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확정

사건번호:

2000다24207

선고일자:

200106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인접 토지의 한편 또는 양편이 수인의 공유에 속하는 경우, 그 경계확정의 소의 성질(=고유필요적 공동소송)

판결요지

토지의 경계는 토지소유권의 범위와 한계를 정하는 중요한 사항으로서, 그 경계와 관련되는 인접 토지의 소유자 전원 사이에서 합일적으로 확정될 필요가 있으므로, 인접하는 토지의 한편 또는 양편이 여러 사람의 공유에 속하는 경우에, 그 경계의 확정을 구하는 소송은, 관련된 공유자 전원이 공동하여서만 제소하고 상대방도 관련된 공유자 전원이 공동으로서만 제소될 것을 요건으로 하는 고유필요적 공동소송이라고 해석함이 상당하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63조 , 민법 제212조 , 지적법 제3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0. 4. 12. 선고 99나59940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이 사건 소를 각하한다. 소송총비용은 원고 4를 제외한 나머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직권으로 본다. 토지의 경계는 토지 소유권의 범위와 한계를 정하는 중요한 사항으로서, 그 경계와 관련되는 인접 토지의 소유자 전원 사이에서 합일적으로 확정될 필요가 있으므로, 인접하는 토지의 한편 또는 양편이 여러 사람의 공유에 속하는 경우에, 그 경계의 확정을 구하는 소송은, 관련된 공유자 전원이 공동하여서만 제소하고 상대방도 관련된 공유자 전원이 공동으로서만 제소될 것을 요건으로 하는 고유필요적 공동소송이라고 해석함이 상당하다. 그런데 갑 제1호증(등기부등본)의 기재에 의하면 원심 판시 이 사건 ① 토지에 관하여 1967. 7. 20. 소외 1, 소외 2, 원고 3, 원고 4, 원고 5, 원고 6, 원고 7 등 7인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었고, 1996. 7. 23. 소외 2의 지분은 원고 2에게, 1997. 12. 26. 소외 1의 지분은 원고 1에게 각 이전등기되어 이 사건 원고들이 위 토지를 공동으로 소유하게 되었는데, 그 후 1998. 12. 15. 원고 4의 지분이 1998. 7. 16.자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을 원인으로 하여 소외 3에게 이전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소외 3에게 공유지분권이 이전된 이후인 1999. 1. 29. 위 토지의 공유자 소외 3을 탈루한 채 전(前) 공유자에 불과한 원고 4가 공동원고가 되어 제기한 이 사건 경계확정의 소는 부적법하여(더구나 원고 4는 제소 당시 이미 사망한 자로 보인다) 각하를 면치 못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간과한 채 본안에 나아가 판단한 원심판결에는 경계확정의 소의 당사자적격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당 법원이 직접 판결하기로 하는바, 이 사건 소는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부적법하므로 그 청구를 인용한 제1심판결을 취소하여 그 소를 각하하고 소송총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유지담(재판장) 서성 배기원 박재윤(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내 땅 경계, 옆집이 여러 명 공동 소유라면? 꼭 알아야 할 소송 팁!

옆집 땅이 공동소유일 경우 경계 확정 소송은 모든 공유자를 상대로 하는 필수적 공동소송이므로, 한 명이라도 빠지면 소송이 무효가 될 수 있다.

#땅 경계#공동소유#경계 확정 소송#필수적 공동소송

민사판례

옆집 땅이랑 경계가 애매할 때?! 토지경계확정 소송 완벽 정리!

옆집 땅과의 경계가 불분명해서 다툼이 생겼을 때, 법원은 어떻게 경계를 정해줄까요? 이 판례는 법원이 단순히 양측 주장만 듣는 것이 아니라, 직접 증거를 조사하고 판단하여 경계를 정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토지경계확정소송#법원#경계확정#증거조사

상담사례

땅 경계 때문에 이웃과 싸우시나요? 법원의 도움을 받으세요!

이웃과 땅 경계 분쟁 시, 법원에 "토지경계확정의 소"를 제기하면 법원이 직접 조사 후 당사자 주장과 관계없이 가장 정확한 경계를 확정해 분쟁을 해결해준다.

#토지경계확정의 소#땅 경계 분쟁#법원#경계 확정

민사판례

땅 주인끼리 경계 다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토지 경계 정정은 자신의 땅에 대해서만 신청 가능하며, 등기부상 면적과 실제 면적이 다르더라도 등기는 유효하고, 소유권은 지적도상 경계를 기준으로 합니다.

#토지 경계#정정#소유권#지적도

민사판례

옆집 땅이랑 경계가 불분명해서 싸우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토지경계확정의 소)

땅 경계가 불분명해서 이웃과 다툼이 있다면, 경계를 확정해달라는 소송을 낼 수 있고, 이때 소송을 낼 수 있는 자격(권리보호이익)은 다툼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법원은 양쪽 주장에 얽매이지 않고 스스로 판단하여 경계를 확정합니다.

#토지경계확정소송#경계분쟁#권리보호이익#지적도

민사판례

내 땅인데 왜 경계 확인 소송까지 해야 하나요?

지적도에 토지 경계가 명확히 나와있는 경우, 옆집이 내 땅을 침범했다면 침범한 부분에 대한 **인도 청구 소송**만으로 충분하며, 별도로 경계를 확인해달라는 소송은 할 필요가 없다.

#지적도#경계 명확#인도 청구 소송#경계확인 소송 불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