.03.28

일반행정판례

휴가 신청, 제대로 해야 인정받습니다! 무단결근과 징계, 부당노동행위일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휴가 신청과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특히 노동조합 활동과 연관된 상황에서 발생한 이번 사례는 휴가 사용과 징계, 그리고 부당노동행위 여부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합니다.

사건의 개요

한 농협 직원이자 노조 위원장인 A씨는 농협중앙회장과의 면담을 요구하며 농성에 참여하기 위해 휴가를 신청했습니다. 하지만 농번기를 이유로 회사는 A씨의 휴가 신청을 거부했고, A씨는 출근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회사는 A씨를 무단결근으로 보고 정직 처분을 내렸습니다. A씨는 이에 불복하여 부당노동행위라고 주장했습니다.

쟁점

  1. 종류와 기간을 명시하지 않은 휴가 신청은 유효할까요?
  2. 회사의 징계가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할까요?

법원의 판단

  1. 휴가 신청의 효력 (무효) : 법원은 근로기준법 제47조, 제48조, 같은 법 시행령 제30조에 따라 휴가를 사용하려면 근로자가 휴가의 종류와 기간을 명확히 지정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A씨처럼 종류와 기간을 특정하지 않은 휴가 신청은 효력이 없다는 것입니다. (대법원 1991. 1. 23. 선고 90도2852 판결, 대법원 1997. 3. 25. 선고 96다4930 판결 참조)

  2. 부당노동행위 여부 (소극) : 회사가 A씨의 노조 활동을 이유로 징계했다면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노동조합법 제39조 참조) 그러나 법원은 A씨의 무단결근 사실 자체가 징계 사유에 해당하며, 징계의 정도도 적절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회사가 A씨의 노조 활동을 못마땅하게 생각했더라도, 정당한 징계 사유가 있다면 부당노동행위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대법원 1996. 4. 23. 선고 95누6151 판결, 대법원 1993. 12. 10. 선고 93누4595 판결 등 다수 판례 참조)

결론

이 판례는 휴가 신청 시 종류와 기간을 명확히 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또한, 정당한 징계 사유가 있다면 노조 활동과 관련된 상황에서도 부당노동행위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휴가 사용 및 징계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할 경우, 관련 법률 및 판례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무단결근과 재심절차가 징계에 미치는 영향

회사가 정한 절차를 지키지 않은 결근은 무단결근로 해고될 수 있지만, 단체협약 등에서 정한 재심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으면 해고는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무단결근#해고#재심절차#단체협약

일반행정판례

회사가 노조 간부의 무단결근을 이유로 징계해고 할 수 있을까?

회사가 인정하지 않은 노조 간부가 단체교섭을 이유로 회사의 규정을 따르지 않고 무단결근한 것을 이유로 해고한 것은 정당하다고 본 판례.

#무단결근#노조간부#해고#정당성

민사판례

연차/월차, 그냥 쓰면 안 돼요! 꼭! 날짜를 정확히 말해야 합니다!

연차/월차는 법적으로 발생하더라도, 근로자가 언제부터 언제까지 쓸 건지 명확하게 신청해야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휴가신청서만 내고 날짜를 구체적으로 적지 않으면 무단결근으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연차#월차#휴가신청#날짜명시

일반행정판례

노동조합 활동과 징계해고, 부당노동행위일까?

회사가 근로자를 해고할 때, 해고 사유가 정당하다면 설령 회사가 그 근로자의 노조 활동을 싫어하더라도 부당노동행위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징계 절차상의 문제도 마찬가지로, 정당한 해고 사유가 있다면 부당노동행위 판단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정당한 해고#노조활동#부당노동행위#횡령

민사판례

직장 내 괴롭힘으로 휴직 신청했는데, 회사가 거부해서 결근하면 해고될까요?

직장에서 상사와 동료에게 폭행과 협박을 당한 근로자가 회사에 휴직을 신청했지만 회사가 이를 거부하자 무단결근을 했고, 이를 이유로 해고당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해고가 부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직장내폭력#휴직거부#무단결근#징계해고

일반행정판례

무단결근과 불법파업 참여, 공무원 징계는 정당할까?

허가 전 연가 사용은 징계 사유이며, 불법 단체행동에 가담한 철도공무원의 파면은 징계권 남용이 아니다.

#무단연가#불법단체행동#철도공무원#징계파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