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입장료분배청구

사건번호:

2000다27749

선고일자:

200112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국립공원 입장료의 성질 및 입장료 수입을 공원관리청에 전부 귀속되도록 규정한 자연공원법 제33조 제1항이 국립공원 내 토지소유자의 재산권이나 평등권을 침해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자연공원법(1995. 12. 30. 법률 제5122호로 개정된 것) 제26조 및 제33조의 규정내용과 입법목적을 종합하여 보면, 국립공원의 입장료는 토지의 사용대가라는 민법상 과실이 아니라 수익자 부담의 원칙에 따라 국립공원의 유지·관리비용의 일부를 국립공원 입장객에게 부담시키고자 하는 것이어서 토지의 소유권이나 그에 기한 과실수취권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고, 국립공원의 유지·관리비는 원칙적으로 국가가 부담하여야 할 것이지만 형평에 따른 수익자부담의 원칙을 적용하여 국립공원 이용자에게 입장료를 징수하여 국립공원의 유지·관리비의 일부에 충당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며, 징수된 공원입장료 전부가 자연공원법 제33조 제2항에 의하여 국립공원의 관리와 국립공원 안에 있는 문화재의 관리·보수를 위한 비용에만 사용되고 있는 점 등에 비추어 국립공원 내 토지소유자에게 입장료 수입을 분배하지 않고 공원관리청에 전부 귀속되도록 규정한 자연공원법 제33조 제1항이 헌법상의 평등권이나 재산권 보장을 침해하는 규정이라고 볼 수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101조 제2항 , 헌법 제11조 , 제23조 , 자연공원법 제26조 , 제33조

참조판례

헌법재판소 200 1. 6. 28. 선고 2000헌바44 전원재판부 결정(헌공제58호, 655면)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국립공원관리공단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0. 5. 2. 선고 99나66900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자연공원법(1995. 12. 30. 법률 제5122호로 개정된 것) 제26조 및 제33조의 규정내용과 입법목적을 종합하여 보면, 국립공원의 입장료는 토지의 사용대가라는 민법상 과실이 아니라 수익자 부담의 원칙에 따라 국립공원의 유지·관리비용의 일부를 국립공원 입장객에게 부담시키고자 하는 것이어서 토지의 소유권이나 그에 기한 과실수취권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고, 국립공원의 유지·관리비는 원칙적으로 국가가 부담하여야 할 것이지만 형평에 따른 수익자부담의 원칙을 적용하여 국립공원 이용자에게 입장료를 징수하여 국립공원의 유지·관리비의 일부에 충당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며, 징수된 공원입장료 전부가 자연공원법 제33조 제2항에 의하여 국립공원의 관리와 국립공원 안에 있는 문화재의 관리·보수를 위한 비용에만 사용되고 있는 점 등에 비추어 국립공원 내 토지소유자에게 입장료 수입을 분배하지 않고 공원관리청에 전부 귀속되도록 규정한 자연공원법 제33조 제1항이 헌법상의 평등권이나 재산권 보장을 침해하는 규정이라고 볼 수 없다.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이와 다른 전제에 선 원고의 상고이유 주장은 독자적인 견해에 불과하여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손지열(재판장) 조무제 유지담(주심) 강신욱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공원으로 쓰이는 내 땅, 재산세 내야 할까?

국가 등이 공공용으로 사용하는 사유지에 대해 소유자가 사용료를 받을 권리가 있다면, 실제로 돈을 받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재산세를 부과해야 한다.

#재산세#공공용토지#부당이득반환청구권#유료사용

민사판례

국립공원 땅, 누구 땅일까요? - 취득시효와 점유에 대한 이야기

서울시가 북한산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임야를 10년 이상 점유하여 점유취득시효가 완성되었다는 판결. 국가로부터 양도받아 관리해 온 사실, 공원 시설 설치 및 관리인 배치 등을 통해 점유를 인정. 국립공원관리공단으로 관리 주체가 변경된 이후에도 서울시의 간접점유를 인정.

#점유취득시효#서울시#국립공원#임야

일반행정판례

국유지 사용료와 법정지상권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국가 소유 땅을 사용할 때 내는 사용료 부과는 국가의 공권력 행사이므로 행정처분에 해당하고, 만약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이 성립된 경우에는 사용료(지료)를 법원에서 결정한다.

#국유재산#사용료#행정처분#관습법상 법정지상권

민사판례

묘지 땅 사용료, 내야 할까요? 안 내야 할까요?

자기 땅에 묘를 만든 사람이 그 땅을 팔 때 묘를 이장하기로 약속하지 않았다면, 묘자리 사용에 대한 비용(지료)을 새로운 땅 주인에게 지불해야 합니다.

#분묘기지권#지료#토지매매#묘지

민사판례

국립공원 내 땅, 내 땅 될 수 있을까? - 시효취득 불가 판결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국유지는 개인이 아무리 오랫동안 점유하고 사용했더라도 시효취득(일정 기간 점유하면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을 할 수 없다.

#국립공원#국유지#시효취득 불가#행정재산

민사판례

아파트 대지 지분, 누가 돈을 내야 할까요?

아파트처럼 집합건물의 대지 지분을 가진 사람이, 해당 건물의 소유자(구분소유자)에게 대지 사용료를 청구할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구분소유자가 자기 아파트 면적에 해당하는 적정 대지 지분을 가지고 있다면, 대지 공유자라도 대지 사용료를 청구할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집합건물#대지사용료#구분소유자#대지지분